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안희정 “세종을 정치·행정수도로”

입력 2017.01.09 (15:36) 수정 2017.01.09 (15: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안희정 충남지사는 "세종시를 정치·행정수도로 완성하자는데 뜻을 같이했다"고 선언했다.

남경필·안희정 지사는 9일(오늘) 오전, 국회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소속 정당은 다르지만 세종시를 완성해 대한민국의 미래 비전을 바로 세우자는데 결의했다. 특히 오늘 발표한 내용을 모든 대선 주자들이 공약으로 채택해줄 것을 촉구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남경필 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앙정부는 국정운영의 '컨트롤 타워'로서 이미 한계에 이르고 있다"며,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 때 중앙정부는 갈피를 잡지 못했다. 현장 정보 취합은 늦었고 지시는 번번이 현실과 동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 됐다"며, "권력집중으로 비대해진 중앙권력은 곳곳이 썩어들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안희정 지사는 이어 "가장 효과적인 처방은 권력과 부를 분산하는 것"이라면서, "당장 청와대와 재벌, 검찰에 대한 견제장치를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보다 효과적 처방을 위해 서울에 몰려있는 부와 권력을 전국으로 흩어놓아야 한다"고 청사진을 펼쳤다.

그러면서 "정치·행정수도 세종의 완성을 그 출발점으로 삼자고 제안한다"면서, "국회와 청와대, 대법원과 대검 등을 세종시로 완전하게 이전하는 것이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남경필 지사와 안희정 지사는 기자회견 뒤 기자들과 만나, 세종시를 정치·행정수도로 만들려면 개헌이 필요하지 않으냐는 질문에도 각각 답했다.

남 지사는 "정공법이 좋다"면서, "개헌 시기는 대선 전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대선 전에는 어렵다고 보고 대선 후 개헌에서 권력 구조만 넣지 말고 수도 이전과 같은 사안까지 넣어서 개헌 추진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안 지사는 같은 질문에 "개헌으로 푸는 방법도 있고, 관습 헌법은 관습 헌법으로 푸는 방법도 있다"면서,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건설되고, 국회와 각 기관이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공간이 마련된다면 서울이 서울이라는 상식도 바뀔 것이고 그러면 (관습헌법으로서의 수도 서울에 대한) 헌재의 판단도 달라질 여지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개헌이든 관습헌법의 재해석이든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서 행정수도 이전을 마무리하겠다는 대한민국 미래정책이 꼭 시행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각 당 지도부와 상의가 된 것이냐는 질문에 안 지사는 "두 사람 모두 도지사이면서 각 정당의 대선 후보로 도전을 선언한 사람들"이라며, "차기 정부의 운영 미래를 놓고, 우리는 후보 자격 놓고 오늘 합의된 사항을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과거 참여정부 시절 세종시로의 수도 이전을 반대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남 지사는 "도지사가 돼서 실제로 도정을 운영하다 보니 국민 한분 한분의 삶의 질에 어떤 것이 좋은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집중의 폐해가 너무 크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 생각을 적극적으로 바꾼 계기"라고 설명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경필-안희정 “세종을 정치·행정수도로”
    • 입력 2017-01-09 15:36:01
    • 수정2017-01-09 15:43:21
    정치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안희정 충남지사는 "세종시를 정치·행정수도로 완성하자는데 뜻을 같이했다"고 선언했다.

남경필·안희정 지사는 9일(오늘) 오전, 국회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소속 정당은 다르지만 세종시를 완성해 대한민국의 미래 비전을 바로 세우자는데 결의했다. 특히 오늘 발표한 내용을 모든 대선 주자들이 공약으로 채택해줄 것을 촉구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남경필 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앙정부는 국정운영의 '컨트롤 타워'로서 이미 한계에 이르고 있다"며,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 때 중앙정부는 갈피를 잡지 못했다. 현장 정보 취합은 늦었고 지시는 번번이 현실과 동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 됐다"며, "권력집중으로 비대해진 중앙권력은 곳곳이 썩어들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안희정 지사는 이어 "가장 효과적인 처방은 권력과 부를 분산하는 것"이라면서, "당장 청와대와 재벌, 검찰에 대한 견제장치를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보다 효과적 처방을 위해 서울에 몰려있는 부와 권력을 전국으로 흩어놓아야 한다"고 청사진을 펼쳤다.

그러면서 "정치·행정수도 세종의 완성을 그 출발점으로 삼자고 제안한다"면서, "국회와 청와대, 대법원과 대검 등을 세종시로 완전하게 이전하는 것이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남경필 지사와 안희정 지사는 기자회견 뒤 기자들과 만나, 세종시를 정치·행정수도로 만들려면 개헌이 필요하지 않으냐는 질문에도 각각 답했다.

남 지사는 "정공법이 좋다"면서, "개헌 시기는 대선 전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대선 전에는 어렵다고 보고 대선 후 개헌에서 권력 구조만 넣지 말고 수도 이전과 같은 사안까지 넣어서 개헌 추진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안 지사는 같은 질문에 "개헌으로 푸는 방법도 있고, 관습 헌법은 관습 헌법으로 푸는 방법도 있다"면서,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건설되고, 국회와 각 기관이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공간이 마련된다면 서울이 서울이라는 상식도 바뀔 것이고 그러면 (관습헌법으로서의 수도 서울에 대한) 헌재의 판단도 달라질 여지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개헌이든 관습헌법의 재해석이든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서 행정수도 이전을 마무리하겠다는 대한민국 미래정책이 꼭 시행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각 당 지도부와 상의가 된 것이냐는 질문에 안 지사는 "두 사람 모두 도지사이면서 각 정당의 대선 후보로 도전을 선언한 사람들"이라며, "차기 정부의 운영 미래를 놓고, 우리는 후보 자격 놓고 오늘 합의된 사항을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과거 참여정부 시절 세종시로의 수도 이전을 반대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남 지사는 "도지사가 돼서 실제로 도정을 운영하다 보니 국민 한분 한분의 삶의 질에 어떤 것이 좋은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집중의 폐해가 너무 크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 생각을 적극적으로 바꾼 계기"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