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사드보복 격화…벽돌로 한국차까지 파손
입력 2017.03.03 (11:30)
수정 2017.03.03 (1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들이 나서 사드 보복을 조장하는 가운데 중국 국민이 한국산 차량을 벽돌로 파손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3일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장쑤성 치둥현의 롯데백화점 부근에 신원 불명의 사람들이 나타나 '롯데가 중국에 선전포고했으니 중국을 떠나라'를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한 뒤 근처의 한국 자동차를 부쉈다.
이들은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이라고 칭하며 애국주의를 외쳤다. 그러나 공청단은 웨이보를 통해 이들이 자신들과는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웨이보에 게재된 파손된 차량은 한중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차로 보이며 뒷유리창이 깨졌다. 또한, 다른 웨이보에서는 한국 업체 직원이 밖에 세워둔 한국 차량의 타이어가 펑크나고 유리창이 깨진 사진도 올라왔다.
환구시보 등은 이들 차량의 파손 시점이 각각 다르고 롯데백화점과도 거리가 멀다면서 롯데에 대한 보이콧과는 상관이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매체는 '한국은 있으나 마나'한 나라라며 사드보복을 강력히 주장하고 선동해왔던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다.
이번 한국차량 파손 사건으로 중국 내에서 한국산 불매운동을 넘어 한국산 제품 파손, 폭력행사 등으로 이어지는 것 아이냐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
실제 센카쿠 영유권 분쟁으로 일·중 관계가 악화됐을 당시인 2012년 9월 베이징의 시위대 수천 명이 시내 일본 대사관 앞으로 몰려와 돌을 던지는 폭력행위를 저지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현지 공안국은 최근 롯데 보이콧을 빌미로 비이성적인 행동이 일부 일어나고 있다면서 "시민들에게 이성적인 애국을 하고 법규 위반을 하지 말라"고면서 "법규 위반 시 엄중히 조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내 사드보복이 과격 시위 양상으로 확산하면서 한국인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 1일 중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웨이신(위챗)에는 '본점 한국인 초대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내붙인 베이징의 식당사진이 올라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해당 식당은 논란이 일자 플래카드를 스스로 뗀 것으로 알려졌다.
산둥성 칭다오 한국총영사관 앞에서는 중국 국기와 '사드 반대, '롯데 불매' 팻말을 들고 시위하는 장면이 웨이보를 통해 퍼졌으며, 지난달 26일에는 지린성 장난 지역 롯데마트 앞에서 보이콧을 외치는 플래카드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베이징 왕징 지역에서는 일부 교민을 중심으로 외출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이며, 교민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최근 분위기가 좋지 않으니 밖에 다닐 때 조심하자"는 우려의 글도 올라오고 있다.
3일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장쑤성 치둥현의 롯데백화점 부근에 신원 불명의 사람들이 나타나 '롯데가 중국에 선전포고했으니 중국을 떠나라'를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한 뒤 근처의 한국 자동차를 부쉈다.
이들은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이라고 칭하며 애국주의를 외쳤다. 그러나 공청단은 웨이보를 통해 이들이 자신들과는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웨이보에 게재된 파손된 차량은 한중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차로 보이며 뒷유리창이 깨졌다. 또한, 다른 웨이보에서는 한국 업체 직원이 밖에 세워둔 한국 차량의 타이어가 펑크나고 유리창이 깨진 사진도 올라왔다.
환구시보 등은 이들 차량의 파손 시점이 각각 다르고 롯데백화점과도 거리가 멀다면서 롯데에 대한 보이콧과는 상관이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매체는 '한국은 있으나 마나'한 나라라며 사드보복을 강력히 주장하고 선동해왔던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다.
이번 한국차량 파손 사건으로 중국 내에서 한국산 불매운동을 넘어 한국산 제품 파손, 폭력행사 등으로 이어지는 것 아이냐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
실제 센카쿠 영유권 분쟁으로 일·중 관계가 악화됐을 당시인 2012년 9월 베이징의 시위대 수천 명이 시내 일본 대사관 앞으로 몰려와 돌을 던지는 폭력행위를 저지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현지 공안국은 최근 롯데 보이콧을 빌미로 비이성적인 행동이 일부 일어나고 있다면서 "시민들에게 이성적인 애국을 하고 법규 위반을 하지 말라"고면서 "법규 위반 시 엄중히 조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내 사드보복이 과격 시위 양상으로 확산하면서 한국인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 1일 중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웨이신(위챗)에는 '본점 한국인 초대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내붙인 베이징의 식당사진이 올라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해당 식당은 논란이 일자 플래카드를 스스로 뗀 것으로 알려졌다.
산둥성 칭다오 한국총영사관 앞에서는 중국 국기와 '사드 반대, '롯데 불매' 팻말을 들고 시위하는 장면이 웨이보를 통해 퍼졌으며, 지난달 26일에는 지린성 장난 지역 롯데마트 앞에서 보이콧을 외치는 플래카드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베이징 왕징 지역에서는 일부 교민을 중심으로 외출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이며, 교민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최근 분위기가 좋지 않으니 밖에 다닐 때 조심하자"는 우려의 글도 올라오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사드보복 격화…벽돌로 한국차까지 파손
-
- 입력 2017-03-03 11:30:59
- 수정2017-03-03 11:57:37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들이 나서 사드 보복을 조장하는 가운데 중국 국민이 한국산 차량을 벽돌로 파손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3일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장쑤성 치둥현의 롯데백화점 부근에 신원 불명의 사람들이 나타나 '롯데가 중국에 선전포고했으니 중국을 떠나라'를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한 뒤 근처의 한국 자동차를 부쉈다.
