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때 층간 소음 30% ↑…‘대면 항의’ 금물
입력 2017.01.27 (21:25)
수정 2017.01.27 (21: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일가 친척이 한꺼번에 모이다 보니 도시에선 명절 때면 층간 소음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명절 때면 층간 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다툼이 평소보다 30% 넘게 늘어나는데요,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은지 박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아래층 사람에게 큰 스트레스로 다가오는 층간소음.
아침, 저녁으로 위층에서 들려오는 소음은 그야말로 고통입니다.
입주 3년째.
항의도 여러 번 해봤지만 크게 달라진 건 없습니다.
<인터뷰> 이연주(층간소음 피해자) : "너무 시끄러워서 제가 쿵쿵대는 거 막대기를 가지고 쿵쿵대는 그 소리까지 해봤었어요. 그냥 일부러…."
<녹취> 경비원(음성변조) : "한 달에도 몇 번씩 (시끄럽다고) 그래요. 처음에는 하루가 멀다고 그렇게 (전화가) 왔는데…."
일가친척이 한 집에 모이는 명절이 되면 어떨까?
고성과 발소리가 더 심해지면서 소음은 더 커집니다.
성인 남성 한 명이 걸을 때 층간 소음은 33.8㏈.
낮 소음 기준치 이내였지만, 세 명이 걸으면 46㏈을 넘어 기준을 훌쩍 초과합니다.
이 때문에 명절이 되면 층간소음으로 접수되는 민원은 평소보다 30% 이상 급증합니다.
하지만 층간 소음이 발생했더라도 직접 올라가 항의하는 것은 자제해야 합니다.
<인터뷰> 차상곤(주거문화개선연구소 소장) : "(갈등이) 1년이 넘어갔을 때는 소음에다 감정이라는 문제가 결합되기 시작합니다. 위층 사람을 대면만 해도 폭행의 어떤 마음이 들 수가 있으니까…."
또 친척들이 방문하기 전, 방문 시간을 아래층에 쪽지 등으로 알려 줘 사전 양해를 구하는 것도 층간 소음 다툼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일가 친척이 한꺼번에 모이다 보니 도시에선 명절 때면 층간 소음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명절 때면 층간 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다툼이 평소보다 30% 넘게 늘어나는데요,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은지 박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아래층 사람에게 큰 스트레스로 다가오는 층간소음.
아침, 저녁으로 위층에서 들려오는 소음은 그야말로 고통입니다.
입주 3년째.
항의도 여러 번 해봤지만 크게 달라진 건 없습니다.
<인터뷰> 이연주(층간소음 피해자) : "너무 시끄러워서 제가 쿵쿵대는 거 막대기를 가지고 쿵쿵대는 그 소리까지 해봤었어요. 그냥 일부러…."
<녹취> 경비원(음성변조) : "한 달에도 몇 번씩 (시끄럽다고) 그래요. 처음에는 하루가 멀다고 그렇게 (전화가) 왔는데…."
일가친척이 한 집에 모이는 명절이 되면 어떨까?
고성과 발소리가 더 심해지면서 소음은 더 커집니다.
성인 남성 한 명이 걸을 때 층간 소음은 33.8㏈.
낮 소음 기준치 이내였지만, 세 명이 걸으면 46㏈을 넘어 기준을 훌쩍 초과합니다.
이 때문에 명절이 되면 층간소음으로 접수되는 민원은 평소보다 30% 이상 급증합니다.
하지만 층간 소음이 발생했더라도 직접 올라가 항의하는 것은 자제해야 합니다.
<인터뷰> 차상곤(주거문화개선연구소 소장) : "(갈등이) 1년이 넘어갔을 때는 소음에다 감정이라는 문제가 결합되기 시작합니다. 위층 사람을 대면만 해도 폭행의 어떤 마음이 들 수가 있으니까…."
