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중단 1년…업체 피해는?
입력 2017.02.10 (19:25)
수정 2017.02.10 (1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로 개성공단 중단이 발표된 지 꼭 1년이 됐습니다.
하루 아침에 사업을 접어야 했던 입주기업들은 대체공장을 짓는 등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지난 1년간 손실이 워낙 커 재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송형국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8년간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의류 부품 업체.
개성공단과 가까운 고양시에, 그리고 인건비가 비교적 싼 베트남에 새 공장을 가동해 재개를 노리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인건비,물류비가 다 오르니 제품 단가도 올랐고, 주문은 줄었습니다.
연간 100억 원을 넘던 매출은 절반이 됐습니다.
<인터뷰> 이종덕(개성공단 피해 기업 대표) : "가장 힘든 것은 사실 개성공단 하면 저렴한 인건비에 10년 이상 숙련된 근로자들이 있었다는 것이거든요."
또 다른 입주업체, 개성과 가까운 곳에서 사업을 하려고 지난해 초 고양시로 사옥을 옮기고 열흘 만에 공단 중단 결정이 나왔습니다.
<인터뷰> 성현상(개성공단 피애 기업 대표) : "이사 오자마자 이렇게 중단이 되다보니까 그동안 사업 준비해왔던 모든 일들이, 전부 다 포기하게 되고..."
그간 물건 값을 못 받았다고 15개 거래업체로부터 소송을 당했고, 대체공장으로 준비중인 건물은 가압류 상태입니다.
피해는 입주업체들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자재를 공급하는 납품업체에서부터 제품을 받아갈 원청업체에 이르기까지 연쇄적으로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기중(개성공단 납품업체 대표) : "(입주업체 거래가) 20개 업체 정도 돼요. 3억5천만원 정도 납품을 했고 못받고 있다가, 보험에서 받은 다음에 현재는 1억 5천만 원 정도 (못 받았습니다.)"
입주업체들은 1조 5천억 원 이상의 피해를 주장하며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지만, 통일부는 7800억원 정도의 피해 규모에 대해 충분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오늘로 개성공단 중단이 발표된 지 꼭 1년이 됐습니다.
하루 아침에 사업을 접어야 했던 입주기업들은 대체공장을 짓는 등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지난 1년간 손실이 워낙 커 재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송형국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8년간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의류 부품 업체.
개성공단과 가까운 고양시에, 그리고 인건비가 비교적 싼 베트남에 새 공장을 가동해 재개를 노리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인건비,물류비가 다 오르니 제품 단가도 올랐고, 주문은 줄었습니다.
연간 100억 원을 넘던 매출은 절반이 됐습니다.
<인터뷰> 이종덕(개성공단 피해 기업 대표) : "가장 힘든 것은 사실 개성공단 하면 저렴한 인건비에 10년 이상 숙련된 근로자들이 있었다는 것이거든요."
또 다른 입주업체, 개성과 가까운 곳에서 사업을 하려고 지난해 초 고양시로 사옥을 옮기고 열흘 만에 공단 중단 결정이 나왔습니다.
<인터뷰> 성현상(개성공단 피애 기업 대표) : "이사 오자마자 이렇게 중단이 되다보니까 그동안 사업 준비해왔던 모든 일들이, 전부 다 포기하게 되고..."
그간 물건 값을 못 받았다고 15개 거래업체로부터 소송을 당했고, 대체공장으로 준비중인 건물은 가압류 상태입니다.
피해는 입주업체들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자재를 공급하는 납품업체에서부터 제품을 받아갈 원청업체에 이르기까지 연쇄적으로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기중(개성공단 납품업체 대표) : "(입주업체 거래가) 20개 업체 정도 돼요. 3억5천만원 정도 납품을 했고 못받고 있다가, 보험에서 받은 다음에 현재는 1억 5천만 원 정도 (못 받았습니다.)"
입주업체들은 1조 5천억 원 이상의 피해를 주장하며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지만, 통일부는 7800억원 정도의 피해 규모에 대해 충분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개성공단 중단 1년…업체 피해는?