이들은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이라고 칭하며 애국주의를 외쳤다. 그러나 공청단은 웨이보를 통해 이들이 자신들과는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웨이보에 게재된 파손된 차량은 한중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차로 보이며 뒷유리창이 깨졌다. 또한, 다른 웨이보에서는 한국 업체 직원이 밖에 세워둔 한국 차량의 타이어가 펑크나고 유리창이 깨진 사진도 올라왔다.
환구시보 등은 이들 차량의 파손 시점이 각각 다르고 롯데백화점과도 거리가 멀다면서 롯데에 대한 보이콧과는 상관이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매체는 '한국은 있으나 마나'한 나라라며 사드보복을 강력히 주장하고 선동해왔던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다.
이번 한국차량 파손 사건으로 중국 내에서 한국산 불매운동을 넘어 한국산 제품 파손, 폭력행사 등으로 이어지는 것 아이냐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
실제 센카쿠 영유권 분쟁으로 일·중 관계가 악화됐을 당시인 2012년 9월 베이징의 시위대 수천 명이 시내 일본 대사관 앞으로 몰려와 돌을 던지는 폭력행위를 저지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현지 공안국은 최근 롯데 보이콧을 빌미로 비이성적인 행동이 일부 일어나고 있다면서 "시민들에게 이성적인 애국을 하고 법규 위반을 하지 말라"고면서 "법규 위반 시 엄중히 조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내 사드보복이 과격 시위 양상으로 확산하면서 한국인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 1일 중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웨이신(위챗)에는 '본점 한국인 초대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내붙인 베이징의 식당사진이 올라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해당 식당은 논란이 일자 플래카드를 스스로 뗀 것으로 알려졌다.
산둥성 칭다오 한국총영사관 앞에서는 중국 국기와 '사드 반대, '롯데 불매' 팻말을 들고 시위하는 장면이 웨이보를 통해 퍼졌으며, 지난달 26일에는 지린성 장난 지역 롯데마트 앞에서 보이콧을 외치는 플래카드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베이징 왕징 지역에서는 일부 교민을 중심으로 외출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이며, 교민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최근 분위기가 좋지 않으니 밖에 다닐 때 조심하자"는 우려의 글도 올라오고 있다.
3일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장쑤성 치둥현의 롯데백화점 부근에 신원 불명의 사람들이 나타나 '롯데가 중국에 선전포고했으니 중국을 떠나라'를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한 뒤 근처의 한국 자동차를 부쉈다.
이들은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이라고 칭하며 애국주의를 외쳤다. 그러나 공청단은 웨이보를 통해 이들이 자신들과는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웨이보에 게재된 파손된 차량은 한중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차로 보이며 뒷유리창이 깨졌다. 또한, 다른 웨이보에서는 한국 업체 직원이 밖에 세워둔 한국 차량의 타이어가 펑크나고 유리창이 깨진 사진도 올라왔다.
환구시보 등은 이들 차량의 파손 시점이 각각 다르고 롯데백화점과도 거리가 멀다면서 롯데에 대한 보이콧과는 상관이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매체는 '한국은 있으나 마나'한 나라라며 사드보복을 강력히 주장하고 선동해왔던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다.
이번 한국차량 파손 사건으로 중국 내에서 한국산 불매운동을 넘어 한국산 제품 파손, 폭력행사 등으로 이어지는 것 아이냐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
실제 센카쿠 영유권 분쟁으로 일·중 관계가 악화됐을 당시인 2012년 9월 베이징의 시위대 수천 명이 시내 일본 대사관 앞으로 몰려와 돌을 던지는 폭력행위를 저지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현지 공안국은 최근 롯데 보이콧을 빌미로 비이성적인 행동이 일부 일어나고 있다면서 "시민들에게 이성적인 애국을 하고 법규 위반을 하지 말라"고면서 "법규 위반 시 엄중히 조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내 사드보복이 과격 시위 양상으로 확산하면서 한국인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 1일 중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웨이신(위챗)에는 '본점 한국인 초대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내붙인 베이징의 식당사진이 올라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해당 식당은 논란이 일자 플래카드를 스스로 뗀 것으로 알려졌다.
산둥성 칭다오 한국총영사관 앞에서는 중국 국기와 '사드 반대, '롯데 불매' 팻말을 들고 시위하는 장면이 웨이보를 통해 퍼졌으며, 지난달 26일에는 지린성 장난 지역 롯데마트 앞에서 보이콧을 외치는 플래카드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베이징 왕징 지역에서는 일부 교민을 중심으로 외출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이며, 교민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최근 분위기가 좋지 않으니 밖에 다닐 때 조심하자"는 우려의 글도 올라오고 있다.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