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1.9% 상승…석유류는 최대폭 증가
입력 2017.03.03 (19:18)
수정 2017.03.03 (19: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최근 기름값 올랐다고 느끼신 분들 많으시죠.
실제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달 석유류 가격이 5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대신 고공 행진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가격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9% 올랐습니다.
물가를 끌어올린 건 기름값이었습니다.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석유류 가격이 13.3%나 올라 지난 2011년 이후 5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석유류 가격 상승으로 공업 제품 가격도 2.4%나 올랐고, 열차와 시내버스 등 교통요금도 6%나 뛰었습니다.
한편,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상승세가 주춤해졌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로 품절 사태를 겪었던 달걀값 상승폭이 전 월에 비해 크게 둔화했고, 구제역 발생에도 국산 소고기 가격 등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추와 무 등 채소류도 출하량이 늘고 정부 비축분이 풀리면서 가격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녹취> 우영제(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출하량이 증가한 부분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게 딸기라든지 달걀이라든지 이런 부분들로 인해서 가격이 하락한 부분이 있고요."
정부는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당분간 소비자물가가 2% 내외의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정부는 국제유가와 구제역 상황 등에 따라 주요 품목의 가격 동향을 살피고 수급 대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최근 기름값 올랐다고 느끼신 분들 많으시죠.
실제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달 석유류 가격이 5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대신 고공 행진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가격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9% 올랐습니다.
물가를 끌어올린 건 기름값이었습니다.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석유류 가격이 13.3%나 올라 지난 2011년 이후 5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석유류 가격 상승으로 공업 제품 가격도 2.4%나 올랐고, 열차와 시내버스 등 교통요금도 6%나 뛰었습니다.
한편,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상승세가 주춤해졌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로 품절 사태를 겪었던 달걀값 상승폭이 전 월에 비해 크게 둔화했고, 구제역 발생에도 국산 소고기 가격 등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추와 무 등 채소류도 출하량이 늘고 정부 비축분이 풀리면서 가격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녹취> 우영제(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출하량이 증가한 부분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게 딸기라든지 달걀이라든지 이런 부분들로 인해서 가격이 하락한 부분이 있고요."
정부는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당분간 소비자물가가 2% 내외의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정부는 국제유가와 구제역 상황 등에 따라 주요 품목의 가격 동향을 살피고 수급 대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자물가 1.9% 상승…석유류는 최대폭 증가
-
- 입력 2017-03-03 19:22:48
- 수정2017-03-03 19:27:34

<앵커 멘트>
최근 기름값 올랐다고 느끼신 분들 많으시죠.
실제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달 석유류 가격이 5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대신 고공 행진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가격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9% 올랐습니다.
물가를 끌어올린 건 기름값이었습니다.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석유류 가격이 13.3%나 올라 지난 2011년 이후 5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석유류 가격 상승으로 공업 제품 가격도 2.4%나 올랐고, 열차와 시내버스 등 교통요금도 6%나 뛰었습니다.
한편,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상승세가 주춤해졌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로 품절 사태를 겪었던 달걀값 상승폭이 전 월에 비해 크게 둔화했고, 구제역 발생에도 국산 소고기 가격 등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추와 무 등 채소류도 출하량이 늘고 정부 비축분이 풀리면서 가격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녹취> 우영제(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출하량이 증가한 부분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게 딸기라든지 달걀이라든지 이런 부분들로 인해서 가격이 하락한 부분이 있고요."
정부는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당분간 소비자물가가 2% 내외의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정부는 국제유가와 구제역 상황 등에 따라 주요 품목의 가격 동향을 살피고 수급 대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최근 기름값 올랐다고 느끼신 분들 많으시죠.
실제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달 석유류 가격이 5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대신 고공 행진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가격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9% 올랐습니다.
물가를 끌어올린 건 기름값이었습니다.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석유류 가격이 13.3%나 올라 지난 2011년 이후 5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석유류 가격 상승으로 공업 제품 가격도 2.4%나 올랐고, 열차와 시내버스 등 교통요금도 6%나 뛰었습니다.
한편,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상승세가 주춤해졌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로 품절 사태를 겪었던 달걀값 상승폭이 전 월에 비해 크게 둔화했고, 구제역 발생에도 국산 소고기 가격 등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추와 무 등 채소류도 출하량이 늘고 정부 비축분이 풀리면서 가격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녹취> 우영제(통계청 물가동향과장) : "출하량이 증가한 부분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게 딸기라든지 달걀이라든지 이런 부분들로 인해서 가격이 하락한 부분이 있고요."
정부는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당분간 소비자물가가 2% 내외의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정부는 국제유가와 구제역 상황 등에 따라 주요 품목의 가격 동향을 살피고 수급 대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