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보복은 ‘무역전쟁’ 전략 암시”
입력 2017.03.04 (18:01)
수정 2017.03.04 (18: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국 배치 문제를 두고 중국의 '보복' 대응이 잇따르자 외교·안보 전문가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아미타이 에치오니 미국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3일(현지시간) 외교안보 전문지 디플로맷에 실은 기고문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 '기브 앤드 테이크'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에치오니 교수는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깨기 위해서는 경고 수준을 넘어선 무언가가 필요하다"며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끊어내는 과정을 견딜 수 있도록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의 기술'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릭 로버 제재·불법금융센터(CSIF) 수석 고문은 외교 전문매체 포린폴린시(FP)를 통해 중국의 경제 보복 전력을 나열하면서 최근 미국 내 중국 자본의 직접 투자 급증에 우려를 표했다.
중국이 그간 경제적 힘을 활용해 갈등을 빚는 나라들을 압박해 온 사례를 들면서 미국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로버 고문은 최근 중국 자본이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며 당장 경제 살리기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우려스러운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한국과의 교착을 통해 무역전쟁 전략의 힌트를 주고 있다"고 전했다.
컨트롤리스크 그룹의 중국·북아시아 분석 국장 앤드루 길홀름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한국 기업에 일어나는 일은 내년 미국 기업에 닥칠 수 있는 좋은 각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트럼프 체제에서는 모든 것이 지옥 같은 시나리오로 흘러간다"면서 "드라마틱한 무역전쟁이라기보다는 기업을 규제로 옥죄는 방식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비롯한 각국과의 통상 관계에서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마찰을 예고한 상태다.
서구 언론들은 중국의 경제 '보복'을 다루며 한국이 곤란한 상황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달 15일 이후로 단체 여행이 전면 취소되고 대형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 등에서는 한국 관광상품이 사라졌다고 상세하게 전했다.
또 한국 업체 가운데서는 현대자동차나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기업이 중국 매출에 기대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노무라증권의 마이클 나 전략가는 FT에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며 "한국 기업에 타격을 줄 방안이 너무나도 많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과잉 대응을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트로이대 서울캠퍼스의 국제정치학 교수 대니얼 핑크스턴은 독일 공영 도이치벨레(DW)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사소하면서도 타당한 우려를 하고 있지만, 문제가 과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일은 미국과 그 동맹국, 특히 한국과 일본 양국에 주둔하는 미군 등이 일대 지역 안보를 설계하는 문제"라면서 사드가 중국과 전쟁을 벌이기 위한 전조라는 중국 내 일부 보도는 "터무니없다"고 강조했다.
아미타이 에치오니 미국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3일(현지시간) 외교안보 전문지 디플로맷에 실은 기고문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 '기브 앤드 테이크'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에치오니 교수는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깨기 위해서는 경고 수준을 넘어선 무언가가 필요하다"며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끊어내는 과정을 견딜 수 있도록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의 기술'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릭 로버 제재·불법금융센터(CSIF) 수석 고문은 외교 전문매체 포린폴린시(FP)를 통해 중국의 경제 보복 전력을 나열하면서 최근 미국 내 중국 자본의 직접 투자 급증에 우려를 표했다.
중국이 그간 경제적 힘을 활용해 갈등을 빚는 나라들을 압박해 온 사례를 들면서 미국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로버 고문은 최근 중국 자본이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며 당장 경제 살리기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우려스러운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한국과의 교착을 통해 무역전쟁 전략의 힌트를 주고 있다"고 전했다.
컨트롤리스크 그룹의 중국·북아시아 분석 국장 앤드루 길홀름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한국 기업에 일어나는 일은 내년 미국 기업에 닥칠 수 있는 좋은 각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트럼프 체제에서는 모든 것이 지옥 같은 시나리오로 흘러간다"면서 "드라마틱한 무역전쟁이라기보다는 기업을 규제로 옥죄는 방식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비롯한 각국과의 통상 관계에서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마찰을 예고한 상태다.
서구 언론들은 중국의 경제 '보복'을 다루며 한국이 곤란한 상황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달 15일 이후로 단체 여행이 전면 취소되고 대형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 등에서는 한국 관광상품이 사라졌다고 상세하게 전했다.
