세월호 때 靑 근무 간호장교 “참사 당일 대통령 본적 없어”

입력 2016.11.29 (16:53) 수정 2016.11.29 (19: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관 기사] ☞ [뉴스7] 靑 간호장교 입 열었다…“참사 당일 대통령 못 봐”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 의무실에서 근무했던 간호장교 2명 중 1명인 신 모 대위는 "참사 당일 청와대에서는 통상적인 업무를 수행했고, 대통령을 본 적도 없다"고 29일 밝혔다.

이어 "참사 당일 의무실장의 지시로 (관저) 부속실에 대통령 가글액을 전달했다"며 "프로포폴이나 태반주사 등 주사 처치를 한 사실이 없다"고 덧붙였다.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의 7시간에 대한 의혹이 불거지자 신 씨는, 전역 후 공채로 취업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로비에서 당시의 상황을 기자들에게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신 씨는 "최근 기자들이 집에도 찾아오고 차량도 외부에 노출돼 겁이 나 의무실장에게 상의 차원에서 전화해 '사실대로 얘기하겠다'고 알렸다"며 "의무실장도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사실대로 얘기하라고 했다"고 전했다.

특히 박 대통령의 대리 처방·차명 진료 의혹을 받는 '비선 실세' 최순실을 아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본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

세월호 참사 당일 행적에 대해 신 씨는 "오전에 의무실장 처방으로 가글액을 관저 부속실에 전달한 이후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나서는 청와대 직원 상대로 환자 상담 등 일상적인 업무를 했다"고 밝혔다.

이어 "엠마크림이나 태반주사는 본 적은 있지만 근무하는 기간 대통령에게 이를 주사제로 처치한 적 없다"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도 이날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의무실장뿐 아니라 간호장교 2명 중 누구도 대통령에 대한 진료나 처치를 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세월호 참사 당시 청와대에 근무한 2명의 간호장교 중 선임인 신 씨(당시 대위)는 2013년 4월부터 청와대에서 파견 근무했다.

6년 의무복무 기간을 마치고 작년 2월 파견 종료와 함께 전역한 신 씨는 지난 4월 강원도 원주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채에 뽑혀 현재까지 근무 중이다.

또 다른 간호장교 조 모 대위는 지난 8월 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미 육군 의무학교에서 연수 중이며, 내년 1월 돌아올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호 때 靑 근무 간호장교 “참사 당일 대통령 본적 없어”
    • 입력 2016-11-29 16:53:56
    • 수정2016-11-29 19:33:06
    사회

[연관 기사] ☞ [뉴스7] 靑 간호장교 입 열었다…“참사 당일 대통령 못 봐”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 의무실에서 근무했던 간호장교 2명 중 1명인 신 모 대위는 "참사 당일 청와대에서는 통상적인 업무를 수행했고, 대통령을 본 적도 없다"고 29일 밝혔다.

이어 "참사 당일 의무실장의 지시로 (관저) 부속실에 대통령 가글액을 전달했다"며 "프로포폴이나 태반주사 등 주사 처치를 한 사실이 없다"고 덧붙였다.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의 7시간에 대한 의혹이 불거지자 신 씨는, 전역 후 공채로 취업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로비에서 당시의 상황을 기자들에게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신 씨는 "최근 기자들이 집에도 찾아오고 차량도 외부에 노출돼 겁이 나 의무실장에게 상의 차원에서 전화해 '사실대로 얘기하겠다'고 알렸다"며 "의무실장도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사실대로 얘기하라고 했다"고 전했다.

특히 박 대통령의 대리 처방·차명 진료 의혹을 받는 '비선 실세' 최순실을 아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본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

세월호 참사 당일 행적에 대해 신 씨는 "오전에 의무실장 처방으로 가글액을 관저 부속실에 전달한 이후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나서는 청와대 직원 상대로 환자 상담 등 일상적인 업무를 했다"고 밝혔다.

이어 "엠마크림이나 태반주사는 본 적은 있지만 근무하는 기간 대통령에게 이를 주사제로 처치한 적 없다"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도 이날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의무실장뿐 아니라 간호장교 2명 중 누구도 대통령에 대한 진료나 처치를 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세월호 참사 당시 청와대에 근무한 2명의 간호장교 중 선임인 신 씨(당시 대위)는 2013년 4월부터 청와대에서 파견 근무했다.

6년 의무복무 기간을 마치고 작년 2월 파견 종료와 함께 전역한 신 씨는 지난 4월 강원도 원주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채에 뽑혀 현재까지 근무 중이다.

또 다른 간호장교 조 모 대위는 지난 8월 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미 육군 의무학교에서 연수 중이며, 내년 1월 돌아올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