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농도 미세먼지 예보정확도 70%로 높인다
입력 2017.01.09 (09:33)
수정 2017.01.09 (09: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초부터 미세먼지 공습이 이어진 가운데 정부가 올해 고농도 미세먼지 예보정확도를 기존의 63%에서 70%로 높이기로 했다.
환경부는 오늘(9일) 새해 업무보고에서, 4월부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보모델을 시범운영하고, 초미세먼지 측정망을 191곳에서 287곳으로 확충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와함께 4월부터 중국 동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중 대기오염 공동연구에 착수하고, 현지 공동저감사업을 산둥 ,하북 ,산서성에서 요녕성, 내몽고 지역으로 확대하는 등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노후경유차의 수도권 운행제한 제도와 함께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 9기의 배출기준을 기존대비 5배 강화하는 방안도 시행한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와 관련해 환경부는, 지난해까지 접수를 받은 피해신고자 4,438명을 대상으로 폐 질환에 대해서는 올해안에 조사와 판정을 마무리하고, 태아 피해와 천식 등 폐 이외 질환에 대해서는 올해 안에 질환병 판정기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올해 상반기 중으로 살생물제와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고 문제가 된 제품은 리콜 조치하는 한편, 위해우려제품을 18종에서 27종으로 확대해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 급속충전기를 지난해 750기에서 올해 2,610기로 늘리고 화물차와 초소형차 등으로 보조금 지급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환경부는 올해 지진 관측망을 156곳에서 201곳으로 확충하고, 11월까지 지진 긴급재난문자 송출 전용시스템을 구축한다. 지진 조기경보 통보시간은 기존 50초에서 일본 수준인 25초 이내로 단축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오늘(9일) 새해 업무보고에서, 4월부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보모델을 시범운영하고, 초미세먼지 측정망을 191곳에서 287곳으로 확충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와함께 4월부터 중국 동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중 대기오염 공동연구에 착수하고, 현지 공동저감사업을 산둥 ,하북 ,산서성에서 요녕성, 내몽고 지역으로 확대하는 등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노후경유차의 수도권 운행제한 제도와 함께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 9기의 배출기준을 기존대비 5배 강화하는 방안도 시행한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와 관련해 환경부는, 지난해까지 접수를 받은 피해신고자 4,438명을 대상으로 폐 질환에 대해서는 올해안에 조사와 판정을 마무리하고, 태아 피해와 천식 등 폐 이외 질환에 대해서는 올해 안에 질환병 판정기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올해 상반기 중으로 살생물제와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고 문제가 된 제품은 리콜 조치하는 한편, 위해우려제품을 18종에서 27종으로 확대해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 급속충전기를 지난해 750기에서 올해 2,610기로 늘리고 화물차와 초소형차 등으로 보조금 지급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환경부는 올해 지진 관측망을 156곳에서 201곳으로 확충하고, 11월까지 지진 긴급재난문자 송출 전용시스템을 구축한다. 지진 조기경보 통보시간은 기존 50초에서 일본 수준인 25초 이내로 단축할 계획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농도 미세먼지 예보정확도 70%로 높인다
-
- 입력 2017-01-09 09:33:08
- 수정2017-01-09 09:58:11

연초부터 미세먼지 공습이 이어진 가운데 정부가 올해 고농도 미세먼지 예보정확도를 기존의 63%에서 70%로 높이기로 했다.
환경부는 오늘(9일) 새해 업무보고에서, 4월부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보모델을 시범운영하고, 초미세먼지 측정망을 191곳에서 287곳으로 확충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와함께 4월부터 중국 동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중 대기오염 공동연구에 착수하고, 현지 공동저감사업을 산둥 ,하북 ,산서성에서 요녕성, 내몽고 지역으로 확대하는 등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노후경유차의 수도권 운행제한 제도와 함께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 9기의 배출기준을 기존대비 5배 강화하는 방안도 시행한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와 관련해 환경부는, 지난해까지 접수를 받은 피해신고자 4,438명을 대상으로 폐 질환에 대해서는 올해안에 조사와 판정을 마무리하고, 태아 피해와 천식 등 폐 이외 질환에 대해서는 올해 안에 질환병 판정기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올해 상반기 중으로 살생물제와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고 문제가 된 제품은 리콜 조치하는 한편, 위해우려제품을 18종에서 27종으로 확대해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 급속충전기를 지난해 750기에서 올해 2,610기로 늘리고 화물차와 초소형차 등으로 보조금 지급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환경부는 올해 지진 관측망을 156곳에서 201곳으로 확충하고, 11월까지 지진 긴급재난문자 송출 전용시스템을 구축한다. 지진 조기경보 통보시간은 기존 50초에서 일본 수준인 25초 이내로 단축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오늘(9일) 새해 업무보고에서, 4월부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보모델을 시범운영하고, 초미세먼지 측정망을 191곳에서 287곳으로 확충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와함께 4월부터 중국 동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중 대기오염 공동연구에 착수하고, 현지 공동저감사업을 산둥 ,하북 ,산서성에서 요녕성, 내몽고 지역으로 확대하는 등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노후경유차의 수도권 운행제한 제도와 함께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 9기의 배출기준을 기존대비 5배 강화하는 방안도 시행한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와 관련해 환경부는, 지난해까지 접수를 받은 피해신고자 4,438명을 대상으로 폐 질환에 대해서는 올해안에 조사와 판정을 마무리하고, 태아 피해와 천식 등 폐 이외 질환에 대해서는 올해 안에 질환병 판정기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올해 상반기 중으로 살생물제와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고 문제가 된 제품은 리콜 조치하는 한편, 위해우려제품을 18종에서 27종으로 확대해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 급속충전기를 지난해 750기에서 올해 2,610기로 늘리고 화물차와 초소형차 등으로 보조금 지급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환경부는 올해 지진 관측망을 156곳에서 201곳으로 확충하고, 11월까지 지진 긴급재난문자 송출 전용시스템을 구축한다. 지진 조기경보 통보시간은 기존 50초에서 일본 수준인 25초 이내로 단축할 계획이다.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