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노벨 석학들, 트럼프 경제정책 우려…“부채급증·경기침체”

입력 2017.01.09 (03:49) 수정 2017.01.09 (05: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벨상을 받은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운을 뗀 경제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주저했다. 미국 경제를 깊은 침체로 몰아갈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7일(현지시간) 신화,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컬럼비아대 에드먼드 펠프스 교수는 전날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경제학회 연례회의에서 트럼프 당선인의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 계획에 대해 "공공부채가 폭발할 경우 심각한 신용 부족과 깊은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약 1조 달러(약 1천205조 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와 함께, 소득세 최고세율을 39.6%에서 33%로, 법인세는 35%에서 15%로 하향 조정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펠프스 교수는 또 트럼프의 특정 기업 '때리기'에 대해 "혁신의 과정에 못을 박으려고 위협하고 있다"면서 이런 행태를 시장에 대한 간섭으로 규정했다.

이어서 "역사에 비춰보면 보호주의와 정부간섭을 확대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혁신을 일으키기보다는 방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인의 일자리를 배려하지 않는다면서 제너럴모터스(GM)·포드·도요타를, 정부 납품가가 너무 비싸다며 보잉, 록히드마틴 등의 경영전략을 직설적으로 비판하며 수정을 압박한 바 있다.

시카고대 로저 마이어슨 교수도 '미국 우선주의'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우려했다.

마이어슨 교수는 전임 대통령들은 과거 대규모 재정적자를 외국의 미국 국채 매입으로 지탱할 수 있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외국인의 미 국채 매입을 보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프린스턴대 앵거스 디턴 교수은 미국과 중국의 날로 악화하는 관계에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중국이 어려운 경제여건을 맞는 가운데, 트럼프의 대선 승리 전보다도 더욱 호전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컬럼비아대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는 패널 토론을 종합하며 "트럼프가 제시한 정책들이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과 다른 국가들과의 상호관계는 신뢰와 믿음에 기초해야 한다"면서 신뢰가 약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예일대 로버트 실러 교수는 패널 토론에서 유일하게 트럼프를 비판하지 않은 학자였다. 그는 "나는 태생적인 낙관주의자로, 얼마나 상황이 나빠질지 추론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노벨 석학들, 트럼프 경제정책 우려…“부채급증·경기침체”
    • 입력 2017-01-09 03:49:50
    • 수정2017-01-09 05:04:05
    국제
노벨상을 받은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운을 뗀 경제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주저했다. 미국 경제를 깊은 침체로 몰아갈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7일(현지시간) 신화,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컬럼비아대 에드먼드 펠프스 교수는 전날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경제학회 연례회의에서 트럼프 당선인의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 계획에 대해 "공공부채가 폭발할 경우 심각한 신용 부족과 깊은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약 1조 달러(약 1천205조 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와 함께, 소득세 최고세율을 39.6%에서 33%로, 법인세는 35%에서 15%로 하향 조정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펠프스 교수는 또 트럼프의 특정 기업 '때리기'에 대해 "혁신의 과정에 못을 박으려고 위협하고 있다"면서 이런 행태를 시장에 대한 간섭으로 규정했다.

이어서 "역사에 비춰보면 보호주의와 정부간섭을 확대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혁신을 일으키기보다는 방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인의 일자리를 배려하지 않는다면서 제너럴모터스(GM)·포드·도요타를, 정부 납품가가 너무 비싸다며 보잉, 록히드마틴 등의 경영전략을 직설적으로 비판하며 수정을 압박한 바 있다.

시카고대 로저 마이어슨 교수도 '미국 우선주의'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우려했다.

마이어슨 교수는 전임 대통령들은 과거 대규모 재정적자를 외국의 미국 국채 매입으로 지탱할 수 있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외국인의 미 국채 매입을 보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프린스턴대 앵거스 디턴 교수은 미국과 중국의 날로 악화하는 관계에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중국이 어려운 경제여건을 맞는 가운데, 트럼프의 대선 승리 전보다도 더욱 호전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컬럼비아대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는 패널 토론을 종합하며 "트럼프가 제시한 정책들이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과 다른 국가들과의 상호관계는 신뢰와 믿음에 기초해야 한다"면서 신뢰가 약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예일대 로버트 실러 교수는 패널 토론에서 유일하게 트럼프를 비판하지 않은 학자였다. 그는 "나는 태생적인 낙관주의자로, 얼마나 상황이 나빠질지 추론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