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카톡’ 자제 확산…지침 제정 필요

입력 2017.01.26 (23:26) 수정 2017.01.26 (23: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처럼 일과 휴식의 경계가 무너지자, 최근 생겨난 신조어가 있는데요.

이른바, '연결되지 않을 권리'입니다.

먼저 프랑스의 사례를 보면, 종업원 50명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퇴근 뒤나 휴일, SNS 또는 이메일을 통한 업무 지시를 금지했습니다.

독일은 더 구체적인데요.

퇴근 뒤에 업무 연락을 '대기 근무'로 간주해, 일급의 25%를 지급하도록 했습니다.

최근 국내에서도 퇴근 뒤 카톡을 규제하는 문제와 관련해 찬반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현실적 대안은 없을까요?

이종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회사 업무가 끝난 오후 6시.

입사 2년 차 손원주 씨가 곧바로 헬스장을 찾습니다.

운동에 집중하기 위해 전화기 전원도 꺼놨습니다.

퇴근 뒤나 휴일에 상사가 모바일메신저로 업무지시를 할 경우 인사상 불이익을 주겠다는 회사의 경고 이후 생긴 변화입니다.

<인터뷰> 손원주(이동통신사 직원) : "친구들이랑 같이 시간을 보내고 있거나 운동을 하거나 영화를 보고 있어도 카톡에 대한 강박관념이 사라져서 굉장히 마음이 편합니다."

아직 강제성을 띤 건 아니지만 퇴근 뒤 업무지시를 줄이려는 움직임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특히 정부와 경제 5단체는 퇴근 후 전화와 문자, 카톡을 자제하자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엔 일명 '퇴근 후 업무 카톡 금지법안'까지 국회에 발의된 상황, 하지만 일괄적인 규제는 아직 무리라는 지적이 많아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현(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 "결국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업무 시간 외에 연락을 하는 것을 되도록 제한하는 취업규칙을 만들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생각합니다.)"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별, 직종별 특성을 반영한 가이드라인 제정과 직원들의 사생활을 배려하는 기업 문화의 변화가 우선돼야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업무 카톡’ 자제 확산…지침 제정 필요
    • 입력 2017-01-26 23:28:15
    • 수정2017-01-26 23:54:29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이처럼 일과 휴식의 경계가 무너지자, 최근 생겨난 신조어가 있는데요.

이른바, '연결되지 않을 권리'입니다.

먼저 프랑스의 사례를 보면, 종업원 50명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퇴근 뒤나 휴일, SNS 또는 이메일을 통한 업무 지시를 금지했습니다.

독일은 더 구체적인데요.

퇴근 뒤에 업무 연락을 '대기 근무'로 간주해, 일급의 25%를 지급하도록 했습니다.

최근 국내에서도 퇴근 뒤 카톡을 규제하는 문제와 관련해 찬반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현실적 대안은 없을까요?

이종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회사 업무가 끝난 오후 6시.

입사 2년 차 손원주 씨가 곧바로 헬스장을 찾습니다.

운동에 집중하기 위해 전화기 전원도 꺼놨습니다.

퇴근 뒤나 휴일에 상사가 모바일메신저로 업무지시를 할 경우 인사상 불이익을 주겠다는 회사의 경고 이후 생긴 변화입니다.

<인터뷰> 손원주(이동통신사 직원) : "친구들이랑 같이 시간을 보내고 있거나 운동을 하거나 영화를 보고 있어도 카톡에 대한 강박관념이 사라져서 굉장히 마음이 편합니다."

아직 강제성을 띤 건 아니지만 퇴근 뒤 업무지시를 줄이려는 움직임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특히 정부와 경제 5단체는 퇴근 후 전화와 문자, 카톡을 자제하자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엔 일명 '퇴근 후 업무 카톡 금지법안'까지 국회에 발의된 상황, 하지만 일괄적인 규제는 아직 무리라는 지적이 많아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현(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 "결국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업무 시간 외에 연락을 하는 것을 되도록 제한하는 취업규칙을 만들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생각합니다.)"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별, 직종별 특성을 반영한 가이드라인 제정과 직원들의 사생활을 배려하는 기업 문화의 변화가 우선돼야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