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0년까지 미국 경제성장률 2% 하회”

입력 2017.03.03 (11:32) 수정 2017.03.03 (1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성장률 하락 등으로 미국 경제가 2060년까지 연평균 2% 성장이 힘들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성장경로가 불확실한 만큼 한국경제는 대미 수출의존도를 낮추고 내수활성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3일 발간한 '미국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성장 지속가능성 점검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미국 경제구조 변화 여부 및 중장기 성장경로를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미국 경제의 구조변화는 2000년대 초부터 진행돼 지속적으로 잠재성장률이 낮아져 왔으며, 2007∼2008년 금융위기는 이러한 잠재성장률의 하락을 일정 부분 가속했다"고 진단했다.

이를 토대로 중장기 성장경로를 살펴본 결과 미국 경제는 2060년까지 평균 성장률이 2%를 밑돌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기술혁신 속도 둔화와 인구 고령화가 성장률 하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지목됐다.

미국 경제가 금융위기 이후 오바마 정부의 완화적 통화정책, 확장 재정정책, 대규모 국가 연구·개발 투자 등으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빠른 회복세를 보였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성장경로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미국의 성장률 하락, 이로 인한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 등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수출시장 다변화, 높은 부가가치를 가지는 상품개발을 통한 수출단가 인상, 경기변동에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핵심 재화의 개발 등을 통해 수출의 급격한 하락을 막는 것과 동시에 내수시장 활성화로 한국경제의 수출의존도를 낮추는 이른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양적으로 우수한 R&D 지출에도 불구하고 지출의 불확실성이 커서 효율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R&D 투자의 지속성을 확보해 효율성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60년까지 미국 경제성장률 2% 하회”
    • 입력 2017-03-03 11:32:23
    • 수정2017-03-03 11:54:55
    경제
잠재성장률 하락 등으로 미국 경제가 2060년까지 연평균 2% 성장이 힘들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성장경로가 불확실한 만큼 한국경제는 대미 수출의존도를 낮추고 내수활성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3일 발간한 '미국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성장 지속가능성 점검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미국 경제구조 변화 여부 및 중장기 성장경로를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미국 경제의 구조변화는 2000년대 초부터 진행돼 지속적으로 잠재성장률이 낮아져 왔으며, 2007∼2008년 금융위기는 이러한 잠재성장률의 하락을 일정 부분 가속했다"고 진단했다.

이를 토대로 중장기 성장경로를 살펴본 결과 미국 경제는 2060년까지 평균 성장률이 2%를 밑돌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기술혁신 속도 둔화와 인구 고령화가 성장률 하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지목됐다.

미국 경제가 금융위기 이후 오바마 정부의 완화적 통화정책, 확장 재정정책, 대규모 국가 연구·개발 투자 등으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빠른 회복세를 보였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성장경로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미국의 성장률 하락, 이로 인한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 등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수출시장 다변화, 높은 부가가치를 가지는 상품개발을 통한 수출단가 인상, 경기변동에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핵심 재화의 개발 등을 통해 수출의 급격한 하락을 막는 것과 동시에 내수시장 활성화로 한국경제의 수출의존도를 낮추는 이른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양적으로 우수한 R&D 지출에도 불구하고 지출의 불확실성이 커서 효율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R&D 투자의 지속성을 확보해 효율성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