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도 부자는 증가?…백화점 VIP 고객수 ‘쑥쑥’

입력 2016.12.14 (08:54) 수정 2016.12.14 (0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화하는 경기침체에도 백화점 VIP 고객 수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백화점들이 매출 기여도가 큰 VIP 고객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강화한 데다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올해 롯데, 현대, 신세계, 갤러리아 등 4개 백화점의 VIP 고객 수는 백화점별로 지난해보다 6~28% 증가했다.

가장 증가세가 두드러진 건 신세계였다. 전국 12개 점포에서 연간 800만 원 이상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가입 자격이 주어지는 신세계백화점 VIP 회원 수는 지난해보다 28.1%나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세계는 최근 백화점 전체 매출의 20~30%를 좌우하는 상위 1% 고객을 겨냥한 타깃 마케팅과 고급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런 전략이 VIP 회원 수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간 2천만 원 이상 구매해야 자격이 주어지는 갤러리아백화점 VIP 고객도 지난해보다 6% 증가했으며 특히 연간 5천만 원 이상 구매하는 파크제이드 블랙 이상의 고객은 지난해보다 12%나 늘었다.

전국에 33개 점포를 운영 중인 롯데백화점도 연간 2천만 원 이상 구매해야 자격이 주어지는 MVG 회원(롯데백화점 VIP 고객을 일컫는 용어) 수가 올해는 지난해보다 8.9% 늘었고 현대백화점 역시 연간 500만 원 이상 구매 고객이 가입할 수 있는 VIP 회원 수가 지난해보다 9.1% 증가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백화점 전체 영업 이익률은 둔화하는 추세지만 빈익빈 부익부 현상 심화로 부유층 수와 상위 1% 부자들이 소유한 부의 규모는 오히려 늘어나면서 백화점 VIP 고객 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국회입법조사처가 세계 상위 소득 데이터베이스(The World Top Income Database·WTID)와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2년 기준 한국의 상위 10% 소득집중도는 44.9%였다. 아시아 주요 국가 중 가장 높고 전 세계 주요국 중 미국(47.8%) 다음이다. 특히 1995년∼2012년 사이에 한국의 상위 10% 소득집중도 상승 폭은 15.7%포인트로 해외 주요국 중 가장 빠르다고 국회입법조사처는 전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황에도 부자는 증가?…백화점 VIP 고객수 ‘쑥쑥’
    • 입력 2016-12-14 08:54:44
    • 수정2016-12-14 09:26:03
    경제
장기화하는 경기침체에도 백화점 VIP 고객 수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백화점들이 매출 기여도가 큰 VIP 고객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강화한 데다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올해 롯데, 현대, 신세계, 갤러리아 등 4개 백화점의 VIP 고객 수는 백화점별로 지난해보다 6~28% 증가했다.

가장 증가세가 두드러진 건 신세계였다. 전국 12개 점포에서 연간 800만 원 이상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가입 자격이 주어지는 신세계백화점 VIP 회원 수는 지난해보다 28.1%나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세계는 최근 백화점 전체 매출의 20~30%를 좌우하는 상위 1% 고객을 겨냥한 타깃 마케팅과 고급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런 전략이 VIP 회원 수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간 2천만 원 이상 구매해야 자격이 주어지는 갤러리아백화점 VIP 고객도 지난해보다 6% 증가했으며 특히 연간 5천만 원 이상 구매하는 파크제이드 블랙 이상의 고객은 지난해보다 12%나 늘었다.

전국에 33개 점포를 운영 중인 롯데백화점도 연간 2천만 원 이상 구매해야 자격이 주어지는 MVG 회원(롯데백화점 VIP 고객을 일컫는 용어) 수가 올해는 지난해보다 8.9% 늘었고 현대백화점 역시 연간 500만 원 이상 구매 고객이 가입할 수 있는 VIP 회원 수가 지난해보다 9.1% 증가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백화점 전체 영업 이익률은 둔화하는 추세지만 빈익빈 부익부 현상 심화로 부유층 수와 상위 1% 부자들이 소유한 부의 규모는 오히려 늘어나면서 백화점 VIP 고객 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국회입법조사처가 세계 상위 소득 데이터베이스(The World Top Income Database·WTID)와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2년 기준 한국의 상위 10% 소득집중도는 44.9%였다. 아시아 주요 국가 중 가장 높고 전 세계 주요국 중 미국(47.8%) 다음이다. 특히 1995년∼2012년 사이에 한국의 상위 10% 소득집중도 상승 폭은 15.7%포인트로 해외 주요국 중 가장 빠르다고 국회입법조사처는 전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