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성분은?…실시간 측정장비 전무
입력 2017.01.18 (21:37)
수정 2017.01.18 (2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7천여 개 공장과 화력발전소, 열병합발전소가 있는 경기도 안산,
굴뚝 여기저기서 배출 가스가 뿜어져 나옵니다.
하지만 미세먼지를 얼마나 배출하는지 정확히 알 길이 없습니다.
이 지역에서 실시간으로 상시 측정할 장비가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오은석(안산녹색환경지원센터 부장) : "제조업체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것들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체들이 현재 실질적으로 모니터링 안 되고 있는 게 실상입니다."
미세먼지 측정 장비가 있지만 농도만 재고 있습니다.
배출원을 파악할 성분 분석은 한 달에 5일 동안 쌓인 먼지만 모아 이뤄지고 있습니다.
측정 시료도 적고 일부 성분은 분석대상에서도 빠져 있어 미세먼지가 어디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합니다.
<인터뷰> 권보연(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팀장) : "기초 데이터도 안 쌓이고 기초 데이터가 안 쌓이다 보니까 그거에 대한 원인 분석이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으니까 대책 마련에도 미흡한 부분이 있는 거죠."
수도권 미세먼지 성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시 집중측정소는 서울 은평에 단 한 곳뿐입니다.
<인터뷰> 신혜정(한국환경산업기술원 팀장) : "종합적으로 분석을 하면 각 배출원에서 기여하는 정도가 얼마인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정확한 원인 분석이 선행돼야 제대로 된 미세먼지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굴뚝 여기저기서 배출 가스가 뿜어져 나옵니다.
하지만 미세먼지를 얼마나 배출하는지 정확히 알 길이 없습니다.
이 지역에서 실시간으로 상시 측정할 장비가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오은석(안산녹색환경지원센터 부장) : "제조업체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것들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체들이 현재 실질적으로 모니터링 안 되고 있는 게 실상입니다."
미세먼지 측정 장비가 있지만 농도만 재고 있습니다.
배출원을 파악할 성분 분석은 한 달에 5일 동안 쌓인 먼지만 모아 이뤄지고 있습니다.
측정 시료도 적고 일부 성분은 분석대상에서도 빠져 있어 미세먼지가 어디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합니다.
<인터뷰> 권보연(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팀장) : "기초 데이터도 안 쌓이고 기초 데이터가 안 쌓이다 보니까 그거에 대한 원인 분석이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으니까 대책 마련에도 미흡한 부분이 있는 거죠."
수도권 미세먼지 성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시 집중측정소는 서울 은평에 단 한 곳뿐입니다.
<인터뷰> 신혜정(한국환경산업기술원 팀장) : "종합적으로 분석을 하면 각 배출원에서 기여하는 정도가 얼마인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정확한 원인 분석이 선행돼야 제대로 된 미세먼지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세먼지 성분은?…실시간 측정장비 전무
-
- 입력 2017-01-18 21:39:40
- 수정2017-01-18 21:50:47
7천여 개 공장과 화력발전소, 열병합발전소가 있는 경기도 안산,
굴뚝 여기저기서 배출 가스가 뿜어져 나옵니다.
하지만 미세먼지를 얼마나 배출하는지 정확히 알 길이 없습니다.
이 지역에서 실시간으로 상시 측정할 장비가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오은석(안산녹색환경지원센터 부장) : "제조업체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것들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체들이 현재 실질적으로 모니터링 안 되고 있는 게 실상입니다."
미세먼지 측정 장비가 있지만 농도만 재고 있습니다.
배출원을 파악할 성분 분석은 한 달에 5일 동안 쌓인 먼지만 모아 이뤄지고 있습니다.
측정 시료도 적고 일부 성분은 분석대상에서도 빠져 있어 미세먼지가 어디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합니다.
<인터뷰> 권보연(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팀장) : "기초 데이터도 안 쌓이고 기초 데이터가 안 쌓이다 보니까 그거에 대한 원인 분석이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으니까 대책 마련에도 미흡한 부분이 있는 거죠."
수도권 미세먼지 성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시 집중측정소는 서울 은평에 단 한 곳뿐입니다.
<인터뷰> 신혜정(한국환경산업기술원 팀장) : "종합적으로 분석을 하면 각 배출원에서 기여하는 정도가 얼마인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정확한 원인 분석이 선행돼야 제대로 된 미세먼지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굴뚝 여기저기서 배출 가스가 뿜어져 나옵니다.
하지만 미세먼지를 얼마나 배출하는지 정확히 알 길이 없습니다.
이 지역에서 실시간으로 상시 측정할 장비가 없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오은석(안산녹색환경지원센터 부장) : "제조업체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것들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체들이 현재 실질적으로 모니터링 안 되고 있는 게 실상입니다."
미세먼지 측정 장비가 있지만 농도만 재고 있습니다.
배출원을 파악할 성분 분석은 한 달에 5일 동안 쌓인 먼지만 모아 이뤄지고 있습니다.
측정 시료도 적고 일부 성분은 분석대상에서도 빠져 있어 미세먼지가 어디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합니다.
<인터뷰> 권보연(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팀장) : "기초 데이터도 안 쌓이고 기초 데이터가 안 쌓이다 보니까 그거에 대한 원인 분석이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으니까 대책 마련에도 미흡한 부분이 있는 거죠."
수도권 미세먼지 성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시 집중측정소는 서울 은평에 단 한 곳뿐입니다.
<인터뷰> 신혜정(한국환경산업기술원 팀장) : "종합적으로 분석을 하면 각 배출원에서 기여하는 정도가 얼마인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정확한 원인 분석이 선행돼야 제대로 된 미세먼지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
-
임명규 기자 thelord@kbs.co.kr
임명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