또 친척들이 방문하기 전, 방문 시간을 아래층에 쪽지 등으로 알려 줘 사전 양해를 구하는 것도 층간 소음 다툼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명절 때 층간 소음 30% ↑…‘대면 항의’ 금물
-
- 입력 2017-01-27 21:26:43
- 수정2017-01-27 21:34:09

<앵커 멘트>
일가 친척이 한꺼번에 모이다 보니 도시에선 명절 때면 층간 소음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명절 때면 층간 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다툼이 평소보다 30% 넘게 늘어나는데요,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은지 박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아래층 사람에게 큰 스트레스로 다가오는 층간소음.
아침, 저녁으로 위층에서 들려오는 소음은 그야말로 고통입니다.
입주 3년째.
항의도 여러 번 해봤지만 크게 달라진 건 없습니다.
<인터뷰> 이연주(층간소음 피해자) : "너무 시끄러워서 제가 쿵쿵대는 거 막대기를 가지고 쿵쿵대는 그 소리까지 해봤었어요. 그냥 일부러…."
<녹취> 경비원(음성변조) : "한 달에도 몇 번씩 (시끄럽다고) 그래요. 처음에는 하루가 멀다고 그렇게 (전화가) 왔는데…."
일가친척이 한 집에 모이는 명절이 되면 어떨까?
고성과 발소리가 더 심해지면서 소음은 더 커집니다.
성인 남성 한 명이 걸을 때 층간 소음은 33.8㏈.
낮 소음 기준치 이내였지만, 세 명이 걸으면 46㏈을 넘어 기준을 훌쩍 초과합니다.
이 때문에 명절이 되면 층간소음으로 접수되는 민원은 평소보다 30% 이상 급증합니다.
하지만 층간 소음이 발생했더라도 직접 올라가 항의하는 것은 자제해야 합니다.
<인터뷰> 차상곤(주거문화개선연구소 소장) : "(갈등이) 1년이 넘어갔을 때는 소음에다 감정이라는 문제가 결합되기 시작합니다. 위층 사람을 대면만 해도 폭행의 어떤 마음이 들 수가 있으니까…."
또 친척들이 방문하기 전, 방문 시간을 아래층에 쪽지 등으로 알려 줘 사전 양해를 구하는 것도 층간 소음 다툼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일가 친척이 한꺼번에 모이다 보니 도시에선 명절 때면 층간 소음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명절 때면 층간 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다툼이 평소보다 30% 넘게 늘어나는데요,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은지 박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아래층 사람에게 큰 스트레스로 다가오는 층간소음.
아침, 저녁으로 위층에서 들려오는 소음은 그야말로 고통입니다.
입주 3년째.
항의도 여러 번 해봤지만 크게 달라진 건 없습니다.
<인터뷰> 이연주(층간소음 피해자) : "너무 시끄러워서 제가 쿵쿵대는 거 막대기를 가지고 쿵쿵대는 그 소리까지 해봤었어요. 그냥 일부러…."
<녹취> 경비원(음성변조) : "한 달에도 몇 번씩 (시끄럽다고) 그래요. 처음에는 하루가 멀다고 그렇게 (전화가) 왔는데…."
일가친척이 한 집에 모이는 명절이 되면 어떨까?
고성과 발소리가 더 심해지면서 소음은 더 커집니다.
성인 남성 한 명이 걸을 때 층간 소음은 33.8㏈.
낮 소음 기준치 이내였지만, 세 명이 걸으면 46㏈을 넘어 기준을 훌쩍 초과합니다.
이 때문에 명절이 되면 층간소음으로 접수되는 민원은 평소보다 30% 이상 급증합니다.
하지만 층간 소음이 발생했더라도 직접 올라가 항의하는 것은 자제해야 합니다.
<인터뷰> 차상곤(주거문화개선연구소 소장) : "(갈등이) 1년이 넘어갔을 때는 소음에다 감정이라는 문제가 결합되기 시작합니다. 위층 사람을 대면만 해도 폭행의 어떤 마음이 들 수가 있으니까…."
또 친척들이 방문하기 전, 방문 시간을 아래층에 쪽지 등으로 알려 줘 사전 양해를 구하는 것도 층간 소음 다툼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
-
박혜진 기자 root@kbs.co.kr
박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