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도시들 소득 대비 집값 폭등…서울은 세계 10위
입력 2017.01.18 (11:08)
수정 2017.01.18 (11: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17/01/18/3413491_eIO.jpg)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주요 대도시의 집값이 폭등해 소득 대비 주택가격이 런던이나 뉴욕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의 소득 대비 집값은 세계 10위 수준으로, 중위 소득을 벌어들이는 가계가 평균 가격 수준의 집값을 사려면 20년 가까이 걸릴 것으로 추산됐다.
영국의 경제분석기관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가 내놓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대도시 집값 평가' 보고서를 보면 전세계에서 가처분 소득 대비 집값이 가장 비싼 도시는 홍콩이었다.
이어 인도 뭄바이와 중국 베이징, 상하이가 각각 2∼4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에서는 중위 소득을 벌어들이는 가계가 90㎡(27평)의 아파트를 사려면 3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추산됐다.
이어 5위는 영국 런던, 6위는 일본 도쿄, 7위는 싱가포르, 8위는 프랑스 파리, 9위는 미국 뉴욕이 각각 차지했다. 서울은 세계 10위를 기록했다.
아시아 국가들의 집값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폭등했다. 인도 델리와 뭄바이의 집값은 2010년 2분기부터 작년 3분기까지 각각 220%와 150% 치솟았다. 홍콩의 집값은 2009년 초 이후 160% 뛰었으며, 중국의 베이징과 상하이 집값은 작년 들어 10월까지 무려 30% 폭등했다.
톈지에허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저금리로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에서 가처분소득 중 가계부채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미국보다 높아졌다"면서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아시아 지역의 금리가 상승하면 이는 주택가격을 끌어내리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의 소득 대비 집값은 세계 10위 수준으로, 중위 소득을 벌어들이는 가계가 평균 가격 수준의 집값을 사려면 20년 가까이 걸릴 것으로 추산됐다.
영국의 경제분석기관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가 내놓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대도시 집값 평가' 보고서를 보면 전세계에서 가처분 소득 대비 집값이 가장 비싼 도시는 홍콩이었다.
이어 인도 뭄바이와 중국 베이징, 상하이가 각각 2∼4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에서는 중위 소득을 벌어들이는 가계가 90㎡(27평)의 아파트를 사려면 3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추산됐다.
이어 5위는 영국 런던, 6위는 일본 도쿄, 7위는 싱가포르, 8위는 프랑스 파리, 9위는 미국 뉴욕이 각각 차지했다. 서울은 세계 10위를 기록했다.
아시아 국가들의 집값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폭등했다. 인도 델리와 뭄바이의 집값은 2010년 2분기부터 작년 3분기까지 각각 220%와 150% 치솟았다. 홍콩의 집값은 2009년 초 이후 160% 뛰었으며, 중국의 베이징과 상하이 집값은 작년 들어 10월까지 무려 30% 폭등했다.
톈지에허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저금리로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에서 가처분소득 중 가계부채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미국보다 높아졌다"면서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아시아 지역의 금리가 상승하면 이는 주택가격을 끌어내리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시아 도시들 소득 대비 집값 폭등…서울은 세계 10위
-
- 입력 2017-01-18 11:08:59
- 수정2017-01-18 11:16:47
![](/data/news/2017/01/18/3413491_eIO.jpg)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주요 대도시의 집값이 폭등해 소득 대비 주택가격이 런던이나 뉴욕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의 소득 대비 집값은 세계 10위 수준으로, 중위 소득을 벌어들이는 가계가 평균 가격 수준의 집값을 사려면 20년 가까이 걸릴 것으로 추산됐다.
영국의 경제분석기관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가 내놓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대도시 집값 평가' 보고서를 보면 전세계에서 가처분 소득 대비 집값이 가장 비싼 도시는 홍콩이었다.
이어 인도 뭄바이와 중국 베이징, 상하이가 각각 2∼4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에서는 중위 소득을 벌어들이는 가계가 90㎡(27평)의 아파트를 사려면 3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추산됐다.
이어 5위는 영국 런던, 6위는 일본 도쿄, 7위는 싱가포르, 8위는 프랑스 파리, 9위는 미국 뉴욕이 각각 차지했다. 서울은 세계 10위를 기록했다.
아시아 국가들의 집값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폭등했다. 인도 델리와 뭄바이의 집값은 2010년 2분기부터 작년 3분기까지 각각 220%와 150% 치솟았다. 홍콩의 집값은 2009년 초 이후 160% 뛰었으며, 중국의 베이징과 상하이 집값은 작년 들어 10월까지 무려 30% 폭등했다.
톈지에허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저금리로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에서 가처분소득 중 가계부채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미국보다 높아졌다"면서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아시아 지역의 금리가 상승하면 이는 주택가격을 끌어내리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의 소득 대비 집값은 세계 10위 수준으로, 중위 소득을 벌어들이는 가계가 평균 가격 수준의 집값을 사려면 20년 가까이 걸릴 것으로 추산됐다.
영국의 경제분석기관인 옥스퍼드 이코노믹스가 내놓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대도시 집값 평가' 보고서를 보면 전세계에서 가처분 소득 대비 집값이 가장 비싼 도시는 홍콩이었다.
이어 인도 뭄바이와 중국 베이징, 상하이가 각각 2∼4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에서는 중위 소득을 벌어들이는 가계가 90㎡(27평)의 아파트를 사려면 3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추산됐다.
이어 5위는 영국 런던, 6위는 일본 도쿄, 7위는 싱가포르, 8위는 프랑스 파리, 9위는 미국 뉴욕이 각각 차지했다. 서울은 세계 10위를 기록했다.
아시아 국가들의 집값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폭등했다. 인도 델리와 뭄바이의 집값은 2010년 2분기부터 작년 3분기까지 각각 220%와 150% 치솟았다. 홍콩의 집값은 2009년 초 이후 160% 뛰었으며, 중국의 베이징과 상하이 집값은 작년 들어 10월까지 무려 30% 폭등했다.
톈지에허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저금리로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에서 가처분소득 중 가계부채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미국보다 높아졌다"면서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아시아 지역의 금리가 상승하면 이는 주택가격을 끌어내리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