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국보급 반가사유상, 일본서 발견

입력 2017.01.09 (10:42) 수정 2017.01.09 (11: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삼국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반가사유상이 일본에서 새롭게 발견돼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삼국시대 만들어진 반가사유상은 한일 양국에서 각각 국보로 지정돼 있을 만큼 예술성과 희소성을 인정받고 있는 불상입니다.

고아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손을 볼에 살포시 대고 부드러운 미소를 짓고 있는 불상.

화려한 모자 장식에 섬세하고 유려하게 흘러내린 옷자락까지 우리나라 국보인 반가사유상을 연상시킵니다.

높이 50cm 정도의 이 불상이 1500여년 전, 6~7세기에 한국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동안 이 반가사유상은 일본 교토의 작은 절에 모셔져 있었고 17~18세기 에도 시대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도쿄국립박물관과 오사카대 연구팀의 감정 결과 이마에 새겨진 문양이나 용 디자인 등이 6~7세기경 한국에서 만들어진 불상의 특징과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진 겁니다. 불교가 일본에 전래되던 시깁니다.

<인터뷰> 후지오카 미노루(오사카대 교수) : "일본 내에서도 국보급이나 거기에 필적할 만한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또 반가사유상의 구성 성분 또한 구리가 90%, 주석이 10% 정도로 삼국시대 불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 불상이 언제 어떤 경로로 일본에 전해졌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일본 국보 1호도 삼국시대 한국에서 만들어져 건너간 목조 반가사유상으로 그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삼국시대 국보급 반가사유상, 일본서 발견
    • 입력 2017-01-09 10:39:04
    • 수정2017-01-09 11:07:28
    지구촌뉴스
<앵커 멘트>

삼국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반가사유상이 일본에서 새롭게 발견돼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삼국시대 만들어진 반가사유상은 한일 양국에서 각각 국보로 지정돼 있을 만큼 예술성과 희소성을 인정받고 있는 불상입니다.

고아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손을 볼에 살포시 대고 부드러운 미소를 짓고 있는 불상.

화려한 모자 장식에 섬세하고 유려하게 흘러내린 옷자락까지 우리나라 국보인 반가사유상을 연상시킵니다.

높이 50cm 정도의 이 불상이 1500여년 전, 6~7세기에 한국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동안 이 반가사유상은 일본 교토의 작은 절에 모셔져 있었고 17~18세기 에도 시대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도쿄국립박물관과 오사카대 연구팀의 감정 결과 이마에 새겨진 문양이나 용 디자인 등이 6~7세기경 한국에서 만들어진 불상의 특징과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진 겁니다. 불교가 일본에 전래되던 시깁니다.

<인터뷰> 후지오카 미노루(오사카대 교수) : "일본 내에서도 국보급이나 거기에 필적할 만한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또 반가사유상의 구성 성분 또한 구리가 90%, 주석이 10% 정도로 삼국시대 불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 불상이 언제 어떤 경로로 일본에 전해졌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일본 국보 1호도 삼국시대 한국에서 만들어져 건너간 목조 반가사유상으로 그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