-
- 입력 2017-02-10 19:33:56
- 수정2017-02-10 19:43:07

<앵커 멘트>
오늘로 개성공단 중단이 발표된 지 꼭 1년이 됐습니다.
하루 아침에 사업을 접어야 했던 입주기업들은 대체공장을 짓는 등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지난 1년간 손실이 워낙 커 재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송형국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8년간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의류 부품 업체.
개성공단과 가까운 고양시에, 그리고 인건비가 비교적 싼 베트남에 새 공장을 가동해 재개를 노리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인건비,물류비가 다 오르니 제품 단가도 올랐고, 주문은 줄었습니다.
연간 100억 원을 넘던 매출은 절반이 됐습니다.
<인터뷰> 이종덕(개성공단 피해 기업 대표) : "가장 힘든 것은 사실 개성공단 하면 저렴한 인건비에 10년 이상 숙련된 근로자들이 있었다는 것이거든요."
또 다른 입주업체, 개성과 가까운 곳에서 사업을 하려고 지난해 초 고양시로 사옥을 옮기고 열흘 만에 공단 중단 결정이 나왔습니다.
<인터뷰> 성현상(개성공단 피애 기업 대표) : "이사 오자마자 이렇게 중단이 되다보니까 그동안 사업 준비해왔던 모든 일들이, 전부 다 포기하게 되고..."
그간 물건 값을 못 받았다고 15개 거래업체로부터 소송을 당했고, 대체공장으로 준비중인 건물은 가압류 상태입니다.
피해는 입주업체들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자재를 공급하는 납품업체에서부터 제품을 받아갈 원청업체에 이르기까지 연쇄적으로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기중(개성공단 납품업체 대표) : "(입주업체 거래가) 20개 업체 정도 돼요. 3억5천만원 정도 납품을 했고 못받고 있다가, 보험에서 받은 다음에 현재는 1억 5천만 원 정도 (못 받았습니다.)"
입주업체들은 1조 5천억 원 이상의 피해를 주장하며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지만, 통일부는 7800억원 정도의 피해 규모에 대해 충분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오늘로 개성공단 중단이 발표된 지 꼭 1년이 됐습니다.
하루 아침에 사업을 접어야 했던 입주기업들은 대체공장을 짓는 등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지난 1년간 손실이 워낙 커 재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송형국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8년간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의류 부품 업체.
개성공단과 가까운 고양시에, 그리고 인건비가 비교적 싼 베트남에 새 공장을 가동해 재개를 노리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인건비,물류비가 다 오르니 제품 단가도 올랐고, 주문은 줄었습니다.
연간 100억 원을 넘던 매출은 절반이 됐습니다.
<인터뷰> 이종덕(개성공단 피해 기업 대표) : "가장 힘든 것은 사실 개성공단 하면 저렴한 인건비에 10년 이상 숙련된 근로자들이 있었다는 것이거든요."
또 다른 입주업체, 개성과 가까운 곳에서 사업을 하려고 지난해 초 고양시로 사옥을 옮기고 열흘 만에 공단 중단 결정이 나왔습니다.
<인터뷰> 성현상(개성공단 피애 기업 대표) : "이사 오자마자 이렇게 중단이 되다보니까 그동안 사업 준비해왔던 모든 일들이, 전부 다 포기하게 되고..."
그간 물건 값을 못 받았다고 15개 거래업체로부터 소송을 당했고, 대체공장으로 준비중인 건물은 가압류 상태입니다.
피해는 입주업체들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자재를 공급하는 납품업체에서부터 제품을 받아갈 원청업체에 이르기까지 연쇄적으로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기중(개성공단 납품업체 대표) : "(입주업체 거래가) 20개 업체 정도 돼요. 3억5천만원 정도 납품을 했고 못받고 있다가, 보험에서 받은 다음에 현재는 1억 5천만 원 정도 (못 받았습니다.)"
입주업체들은 1조 5천억 원 이상의 피해를 주장하며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지만, 통일부는 7800억원 정도의 피해 규모에 대해 충분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