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위치정보 유출’ SK텔레콤, 보안 부실로 과징금
입력 2016.12.21 (19:23)
수정 2016.12.21 (19: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7월 고객의 휴대전화 위치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드러났던 SK텔레콤이 위치정보에 대한 보안 부실로 과징금 제재를 받았다.
택시 호출 서비스를 하는 네이버와 카카오도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는 등 보안이 허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1일(오늘) 정부과천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3개 이동통신사 등 주요 위치정보사업자 8곳을 실태 조사한 결과 SK텔레콤·네이버·카카오가 법이 정한 위치정보 보안 조처를 제대로 못 한 사실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위치정보의 유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화벽과 망분리 등 조처가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나 과징금 3천만원을 부과받았다.
현행 위치정보법에 따르면 기술적 보안 조처를 소홀히 한 사업자는 위치정보 사업 매출의 3% 이하 과징금·사업정지 등의 제재를 받게 된다.
SK텔레콤은 올해 7월 경찰 수사 결과 '내 전화기 위치 찾기' 서비스의 보안 허점을 악용한 해커에게서 고객 위치정보 160여 건을 도둑맞은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빼돌려진 위치정보는 불법 흥신소로 넘어가 배우자 미행 등에 악용됐다.
네이버 맵에서 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는 택시 호출 고객의 ID와 출발지·도착지·위도 및 경도값 등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카카오도 카카오 택시 서비스에서 출발지·목적지 등을 암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했다고 방통위는 전했다.
이들 네이버·카카오는 택시 호출 사업이 무료라 관련 매출이 없고 사안이 상대적으로 가벼워 '보안 조처를 이행하라'는 시정 권고만 내렸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택시 호출 서비스를 하는 네이버와 카카오도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는 등 보안이 허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1일(오늘) 정부과천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3개 이동통신사 등 주요 위치정보사업자 8곳을 실태 조사한 결과 SK텔레콤·네이버·카카오가 법이 정한 위치정보 보안 조처를 제대로 못 한 사실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위치정보의 유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화벽과 망분리 등 조처가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나 과징금 3천만원을 부과받았다.
현행 위치정보법에 따르면 기술적 보안 조처를 소홀히 한 사업자는 위치정보 사업 매출의 3% 이하 과징금·사업정지 등의 제재를 받게 된다.
SK텔레콤은 올해 7월 경찰 수사 결과 '내 전화기 위치 찾기' 서비스의 보안 허점을 악용한 해커에게서 고객 위치정보 160여 건을 도둑맞은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빼돌려진 위치정보는 불법 흥신소로 넘어가 배우자 미행 등에 악용됐다.
네이버 맵에서 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는 택시 호출 고객의 ID와 출발지·도착지·위도 및 경도값 등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카카오도 카카오 택시 서비스에서 출발지·목적지 등을 암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했다고 방통위는 전했다.
이들 네이버·카카오는 택시 호출 사업이 무료라 관련 매출이 없고 사안이 상대적으로 가벼워 '보안 조처를 이행하라'는 시정 권고만 내렸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객 위치정보 유출’ SK텔레콤, 보안 부실로 과징금
-
- 입력 2016-12-21 19:23:32
- 수정2016-12-21 19:56:20

올해 7월 고객의 휴대전화 위치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드러났던 SK텔레콤이 위치정보에 대한 보안 부실로 과징금 제재를 받았다.
택시 호출 서비스를 하는 네이버와 카카오도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는 등 보안이 허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1일(오늘) 정부과천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3개 이동통신사 등 주요 위치정보사업자 8곳을 실태 조사한 결과 SK텔레콤·네이버·카카오가 법이 정한 위치정보 보안 조처를 제대로 못 한 사실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위치정보의 유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화벽과 망분리 등 조처가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나 과징금 3천만원을 부과받았다.
현행 위치정보법에 따르면 기술적 보안 조처를 소홀히 한 사업자는 위치정보 사업 매출의 3% 이하 과징금·사업정지 등의 제재를 받게 된다.
SK텔레콤은 올해 7월 경찰 수사 결과 '내 전화기 위치 찾기' 서비스의 보안 허점을 악용한 해커에게서 고객 위치정보 160여 건을 도둑맞은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빼돌려진 위치정보는 불법 흥신소로 넘어가 배우자 미행 등에 악용됐다.
네이버 맵에서 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는 택시 호출 고객의 ID와 출발지·도착지·위도 및 경도값 등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카카오도 카카오 택시 서비스에서 출발지·목적지 등을 암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했다고 방통위는 전했다.
이들 네이버·카카오는 택시 호출 사업이 무료라 관련 매출이 없고 사안이 상대적으로 가벼워 '보안 조처를 이행하라'는 시정 권고만 내렸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택시 호출 서비스를 하는 네이버와 카카오도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는 등 보안이 허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1일(오늘) 정부과천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3개 이동통신사 등 주요 위치정보사업자 8곳을 실태 조사한 결과 SK텔레콤·네이버·카카오가 법이 정한 위치정보 보안 조처를 제대로 못 한 사실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위치정보의 유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화벽과 망분리 등 조처가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나 과징금 3천만원을 부과받았다.
현행 위치정보법에 따르면 기술적 보안 조처를 소홀히 한 사업자는 위치정보 사업 매출의 3% 이하 과징금·사업정지 등의 제재를 받게 된다.
SK텔레콤은 올해 7월 경찰 수사 결과 '내 전화기 위치 찾기' 서비스의 보안 허점을 악용한 해커에게서 고객 위치정보 160여 건을 도둑맞은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빼돌려진 위치정보는 불법 흥신소로 넘어가 배우자 미행 등에 악용됐다.
네이버 맵에서 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는 택시 호출 고객의 ID와 출발지·도착지·위도 및 경도값 등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카카오도 카카오 택시 서비스에서 출발지·목적지 등을 암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했다고 방통위는 전했다.
이들 네이버·카카오는 택시 호출 사업이 무료라 관련 매출이 없고 사안이 상대적으로 가벼워 '보안 조처를 이행하라'는 시정 권고만 내렸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