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과학 세계 최상위권 한국 학생…흥미도는 꼴찌

입력 2016.11.29 (19:04) 수정 2016.11.29 (19: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수학·과학 과목 성취도가 세계 최상위권이지만, 공부에 대한 흥미도는 꼴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EA)는 49개국 초등학생과 중학생 약 27만명을 대상으로 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연구 2015'(TIMSS 2015) 결과를 오늘(29일) 발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49개 초등학교 4학년생 4천669명, 150개 중학교 2학년생 5천309명이 지난해 12월 평가에 참여했다.

한국 초등학교 4학년의 성취도는 수학 3위, 과학 2위였다. 지난 2011년 조사 때는 수학 2위, 과학 1위였다.

중2 학생의 성취도도 수학 2위, 과학 4위로 2011년보다 나란히 한계단씩 떨어졌다.

초등 4학년과 중2 수학·과학 모두에서 1위에 오른 국가는 싱가포르였다.

성취도 점수는 전체 국가 평균을 500점으로 봤을 때, 해당국가의 평균점수가 몇점 나왔느냐로 측정된다. 한국은 초등학교 4학년 수학에서 608점, 과학에서 589점을 받았다.

하지만, 학습에 대한 흥미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4학년의 경우 흥미 점수는 8.9점으로 조사 대상국가 중 가장 낮았다. 과학은 9.5점으로 슬로베니아, 핀란드, 키프로스를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중2의 수학공부 흥미점수는 꼴찌에서 두번째, 과학 흥미 점수는 꼴찌를 기록했다.

교육부는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교실 수업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자유학기제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꿈과 끼를 키우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자체 평가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학·과학 세계 최상위권 한국 학생…흥미도는 꼴찌
    • 입력 2016-11-29 19:04:49
    • 수정2016-11-29 19:39:15
    문화
한국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수학·과학 과목 성취도가 세계 최상위권이지만, 공부에 대한 흥미도는 꼴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EA)는 49개국 초등학생과 중학생 약 27만명을 대상으로 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연구 2015'(TIMSS 2015) 결과를 오늘(29일) 발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49개 초등학교 4학년생 4천669명, 150개 중학교 2학년생 5천309명이 지난해 12월 평가에 참여했다.

한국 초등학교 4학년의 성취도는 수학 3위, 과학 2위였다. 지난 2011년 조사 때는 수학 2위, 과학 1위였다.

중2 학생의 성취도도 수학 2위, 과학 4위로 2011년보다 나란히 한계단씩 떨어졌다.

초등 4학년과 중2 수학·과학 모두에서 1위에 오른 국가는 싱가포르였다.

성취도 점수는 전체 국가 평균을 500점으로 봤을 때, 해당국가의 평균점수가 몇점 나왔느냐로 측정된다. 한국은 초등학교 4학년 수학에서 608점, 과학에서 589점을 받았다.

하지만, 학습에 대한 흥미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4학년의 경우 흥미 점수는 8.9점으로 조사 대상국가 중 가장 낮았다. 과학은 9.5점으로 슬로베니아, 핀란드, 키프로스를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중2의 수학공부 흥미점수는 꼴찌에서 두번째, 과학 흥미 점수는 꼴찌를 기록했다.

교육부는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교실 수업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자유학기제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꿈과 끼를 키우는 교육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자체 평가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