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사실상 하야 선언…탄핵, 원점 재검토”
입력 2016.11.29 (23:08)
수정 2016.11.29 (23: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새누리당 지도부는 박 대통령이 사실상 하야 선언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대통령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만큼 탄핵 문제는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지숙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이 자신의 거취를 국회에 백지위임했다며 사실상의 하야 선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질서 있는 퇴진을 추진해야 한다며, 탄핵 문제는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정진석(새누리당 원내대표) : "상황 변화가 생긴 만큼 두 야당과 대통령 탄핵 절차 진행에 대해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겠습니다."
이정현 대표도 국가와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해야한다며 야당을 압박했습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대표) : "야당이 마음이 급할 수도 있고 욕심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욕심에 앞서서 정말 국가, 국민을 생각해야 된다."
당 지도부는 국정수습 방안으로 야당과 거국중립내각 구성 문제를 논의하고 개헌 문제를 협상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명 '명예 퇴진'을 건의해 대통령의 담화를 이끌어낸 친박계 중진들도 개헌론에 힘을 실었습니다.
<녹취> 서청원(새누리당 의원) : "그동안 200명이 넘는 의원들이 개헌하자고 그랬으니까 그런 것도 논의해서 빠른 시일 내에 이런 정치 일정이 잡히면 대통령은 언제든지 그만두시는 거 아닙니까?"
탄핵보다는 임기 단축을 포함하는 개헌론이 당내에서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다당 주류는 탄핵 동력이 약화됐다고 보고 국면전환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박 대통령이 사실상 하야 선언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대통령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만큼 탄핵 문제는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지숙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이 자신의 거취를 국회에 백지위임했다며 사실상의 하야 선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질서 있는 퇴진을 추진해야 한다며, 탄핵 문제는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정진석(새누리당 원내대표) : "상황 변화가 생긴 만큼 두 야당과 대통령 탄핵 절차 진행에 대해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겠습니다."
이정현 대표도 국가와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해야한다며 야당을 압박했습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대표) : "야당이 마음이 급할 수도 있고 욕심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욕심에 앞서서 정말 국가, 국민을 생각해야 된다."
당 지도부는 국정수습 방안으로 야당과 거국중립내각 구성 문제를 논의하고 개헌 문제를 협상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명 '명예 퇴진'을 건의해 대통령의 담화를 이끌어낸 친박계 중진들도 개헌론에 힘을 실었습니다.
<녹취> 서청원(새누리당 의원) : "그동안 200명이 넘는 의원들이 개헌하자고 그랬으니까 그런 것도 논의해서 빠른 시일 내에 이런 정치 일정이 잡히면 대통령은 언제든지 그만두시는 거 아닙니까?"
탄핵보다는 임기 단축을 포함하는 개헌론이 당내에서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다당 주류는 탄핵 동력이 약화됐다고 보고 국면전환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與 “사실상 하야 선언…탄핵, 원점 재검토”
-
- 입력 2016-11-29 23:14:44
- 수정2016-11-29 23:47:41

<앵커 멘트>
새누리당 지도부는 박 대통령이 사실상 하야 선언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대통령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만큼 탄핵 문제는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지숙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이 자신의 거취를 국회에 백지위임했다며 사실상의 하야 선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질서 있는 퇴진을 추진해야 한다며, 탄핵 문제는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정진석(새누리당 원내대표) : "상황 변화가 생긴 만큼 두 야당과 대통령 탄핵 절차 진행에 대해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겠습니다."
이정현 대표도 국가와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해야한다며 야당을 압박했습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대표) : "야당이 마음이 급할 수도 있고 욕심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욕심에 앞서서 정말 국가, 국민을 생각해야 된다."
당 지도부는 국정수습 방안으로 야당과 거국중립내각 구성 문제를 논의하고 개헌 문제를 협상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명 '명예 퇴진'을 건의해 대통령의 담화를 이끌어낸 친박계 중진들도 개헌론에 힘을 실었습니다.
<녹취> 서청원(새누리당 의원) : "그동안 200명이 넘는 의원들이 개헌하자고 그랬으니까 그런 것도 논의해서 빠른 시일 내에 이런 정치 일정이 잡히면 대통령은 언제든지 그만두시는 거 아닙니까?"
탄핵보다는 임기 단축을 포함하는 개헌론이 당내에서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다당 주류는 탄핵 동력이 약화됐다고 보고 국면전환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박 대통령이 사실상 하야 선언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대통령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만큼 탄핵 문제는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지숙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이 자신의 거취를 국회에 백지위임했다며 사실상의 하야 선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질서 있는 퇴진을 추진해야 한다며, 탄핵 문제는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정진석(새누리당 원내대표) : "상황 변화가 생긴 만큼 두 야당과 대통령 탄핵 절차 진행에 대해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겠습니다."
이정현 대표도 국가와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해야한다며 야당을 압박했습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대표) : "야당이 마음이 급할 수도 있고 욕심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욕심에 앞서서 정말 국가, 국민을 생각해야 된다."
당 지도부는 국정수습 방안으로 야당과 거국중립내각 구성 문제를 논의하고 개헌 문제를 협상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명 '명예 퇴진'을 건의해 대통령의 담화를 이끌어낸 친박계 중진들도 개헌론에 힘을 실었습니다.
<녹취> 서청원(새누리당 의원) : "그동안 200명이 넘는 의원들이 개헌하자고 그랬으니까 그런 것도 논의해서 빠른 시일 내에 이런 정치 일정이 잡히면 대통령은 언제든지 그만두시는 거 아닙니까?"
탄핵보다는 임기 단축을 포함하는 개헌론이 당내에서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다당 주류는 탄핵 동력이 약화됐다고 보고 국면전환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