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체감경기’ 외환위기 수준까지 떨어졌다
입력 2017.01.09 (13:00)
수정 2017.01.09 (13: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해 국내 제조업체의 체감경기가 외환위기 수준까지 떨어졌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2천400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7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 BSI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BSI가 전 분기 86 대비 18포인트 급락한 68로 파악됐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BSI 지수 61~75포인트와 비슷한 수준이다.
지역별 BSI는 중국 특수를 누리던 제주마저 91까지 떨어졌다. 대전(79), 충남(78), 경남(76), 부산(72), 전북(72), 충북(71), 대구(71), 울산(71), 경기(70), 서울(68), 전남(68), 경북(67), 광주(66), 인천(62), 강원(61) 순으로 모두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이처럼 체감경기가 악화한 이유에 대해 응답 기업들은 대내적 요인으로 정치갈등에 따른 사회혼란(40.0%), 자금조달 어려움(39.2%), 기업 관련 규제(31.6%), 소득양극화(10.8%)를 꼽았고, 대외적 요인으로는 중국 성장률 둔화(42.4%), 보호무역주의 확산(32.3%), 미국 금리인상과 금융여건 악화(28.4%)를 들었다.
대한상의는 "수출과 내수 동반침체로 2010년 18.5% 수준이던 제조업 매출증가율이 지난해 마이너스 3.0%까지 떨어졌다. 미국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브레이크로 자금난까지 이어지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기업들의 새해 경영방침은 절반가량(50.6%)이 보수경영 기조를 밝혔다.
취업문도 더 좁아질 전망이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는 기업은 27.7%에 불과했고 49.6%는 지난해와 비슷하게 유지하거나 줄이겠다고 답했다.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기업도 22.7%에 달했다.
기업들은 올해 시급한 정책 과제로 소비심리 회복(55.7%)을 손꼽았다. 이어 금융시장 안정화(41.6%), 정치갈등 해소(36.3%), 규제 개선(33.0%)을 희망했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2천400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7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 BSI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BSI가 전 분기 86 대비 18포인트 급락한 68로 파악됐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BSI 지수 61~75포인트와 비슷한 수준이다.
지역별 BSI는 중국 특수를 누리던 제주마저 91까지 떨어졌다. 대전(79), 충남(78), 경남(76), 부산(72), 전북(72), 충북(71), 대구(71), 울산(71), 경기(70), 서울(68), 전남(68), 경북(67), 광주(66), 인천(62), 강원(61) 순으로 모두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이처럼 체감경기가 악화한 이유에 대해 응답 기업들은 대내적 요인으로 정치갈등에 따른 사회혼란(40.0%), 자금조달 어려움(39.2%), 기업 관련 규제(31.6%), 소득양극화(10.8%)를 꼽았고, 대외적 요인으로는 중국 성장률 둔화(42.4%), 보호무역주의 확산(32.3%), 미국 금리인상과 금융여건 악화(28.4%)를 들었다.
대한상의는 "수출과 내수 동반침체로 2010년 18.5% 수준이던 제조업 매출증가율이 지난해 마이너스 3.0%까지 떨어졌다. 미국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브레이크로 자금난까지 이어지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기업들의 새해 경영방침은 절반가량(50.6%)이 보수경영 기조를 밝혔다.
취업문도 더 좁아질 전망이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는 기업은 27.7%에 불과했고 49.6%는 지난해와 비슷하게 유지하거나 줄이겠다고 답했다.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기업도 22.7%에 달했다.
기업들은 올해 시급한 정책 과제로 소비심리 회복(55.7%)을 손꼽았다. 이어 금융시장 안정화(41.6%), 정치갈등 해소(36.3%), 규제 개선(33.0%)을 희망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업 ‘체감경기’ 외환위기 수준까지 떨어졌다
-
- 입력 2017-01-09 13:00:41
- 수정2017-01-09 13:20:48

새해 국내 제조업체의 체감경기가 외환위기 수준까지 떨어졌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2천400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7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 BSI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BSI가 전 분기 86 대비 18포인트 급락한 68로 파악됐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BSI 지수 61~75포인트와 비슷한 수준이다.
지역별 BSI는 중국 특수를 누리던 제주마저 91까지 떨어졌다. 대전(79), 충남(78), 경남(76), 부산(72), 전북(72), 충북(71), 대구(71), 울산(71), 경기(70), 서울(68), 전남(68), 경북(67), 광주(66), 인천(62), 강원(61) 순으로 모두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이처럼 체감경기가 악화한 이유에 대해 응답 기업들은 대내적 요인으로 정치갈등에 따른 사회혼란(40.0%), 자금조달 어려움(39.2%), 기업 관련 규제(31.6%), 소득양극화(10.8%)를 꼽았고, 대외적 요인으로는 중국 성장률 둔화(42.4%), 보호무역주의 확산(32.3%), 미국 금리인상과 금융여건 악화(28.4%)를 들었다.
대한상의는 "수출과 내수 동반침체로 2010년 18.5% 수준이던 제조업 매출증가율이 지난해 마이너스 3.0%까지 떨어졌다. 미국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브레이크로 자금난까지 이어지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기업들의 새해 경영방침은 절반가량(50.6%)이 보수경영 기조를 밝혔다.
취업문도 더 좁아질 전망이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는 기업은 27.7%에 불과했고 49.6%는 지난해와 비슷하게 유지하거나 줄이겠다고 답했다.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기업도 22.7%에 달했다.
기업들은 올해 시급한 정책 과제로 소비심리 회복(55.7%)을 손꼽았다. 이어 금융시장 안정화(41.6%), 정치갈등 해소(36.3%), 규제 개선(33.0%)을 희망했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2천400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7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 BSI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BSI가 전 분기 86 대비 18포인트 급락한 68로 파악됐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BSI 지수 61~75포인트와 비슷한 수준이다.
지역별 BSI는 중국 특수를 누리던 제주마저 91까지 떨어졌다. 대전(79), 충남(78), 경남(76), 부산(72), 전북(72), 충북(71), 대구(71), 울산(71), 경기(70), 서울(68), 전남(68), 경북(67), 광주(66), 인천(62), 강원(61) 순으로 모두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이처럼 체감경기가 악화한 이유에 대해 응답 기업들은 대내적 요인으로 정치갈등에 따른 사회혼란(40.0%), 자금조달 어려움(39.2%), 기업 관련 규제(31.6%), 소득양극화(10.8%)를 꼽았고, 대외적 요인으로는 중국 성장률 둔화(42.4%), 보호무역주의 확산(32.3%), 미국 금리인상과 금융여건 악화(28.4%)를 들었다.
대한상의는 "수출과 내수 동반침체로 2010년 18.5% 수준이던 제조업 매출증가율이 지난해 마이너스 3.0%까지 떨어졌다. 미국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브레이크로 자금난까지 이어지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기업들의 새해 경영방침은 절반가량(50.6%)이 보수경영 기조를 밝혔다.
취업문도 더 좁아질 전망이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는 기업은 27.7%에 불과했고 49.6%는 지난해와 비슷하게 유지하거나 줄이겠다고 답했다.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기업도 22.7%에 달했다.
기업들은 올해 시급한 정책 과제로 소비심리 회복(55.7%)을 손꼽았다. 이어 금융시장 안정화(41.6%), 정치갈등 해소(36.3%), 규제 개선(33.0%)을 희망했다.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