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2월 前 추경…“예산 30% 1분기 조기 집행”
입력 2016.12.24 (06:42)
수정 2016.12.24 (07: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장기화된 경기 침체에 사상 최대의 가계 부채 등 민생 경제의 한파가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정부와 새누리당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내년 2월 전에 추경예산안을 편성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예산의 30%를 1분기에 조기 집행하기로 했습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와 새누리당은 정부 돈을 예년보다 더 일찍, 더 많이 풀어 경기 침체를 막기로 했습니다.
내년 1분기에만 예산의 30% 이상을 집행하는 등 상반기에만 전체 나랏돈의 60% 이상을 쓸 계획입니다.
또, 추가 경정 예산을 예년보다 서너달 빠른 내년 2월까지 편성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합니다.
<인터뷰> 이현재(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수출도 축소 지향형으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재정을 활용해서 우리 경제 살리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서민정책자금을 풀어 2조3천억원을 추가 지원하고 취약 계층 보호망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권리금 보호대상에 전통시장을 넣고,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도 늘립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대형 조선3사를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내년초까지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유일호(경제부총리) : "(미국 금리인상 등) 대외 충격 만만치 않습니다. 대내외 리스크 관리도 강조했지만 민생 안정 최선 다하겠습니다."
야당 역시 조기 추경 편성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통과도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김진표(민주당 의원/지난 19일) : "내년도에 추경 편성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1/4분기에는 적어도 추경 편성을 완료해서."
당정은 1300조원을 돌파한 가계 부채 문제에 대해서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장기화된 경기 침체에 사상 최대의 가계 부채 등 민생 경제의 한파가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정부와 새누리당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내년 2월 전에 추경예산안을 편성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예산의 30%를 1분기에 조기 집행하기로 했습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와 새누리당은 정부 돈을 예년보다 더 일찍, 더 많이 풀어 경기 침체를 막기로 했습니다.
내년 1분기에만 예산의 30% 이상을 집행하는 등 상반기에만 전체 나랏돈의 60% 이상을 쓸 계획입니다.
또, 추가 경정 예산을 예년보다 서너달 빠른 내년 2월까지 편성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합니다.
<인터뷰> 이현재(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수출도 축소 지향형으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재정을 활용해서 우리 경제 살리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서민정책자금을 풀어 2조3천억원을 추가 지원하고 취약 계층 보호망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권리금 보호대상에 전통시장을 넣고,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도 늘립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대형 조선3사를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내년초까지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유일호(경제부총리) : "(미국 금리인상 등) 대외 충격 만만치 않습니다. 대내외 리스크 관리도 강조했지만 민생 안정 최선 다하겠습니다."
야당 역시 조기 추경 편성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통과도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김진표(민주당 의원/지난 19일) : "내년도에 추경 편성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1/4분기에는 적어도 추경 편성을 완료해서."
당정은 1300조원을 돌파한 가계 부채 문제에 대해서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당정, 2월 前 추경…“예산 30% 1분기 조기 집행”
-
- 입력 2016-12-24 06:42:37
- 수정2016-12-24 07:11:52

<앵커 멘트>
장기화된 경기 침체에 사상 최대의 가계 부채 등 민생 경제의 한파가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정부와 새누리당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내년 2월 전에 추경예산안을 편성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예산의 30%를 1분기에 조기 집행하기로 했습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와 새누리당은 정부 돈을 예년보다 더 일찍, 더 많이 풀어 경기 침체를 막기로 했습니다.
내년 1분기에만 예산의 30% 이상을 집행하는 등 상반기에만 전체 나랏돈의 60% 이상을 쓸 계획입니다.
또, 추가 경정 예산을 예년보다 서너달 빠른 내년 2월까지 편성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합니다.
<인터뷰> 이현재(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수출도 축소 지향형으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재정을 활용해서 우리 경제 살리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서민정책자금을 풀어 2조3천억원을 추가 지원하고 취약 계층 보호망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권리금 보호대상에 전통시장을 넣고,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도 늘립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대형 조선3사를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내년초까지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유일호(경제부총리) : "(미국 금리인상 등) 대외 충격 만만치 않습니다. 대내외 리스크 관리도 강조했지만 민생 안정 최선 다하겠습니다."
야당 역시 조기 추경 편성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통과도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김진표(민주당 의원/지난 19일) : "내년도에 추경 편성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1/4분기에는 적어도 추경 편성을 완료해서."
당정은 1300조원을 돌파한 가계 부채 문제에 대해서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장기화된 경기 침체에 사상 최대의 가계 부채 등 민생 경제의 한파가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정부와 새누리당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내년 2월 전에 추경예산안을 편성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예산의 30%를 1분기에 조기 집행하기로 했습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와 새누리당은 정부 돈을 예년보다 더 일찍, 더 많이 풀어 경기 침체를 막기로 했습니다.
내년 1분기에만 예산의 30% 이상을 집행하는 등 상반기에만 전체 나랏돈의 60% 이상을 쓸 계획입니다.
또, 추가 경정 예산을 예년보다 서너달 빠른 내년 2월까지 편성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합니다.
<인터뷰> 이현재(새누리당 정책위의장) : "수출도 축소 지향형으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재정을 활용해서 우리 경제 살리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서민정책자금을 풀어 2조3천억원을 추가 지원하고 취약 계층 보호망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권리금 보호대상에 전통시장을 넣고,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도 늘립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대형 조선3사를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내년초까지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유일호(경제부총리) : "(미국 금리인상 등) 대외 충격 만만치 않습니다. 대내외 리스크 관리도 강조했지만 민생 안정 최선 다하겠습니다."
야당 역시 조기 추경 편성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통과도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김진표(민주당 의원/지난 19일) : "내년도에 추경 편성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1/4분기에는 적어도 추경 편성을 완료해서."
당정은 1300조원을 돌파한 가계 부채 문제에 대해서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