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앞두고 물가 껑충…서민 물가 ‘비상’
입력 2017.01.05 (18:09)
수정 2017.01.05 (18: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AI 여파로 달걀값이 크게 오른 가운데 아이스크림과 음료수, 세제 등의 가격도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라면과 맥주, 빵 등은 이미 가격이 올라 설 연휴를 앞두고 서민 물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 지만, 소비자 체감 물가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의 참가격 비교 사이트에 따르면 서민 생활과 밀접한 소비재들 가운데, 최근 6개월 동안 10% 가까이 값이 오른 품목이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아이스크림과 음료 등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이 두드려졌습니다.
지난해 6월과 지난달 가격을 비교했을 때 롯데푸드의 돼지바는 11.6%, 빙그레의 메로나는 11.9%, 해태제과의 바밤바는 12.7%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음료수 중에서는 코카콜라 1.8L짜리와 게토레이 600mL짜리의 값이 각각 6.8%와 14.7% 올랐습니다.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생활용품값도 인상됐습니다.
LG생활건강의 자연퐁은 6개월 전보다 11% 정도 값이 올랐고 듀라셀 건전지도 10% 넘게 값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농심은 지난달 18개 품목의 라면값을 평균 5.5% 인상했고, 오비와 하이트 진로도 맥줏값을 평균 6%씩, 파리바게뜨도 6% 넘게 빵값을 올렸습니다.
이런 가운데 AI 여파로 특란 30개들이 1판의 소비잣값이 1년 전에 비해 66%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달걀과 돼지고기, 닭고기 등 성수품의 공급 안정 등을 위해 수급 안정 대책반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AI 여파로 달걀값이 크게 오른 가운데 아이스크림과 음료수, 세제 등의 가격도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라면과 맥주, 빵 등은 이미 가격이 올라 설 연휴를 앞두고 서민 물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 지만, 소비자 체감 물가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의 참가격 비교 사이트에 따르면 서민 생활과 밀접한 소비재들 가운데, 최근 6개월 동안 10% 가까이 값이 오른 품목이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아이스크림과 음료 등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이 두드려졌습니다.
지난해 6월과 지난달 가격을 비교했을 때 롯데푸드의 돼지바는 11.6%, 빙그레의 메로나는 11.9%, 해태제과의 바밤바는 12.7%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음료수 중에서는 코카콜라 1.8L짜리와 게토레이 600mL짜리의 값이 각각 6.8%와 14.7% 올랐습니다.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생활용품값도 인상됐습니다.
LG생활건강의 자연퐁은 6개월 전보다 11% 정도 값이 올랐고 듀라셀 건전지도 10% 넘게 값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농심은 지난달 18개 품목의 라면값을 평균 5.5% 인상했고, 오비와 하이트 진로도 맥줏값을 평균 6%씩, 파리바게뜨도 6% 넘게 빵값을 올렸습니다.
이런 가운데 AI 여파로 특란 30개들이 1판의 소비잣값이 1년 전에 비해 66%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달걀과 돼지고기, 닭고기 등 성수품의 공급 안정 등을 위해 수급 안정 대책반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설 앞두고 물가 껑충…서민 물가 ‘비상’
-
- 입력 2017-01-05 18:10:15
- 수정2017-01-05 18:30:53

<앵커 멘트>
AI 여파로 달걀값이 크게 오른 가운데 아이스크림과 음료수, 세제 등의 가격도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라면과 맥주, 빵 등은 이미 가격이 올라 설 연휴를 앞두고 서민 물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 지만, 소비자 체감 물가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의 참가격 비교 사이트에 따르면 서민 생활과 밀접한 소비재들 가운데, 최근 6개월 동안 10% 가까이 값이 오른 품목이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아이스크림과 음료 등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이 두드려졌습니다.
지난해 6월과 지난달 가격을 비교했을 때 롯데푸드의 돼지바는 11.6%, 빙그레의 메로나는 11.9%, 해태제과의 바밤바는 12.7%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음료수 중에서는 코카콜라 1.8L짜리와 게토레이 600mL짜리의 값이 각각 6.8%와 14.7% 올랐습니다.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생활용품값도 인상됐습니다.
LG생활건강의 자연퐁은 6개월 전보다 11% 정도 값이 올랐고 듀라셀 건전지도 10% 넘게 값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농심은 지난달 18개 품목의 라면값을 평균 5.5% 인상했고, 오비와 하이트 진로도 맥줏값을 평균 6%씩, 파리바게뜨도 6% 넘게 빵값을 올렸습니다.
이런 가운데 AI 여파로 특란 30개들이 1판의 소비잣값이 1년 전에 비해 66%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달걀과 돼지고기, 닭고기 등 성수품의 공급 안정 등을 위해 수급 안정 대책반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AI 여파로 달걀값이 크게 오른 가운데 아이스크림과 음료수, 세제 등의 가격도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라면과 맥주, 빵 등은 이미 가격이 올라 설 연휴를 앞두고 서민 물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 지만, 소비자 체감 물가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의 참가격 비교 사이트에 따르면 서민 생활과 밀접한 소비재들 가운데, 최근 6개월 동안 10% 가까이 값이 오른 품목이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아이스크림과 음료 등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이 두드려졌습니다.
지난해 6월과 지난달 가격을 비교했을 때 롯데푸드의 돼지바는 11.6%, 빙그레의 메로나는 11.9%, 해태제과의 바밤바는 12.7%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음료수 중에서는 코카콜라 1.8L짜리와 게토레이 600mL짜리의 값이 각각 6.8%와 14.7% 올랐습니다.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생활용품값도 인상됐습니다.
LG생활건강의 자연퐁은 6개월 전보다 11% 정도 값이 올랐고 듀라셀 건전지도 10% 넘게 값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농심은 지난달 18개 품목의 라면값을 평균 5.5% 인상했고, 오비와 하이트 진로도 맥줏값을 평균 6%씩, 파리바게뜨도 6% 넘게 빵값을 올렸습니다.
이런 가운데 AI 여파로 특란 30개들이 1판의 소비잣값이 1년 전에 비해 66%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달걀과 돼지고기, 닭고기 등 성수품의 공급 안정 등을 위해 수급 안정 대책반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
오대성 기자 ohwhy@kbs.co.kr
오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