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진 대권 시계…“3·4월 대선도 가능”
입력 2016.12.09 (23:29)
수정 2016.12.09 (23: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탄핵소추안의 가결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더 높아졌습니다.
헌법재판소가 6개월 안에 탄핵을 인용하는 결정을 내리면 두 달 안에 대선을 치러야 합니다.
정치권의 조기 대선 체제 전환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원종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제 공은 최장 180일 간의 심리 절차에 들어가는 헌법재판소로 넘겨졌습니다.
헌재가 심리 기간을 꽉 채워 탄핵을 인용할 경우 대선은 내년 8월에 치러집니다.
그러나 국정 혼란 부담을 고려해 심판 결과를 서둘러 내놓으면 3,4월 대선도 가능합니다.
대선 시점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지는 정치권의 셈법은 복잡해졌습니다.
촛불 민심의 여파, 여론지지율 등을 고려할 때 야권은 조기 대선이 유리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헌재의 조속한 결론은 물론 대통령의 즉각 퇴진까지 거론하고 있습니다.
<녹취> 추미애(더불어민주당 대표) : "헌법재판소가 앞으로 조속히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촉구합니다."
<녹취> 김동철(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 "대통령은 헌법재판소 결정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지만, 알다시피 촛불민심은 대통령의 즉시 퇴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4월 퇴진, 6월 대선'을 당론으로 정했었던 여당은 헌재의 결정을 지켜보자는 입장입니다.
경쟁력 있는 대선 후보를 구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당장은 탄핵안 찬반을 놓고 벌였던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 봉합이 급선무입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대표) : "모든 부분에 있어서 정말 새로 거듭나는 그러한 노력을 해야 하겠고."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 1월 귀국 예정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행보에 따라 대선 시기에 대한 여야 유불리가 또 한번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탄핵소추안의 가결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더 높아졌습니다.
헌법재판소가 6개월 안에 탄핵을 인용하는 결정을 내리면 두 달 안에 대선을 치러야 합니다.
정치권의 조기 대선 체제 전환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원종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제 공은 최장 180일 간의 심리 절차에 들어가는 헌법재판소로 넘겨졌습니다.
헌재가 심리 기간을 꽉 채워 탄핵을 인용할 경우 대선은 내년 8월에 치러집니다.
그러나 국정 혼란 부담을 고려해 심판 결과를 서둘러 내놓으면 3,4월 대선도 가능합니다.
대선 시점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지는 정치권의 셈법은 복잡해졌습니다.
촛불 민심의 여파, 여론지지율 등을 고려할 때 야권은 조기 대선이 유리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헌재의 조속한 결론은 물론 대통령의 즉각 퇴진까지 거론하고 있습니다.
<녹취> 추미애(더불어민주당 대표) : "헌법재판소가 앞으로 조속히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촉구합니다."
<녹취> 김동철(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 "대통령은 헌법재판소 결정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지만, 알다시피 촛불민심은 대통령의 즉시 퇴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4월 퇴진, 6월 대선'을 당론으로 정했었던 여당은 헌재의 결정을 지켜보자는 입장입니다.
경쟁력 있는 대선 후보를 구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당장은 탄핵안 찬반을 놓고 벌였던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 봉합이 급선무입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대표) : "모든 부분에 있어서 정말 새로 거듭나는 그러한 노력을 해야 하겠고."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 1월 귀국 예정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행보에 따라 대선 시기에 대한 여야 유불리가 또 한번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빨라진 대권 시계…“3·4월 대선도 가능”
-
- 입력 2016-12-09 23:30:41
- 수정2016-12-09 23:43:05

<앵커 멘트>
탄핵소추안의 가결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더 높아졌습니다.
헌법재판소가 6개월 안에 탄핵을 인용하는 결정을 내리면 두 달 안에 대선을 치러야 합니다.
정치권의 조기 대선 체제 전환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원종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제 공은 최장 180일 간의 심리 절차에 들어가는 헌법재판소로 넘겨졌습니다.
헌재가 심리 기간을 꽉 채워 탄핵을 인용할 경우 대선은 내년 8월에 치러집니다.
그러나 국정 혼란 부담을 고려해 심판 결과를 서둘러 내놓으면 3,4월 대선도 가능합니다.
대선 시점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지는 정치권의 셈법은 복잡해졌습니다.
촛불 민심의 여파, 여론지지율 등을 고려할 때 야권은 조기 대선이 유리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헌재의 조속한 결론은 물론 대통령의 즉각 퇴진까지 거론하고 있습니다.
<녹취> 추미애(더불어민주당 대표) : "헌법재판소가 앞으로 조속히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촉구합니다."
<녹취> 김동철(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 "대통령은 헌법재판소 결정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지만, 알다시피 촛불민심은 대통령의 즉시 퇴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4월 퇴진, 6월 대선'을 당론으로 정했었던 여당은 헌재의 결정을 지켜보자는 입장입니다.
경쟁력 있는 대선 후보를 구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당장은 탄핵안 찬반을 놓고 벌였던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 봉합이 급선무입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대표) : "모든 부분에 있어서 정말 새로 거듭나는 그러한 노력을 해야 하겠고."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 1월 귀국 예정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행보에 따라 대선 시기에 대한 여야 유불리가 또 한번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탄핵소추안의 가결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더 높아졌습니다.
헌법재판소가 6개월 안에 탄핵을 인용하는 결정을 내리면 두 달 안에 대선을 치러야 합니다.
정치권의 조기 대선 체제 전환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원종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제 공은 최장 180일 간의 심리 절차에 들어가는 헌법재판소로 넘겨졌습니다.
헌재가 심리 기간을 꽉 채워 탄핵을 인용할 경우 대선은 내년 8월에 치러집니다.
그러나 국정 혼란 부담을 고려해 심판 결과를 서둘러 내놓으면 3,4월 대선도 가능합니다.
대선 시점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지는 정치권의 셈법은 복잡해졌습니다.
촛불 민심의 여파, 여론지지율 등을 고려할 때 야권은 조기 대선이 유리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헌재의 조속한 결론은 물론 대통령의 즉각 퇴진까지 거론하고 있습니다.
<녹취> 추미애(더불어민주당 대표) : "헌법재판소가 앞으로 조속히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촉구합니다."
<녹취> 김동철(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 "대통령은 헌법재판소 결정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지만, 알다시피 촛불민심은 대통령의 즉시 퇴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4월 퇴진, 6월 대선'을 당론으로 정했었던 여당은 헌재의 결정을 지켜보자는 입장입니다.
경쟁력 있는 대선 후보를 구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당장은 탄핵안 찬반을 놓고 벌였던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 봉합이 급선무입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대표) : "모든 부분에 있어서 정말 새로 거듭나는 그러한 노력을 해야 하겠고."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 1월 귀국 예정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행보에 따라 대선 시기에 대한 여야 유불리가 또 한번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
-
원종진 기자 won@kbs.co.kr
원종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