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도 ‘구들장 논’ 귀한 물을 다스리는 지혜
입력 2016.12.23 (19:23)
수정 2016.12.23 (1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전남 청산도의 '구들장 논'을 아십니까?
우리 고유의 난방 시설인 구들장을 응용한 농경지로,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박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비탈을 따라 이어진 계단식 논.
축대처럼 쌓인 돌무더기 위에 논이 얹힌 모양샙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이자 세계중요농업유산인 청산도의 구들장 논입니다.
<인터뷰> 이기채(청산도 구들장논 보존협의회장) : "언덕이 높잖아요. 그래서 돌을 이렇게 메꿔가지고 논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 구들식으로 이렇게 놨다는 이야기에요. 흙이 부족해서."
내부는 4중 구조인데 바닥은 석축과 구들 모양의 널찍한 돌을 얹어 만든 통수로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 위를 진흙과 잔돌을 섞은 방수층으로 덮은 뒤 다시 작물을 키울 표토를 깔아 땅 위와 땅 밑의 물까지 잡는 이중 관개 시설의 원리를 담았습니다.
통수로를 통해 내려온 물은 샛똘이라고 불리는 돌로 만든 수로를 통해 아래 논으로 이어집니다.
이 때문에 구들장 논은 표층수만을 사용하는 일반 논과 달리 물 대기를 조절하면 논과 밭 어떤 형태로도 경작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준(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원) : "지구상의 보편적인 초기 전통농업의 원형이 청산도에 그대로 남아있다 라고 하는게 굉장히 의미가 큰 것이다."
척박한 섬에서 벼 농사를 짓기 위해 3백여년전부터 조성된 구들장 논은 5ha 가량.
하지만 고령화 등으로 최근 휴경지가 차츰 늘고 있어 보전 대책 마련도 절실합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전남 청산도의 '구들장 논'을 아십니까?
우리 고유의 난방 시설인 구들장을 응용한 농경지로,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박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비탈을 따라 이어진 계단식 논.
축대처럼 쌓인 돌무더기 위에 논이 얹힌 모양샙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이자 세계중요농업유산인 청산도의 구들장 논입니다.
<인터뷰> 이기채(청산도 구들장논 보존협의회장) : "언덕이 높잖아요. 그래서 돌을 이렇게 메꿔가지고 논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 구들식으로 이렇게 놨다는 이야기에요. 흙이 부족해서."
내부는 4중 구조인데 바닥은 석축과 구들 모양의 널찍한 돌을 얹어 만든 통수로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 위를 진흙과 잔돌을 섞은 방수층으로 덮은 뒤 다시 작물을 키울 표토를 깔아 땅 위와 땅 밑의 물까지 잡는 이중 관개 시설의 원리를 담았습니다.
통수로를 통해 내려온 물은 샛똘이라고 불리는 돌로 만든 수로를 통해 아래 논으로 이어집니다.
이 때문에 구들장 논은 표층수만을 사용하는 일반 논과 달리 물 대기를 조절하면 논과 밭 어떤 형태로도 경작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준(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원) : "지구상의 보편적인 초기 전통농업의 원형이 청산도에 그대로 남아있다 라고 하는게 굉장히 의미가 큰 것이다."
척박한 섬에서 벼 농사를 짓기 위해 3백여년전부터 조성된 구들장 논은 5ha 가량.
하지만 고령화 등으로 최근 휴경지가 차츰 늘고 있어 보전 대책 마련도 절실합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산도 ‘구들장 논’ 귀한 물을 다스리는 지혜
-
- 입력 2016-12-23 19:24:55
- 수정2016-12-23 19:36:26
<앵커 멘트>
전남 청산도의 '구들장 논'을 아십니까?
우리 고유의 난방 시설인 구들장을 응용한 농경지로,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박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비탈을 따라 이어진 계단식 논.
축대처럼 쌓인 돌무더기 위에 논이 얹힌 모양샙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이자 세계중요농업유산인 청산도의 구들장 논입니다.
<인터뷰> 이기채(청산도 구들장논 보존협의회장) : "언덕이 높잖아요. 그래서 돌을 이렇게 메꿔가지고 논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 구들식으로 이렇게 놨다는 이야기에요. 흙이 부족해서."
내부는 4중 구조인데 바닥은 석축과 구들 모양의 널찍한 돌을 얹어 만든 통수로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 위를 진흙과 잔돌을 섞은 방수층으로 덮은 뒤 다시 작물을 키울 표토를 깔아 땅 위와 땅 밑의 물까지 잡는 이중 관개 시설의 원리를 담았습니다.
통수로를 통해 내려온 물은 샛똘이라고 불리는 돌로 만든 수로를 통해 아래 논으로 이어집니다.
이 때문에 구들장 논은 표층수만을 사용하는 일반 논과 달리 물 대기를 조절하면 논과 밭 어떤 형태로도 경작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준(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원) : "지구상의 보편적인 초기 전통농업의 원형이 청산도에 그대로 남아있다 라고 하는게 굉장히 의미가 큰 것이다."
척박한 섬에서 벼 농사를 짓기 위해 3백여년전부터 조성된 구들장 논은 5ha 가량.
하지만 고령화 등으로 최근 휴경지가 차츰 늘고 있어 보전 대책 마련도 절실합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전남 청산도의 '구들장 논'을 아십니까?
우리 고유의 난방 시설인 구들장을 응용한 농경지로,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박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비탈을 따라 이어진 계단식 논.
축대처럼 쌓인 돌무더기 위에 논이 얹힌 모양샙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이자 세계중요농업유산인 청산도의 구들장 논입니다.
<인터뷰> 이기채(청산도 구들장논 보존협의회장) : "언덕이 높잖아요. 그래서 돌을 이렇게 메꿔가지고 논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 구들식으로 이렇게 놨다는 이야기에요. 흙이 부족해서."
내부는 4중 구조인데 바닥은 석축과 구들 모양의 널찍한 돌을 얹어 만든 통수로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 위를 진흙과 잔돌을 섞은 방수층으로 덮은 뒤 다시 작물을 키울 표토를 깔아 땅 위와 땅 밑의 물까지 잡는 이중 관개 시설의 원리를 담았습니다.
통수로를 통해 내려온 물은 샛똘이라고 불리는 돌로 만든 수로를 통해 아래 논으로 이어집니다.
이 때문에 구들장 논은 표층수만을 사용하는 일반 논과 달리 물 대기를 조절하면 논과 밭 어떤 형태로도 경작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준(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원) : "지구상의 보편적인 초기 전통농업의 원형이 청산도에 그대로 남아있다 라고 하는게 굉장히 의미가 큰 것이다."
척박한 섬에서 벼 농사를 짓기 위해 3백여년전부터 조성된 구들장 논은 5ha 가량.
하지만 고령화 등으로 최근 휴경지가 차츰 늘고 있어 보전 대책 마련도 절실합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
-
박지성 기자 jsp@kbs.co.kr
박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