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왜 이 시점에 ICBM 도발 위협했나?

입력 2017.01.09 (21:09) 수정 2017.01.09 (21: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은 왜 하필, 이 시점에 ICBM 도발을 위협했을까요?

고은희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북한은 ICBM 도발 위협을 김정은 생일에 맞췄습니다.

더구나 현지시간 11일로 예정된 미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기자회견도 노렸습니다.

다시 한번 모든 것은 미국 탓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북한 외무성 대변인(어제) : "우리의 대륙간 탄도 로켓(미사일) 개발은 미국의 날로 악랄해지는 핵전쟁 위협에 대처한 자위적 국방력 강화의 일환이다."

ICBM 시험발사 준비가 마감단계에 이르렀다는 김정은 신년사와 그럴 일은 없을 것이라는 미 트럼프 당선자의 경고에 이은 것으로 김정은은 트럼프의 반응을 맞받아치며 위협수위를 한단계 고조시켰습니다.

특히, 오는 20일 미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위기 국면을 조성하면서 주도권을 행사하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인터뷰> 이수석(국가안보전략연구원 통일연구전략실장) : "미국의 트럼프 정부가 구체적인 대북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하기 전에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를 유도하고, 대북 제재를 완화시키려는 (의도입니다.)"

동시에 북한은 선전 매체를 동원해 한미 연합 훈련을 중지하라며 공세를 펼쳤습니다.

북한은 이를 통해 오는 3월 키리졸브 훈련을 빌미로 언제든 핵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할 명분 쌓기에도 나선 것으로 관측됩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왜 이 시점에 ICBM 도발 위협했나?
    • 입력 2017-01-09 21:11:00
    • 수정2017-01-09 21:15:23
    뉴스 9
<앵커 멘트>

북한은 왜 하필, 이 시점에 ICBM 도발을 위협했을까요?

고은희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북한은 ICBM 도발 위협을 김정은 생일에 맞췄습니다.

더구나 현지시간 11일로 예정된 미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기자회견도 노렸습니다.

다시 한번 모든 것은 미국 탓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북한 외무성 대변인(어제) : "우리의 대륙간 탄도 로켓(미사일) 개발은 미국의 날로 악랄해지는 핵전쟁 위협에 대처한 자위적 국방력 강화의 일환이다."

ICBM 시험발사 준비가 마감단계에 이르렀다는 김정은 신년사와 그럴 일은 없을 것이라는 미 트럼프 당선자의 경고에 이은 것으로 김정은은 트럼프의 반응을 맞받아치며 위협수위를 한단계 고조시켰습니다.

특히, 오는 20일 미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위기 국면을 조성하면서 주도권을 행사하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인터뷰> 이수석(국가안보전략연구원 통일연구전략실장) : "미국의 트럼프 정부가 구체적인 대북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하기 전에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를 유도하고, 대북 제재를 완화시키려는 (의도입니다.)"

동시에 북한은 선전 매체를 동원해 한미 연합 훈련을 중지하라며 공세를 펼쳤습니다.

북한은 이를 통해 오는 3월 키리졸브 훈련을 빌미로 언제든 핵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할 명분 쌓기에도 나선 것으로 관측됩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