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확진 농장 30여 곳 ‘부적합 소독제’ 사용

입력 2016.12.21 (21:30) 수정 2016.12.22 (0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방역 당국은 농가에 철저한 소독을 주문하고 있는데요.

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장 중 30여 곳이 효력이 떨어지는 부적합 소독제를 사용해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오대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리를 키운 지 9년 만에 처음으로 AI가 발생한 충북의 한 농장입니다.

소독만큼은 철저히 해왔는데, 왜 AI가 발생했는지 영문을 알 수가 없다고 합니다.

<녹취> 오리 위탁 사육 농장 주인(음성변조) : "소독한 것을 사진을 찍어 보내줘야 (본사에서) 병아리를 주니까 무조건 소독을 해야 됩니다. 일주일에 두 번씩은 꼭 소독하게 돼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소독약이 효력 미달 제품, 닭이나 오리 농가에선 쓰지 말아야 할 제품이었습니다.

농식품부 자료를 보니, 이번에 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 중 31곳이 부적합한 소독약을 썼습니다.

이유는 있었습니다.

지난 6월, 방역 당국이 부적합 소독약 27종류의 회수 조치를 내렸지만, 정작 농민들에는 전달이 안됐던 겁니다.

<녹취> 농장 주인(음성변조) : "매몰처분 하고 나서 이제 그때 따지고 들어오더라고요. '소독은 했느냐했냐, 약품은 뭐를 쓰냐' 그전까지는 그런 거 물어보고 전화 한 통 온 적 한 번도 없었는데. 억울한 정도가 아니죠."

제품이 제대로 회수 됐는지에 대한 감독도 부실했습니다.

<녹취> 위성곤(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 :"정부가 해야 될 것은 소독제의 관리 강화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아울러서 그것에 관한 정보를 농가들에 정확히 전달하는..."

방역의 기본인 소독 관리에 구멍이 뚫린 사이, 매몰된 닭과 오리는 오늘(21일)로 2천만 마리를 넘어 섰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 확진 농장 30여 곳 ‘부적합 소독제’ 사용
    • 입력 2016-12-21 21:31:47
    • 수정2016-12-22 09:59:35
    뉴스 9
<앵커 멘트> 방역 당국은 농가에 철저한 소독을 주문하고 있는데요. 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장 중 30여 곳이 효력이 떨어지는 부적합 소독제를 사용해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오대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리를 키운 지 9년 만에 처음으로 AI가 발생한 충북의 한 농장입니다. 소독만큼은 철저히 해왔는데, 왜 AI가 발생했는지 영문을 알 수가 없다고 합니다. <녹취> 오리 위탁 사육 농장 주인(음성변조) : "소독한 것을 사진을 찍어 보내줘야 (본사에서) 병아리를 주니까 무조건 소독을 해야 됩니다. 일주일에 두 번씩은 꼭 소독하게 돼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소독약이 효력 미달 제품, 닭이나 오리 농가에선 쓰지 말아야 할 제품이었습니다. 농식품부 자료를 보니, 이번에 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 중 31곳이 부적합한 소독약을 썼습니다. 이유는 있었습니다. 지난 6월, 방역 당국이 부적합 소독약 27종류의 회수 조치를 내렸지만, 정작 농민들에는 전달이 안됐던 겁니다. <녹취> 농장 주인(음성변조) : "매몰처분 하고 나서 이제 그때 따지고 들어오더라고요. '소독은 했느냐했냐, 약품은 뭐를 쓰냐' 그전까지는 그런 거 물어보고 전화 한 통 온 적 한 번도 없었는데. 억울한 정도가 아니죠." 제품이 제대로 회수 됐는지에 대한 감독도 부실했습니다. <녹취> 위성곤(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 :"정부가 해야 될 것은 소독제의 관리 강화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아울러서 그것에 관한 정보를 농가들에 정확히 전달하는..." 방역의 기본인 소독 관리에 구멍이 뚫린 사이, 매몰된 닭과 오리는 오늘(21일)로 2천만 마리를 넘어 섰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