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이윤 경제'에 눈뜬다
입력 2002.07.26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시장경제에 눈을 뜨기 시작한 모습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조총련계 신문인 조선신보가 소개한 북한의 최근 경제개혁 조처를 금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달 말 끝나는 아리랑 축전의 모습입니다.
막바지에 접어든 탓인지 무대장면 관람석을 제외하고는 썰렁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러나 경기장 밖 간이판매대인 이른바 간이매대 앞에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습니다.
전력난이 심한 가운데서도 간이매대는 밤에도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개인이 80%의 이익을 가져가는 간이매대는 일한 만큼 번다는 시장경제의 원리를 취득하는 창구입니다.
⊙김창수(민화협 정책실장/이달 20∼23일 방북): 일한 만큼 가져간다는 얘기는 아주 구체적으로 이야기 많이 합니다.
북쪽 사람들 표현이 머리를 써서 열심히 일하면 그만큼 실리가 많이 생긴다...
⊙기자: 이런 가운데 오늘 조총련계 신문인 조선신보는 평양발 기사를 통해 북한의 임금과 물가인상 내용을 상세히 보도했습니다.
이달부터 쌀값이 1kg에 8전에서 44원으로 올랐고 110원이었던 생산 노동자의 임금은 2000원으로 20배 가까이 인상됐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쌀 배급제는 유지될 것이라며 최근에 배급제 폐지설을 부인했습니다.
북한 당국의 영향권 안에 있는 언론 매체가 최근 북한 경제 변화의 내용을 보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조선신보의 보도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더 많은 수익을 거둔 공장과 기업소들은 그에 상응한 분배를 받게 된다고 밝힌 점입니다.
북한이 책임경영과 인센티브제를 도입했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장경제적 요소를 도입했다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뉴스 금철영입니다.
조총련계 신문인 조선신보가 소개한 북한의 최근 경제개혁 조처를 금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달 말 끝나는 아리랑 축전의 모습입니다.
막바지에 접어든 탓인지 무대장면 관람석을 제외하고는 썰렁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러나 경기장 밖 간이판매대인 이른바 간이매대 앞에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습니다.
전력난이 심한 가운데서도 간이매대는 밤에도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개인이 80%의 이익을 가져가는 간이매대는 일한 만큼 번다는 시장경제의 원리를 취득하는 창구입니다.
⊙김창수(민화협 정책실장/이달 20∼23일 방북): 일한 만큼 가져간다는 얘기는 아주 구체적으로 이야기 많이 합니다.
북쪽 사람들 표현이 머리를 써서 열심히 일하면 그만큼 실리가 많이 생긴다...
⊙기자: 이런 가운데 오늘 조총련계 신문인 조선신보는 평양발 기사를 통해 북한의 임금과 물가인상 내용을 상세히 보도했습니다.
이달부터 쌀값이 1kg에 8전에서 44원으로 올랐고 110원이었던 생산 노동자의 임금은 2000원으로 20배 가까이 인상됐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쌀 배급제는 유지될 것이라며 최근에 배급제 폐지설을 부인했습니다.
북한 당국의 영향권 안에 있는 언론 매체가 최근 북한 경제 변화의 내용을 보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조선신보의 보도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더 많은 수익을 거둔 공장과 기업소들은 그에 상응한 분배를 받게 된다고 밝힌 점입니다.
북한이 책임경영과 인센티브제를 도입했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장경제적 요소를 도입했다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뉴스 금철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이윤 경제'에 눈뜬다
-
- 입력 2002-07-26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data/fckeditor/vod/multi/kbs9/2002/20020726/1500K_new/240.jpg)
⊙앵커: 북한이 시장경제에 눈을 뜨기 시작한 모습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조총련계 신문인 조선신보가 소개한 북한의 최근 경제개혁 조처를 금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달 말 끝나는 아리랑 축전의 모습입니다.
막바지에 접어든 탓인지 무대장면 관람석을 제외하고는 썰렁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러나 경기장 밖 간이판매대인 이른바 간이매대 앞에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습니다.
전력난이 심한 가운데서도 간이매대는 밤에도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개인이 80%의 이익을 가져가는 간이매대는 일한 만큼 번다는 시장경제의 원리를 취득하는 창구입니다.
⊙김창수(민화협 정책실장/이달 20∼23일 방북): 일한 만큼 가져간다는 얘기는 아주 구체적으로 이야기 많이 합니다.
북쪽 사람들 표현이 머리를 써서 열심히 일하면 그만큼 실리가 많이 생긴다...
⊙기자: 이런 가운데 오늘 조총련계 신문인 조선신보는 평양발 기사를 통해 북한의 임금과 물가인상 내용을 상세히 보도했습니다.
이달부터 쌀값이 1kg에 8전에서 44원으로 올랐고 110원이었던 생산 노동자의 임금은 2000원으로 20배 가까이 인상됐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쌀 배급제는 유지될 것이라며 최근에 배급제 폐지설을 부인했습니다.
북한 당국의 영향권 안에 있는 언론 매체가 최근 북한 경제 변화의 내용을 보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조선신보의 보도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더 많은 수익을 거둔 공장과 기업소들은 그에 상응한 분배를 받게 된다고 밝힌 점입니다.
북한이 책임경영과 인센티브제를 도입했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장경제적 요소를 도입했다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뉴스 금철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