또 한국 업체 가운데서는 현대자동차나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기업이 중국 매출에 기대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노무라증권의 마이클 나 전략가는 FT에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며 "한국 기업에 타격을 줄 방안이 너무나도 많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과잉 대응을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트로이대 서울캠퍼스의 국제정치학 교수 대니얼 핑크스턴은 독일 공영 도이치벨레(DW)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사소하면서도 타당한 우려를 하고 있지만, 문제가 과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일은 미국과 그 동맹국, 특히 한국과 일본 양국에 주둔하는 미군 등이 일대 지역 안보를 설계하는 문제"라면서 사드가 중국과 전쟁을 벌이기 위한 전조라는 중국 내 일부 보도는 "터무니없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사드보복은 ‘무역전쟁’ 전략 암시”
-
- 입력 2017-03-04 18:01:05
- 수정2017-03-04 18:57:48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국 배치 문제를 두고 중국의 '보복' 대응이 잇따르자 외교·안보 전문가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아미타이 에치오니 미국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3일(현지시간) 외교안보 전문지 디플로맷에 실은 기고문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 '기브 앤드 테이크'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에치오니 교수는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깨기 위해서는 경고 수준을 넘어선 무언가가 필요하다"며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끊어내는 과정을 견딜 수 있도록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의 기술'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릭 로버 제재·불법금융센터(CSIF) 수석 고문은 외교 전문매체 포린폴린시(FP)를 통해 중국의 경제 보복 전력을 나열하면서 최근 미국 내 중국 자본의 직접 투자 급증에 우려를 표했다.
중국이 그간 경제적 힘을 활용해 갈등을 빚는 나라들을 압박해 온 사례를 들면서 미국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로버 고문은 최근 중국 자본이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며 당장 경제 살리기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우려스러운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한국과의 교착을 통해 무역전쟁 전략의 힌트를 주고 있다"고 전했다.
컨트롤리스크 그룹의 중국·북아시아 분석 국장 앤드루 길홀름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한국 기업에 일어나는 일은 내년 미국 기업에 닥칠 수 있는 좋은 각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트럼프 체제에서는 모든 것이 지옥 같은 시나리오로 흘러간다"면서 "드라마틱한 무역전쟁이라기보다는 기업을 규제로 옥죄는 방식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비롯한 각국과의 통상 관계에서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마찰을 예고한 상태다.
서구 언론들은 중국의 경제 '보복'을 다루며 한국이 곤란한 상황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달 15일 이후로 단체 여행이 전면 취소되고 대형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 등에서는 한국 관광상품이 사라졌다고 상세하게 전했다.
또 한국 업체 가운데서는 현대자동차나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기업이 중국 매출에 기대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노무라증권의 마이클 나 전략가는 FT에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며 "한국 기업에 타격을 줄 방안이 너무나도 많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과잉 대응을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트로이대 서울캠퍼스의 국제정치학 교수 대니얼 핑크스턴은 독일 공영 도이치벨레(DW)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사소하면서도 타당한 우려를 하고 있지만, 문제가 과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일은 미국과 그 동맹국, 특히 한국과 일본 양국에 주둔하는 미군 등이 일대 지역 안보를 설계하는 문제"라면서 사드가 중국과 전쟁을 벌이기 위한 전조라는 중국 내 일부 보도는 "터무니없다"고 강조했다.
아미타이 에치오니 미국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3일(현지시간) 외교안보 전문지 디플로맷에 실은 기고문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 '기브 앤드 테이크'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에치오니 교수는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깨기 위해서는 경고 수준을 넘어선 무언가가 필요하다"며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끊어내는 과정을 견딜 수 있도록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의 기술'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릭 로버 제재·불법금융센터(CSIF) 수석 고문은 외교 전문매체 포린폴린시(FP)를 통해 중국의 경제 보복 전력을 나열하면서 최근 미국 내 중국 자본의 직접 투자 급증에 우려를 표했다.
중국이 그간 경제적 힘을 활용해 갈등을 빚는 나라들을 압박해 온 사례를 들면서 미국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로버 고문은 최근 중국 자본이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며 당장 경제 살리기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우려스러운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한국과의 교착을 통해 무역전쟁 전략의 힌트를 주고 있다"고 전했다.
컨트롤리스크 그룹의 중국·북아시아 분석 국장 앤드루 길홀름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한국 기업에 일어나는 일은 내년 미국 기업에 닥칠 수 있는 좋은 각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트럼프 체제에서는 모든 것이 지옥 같은 시나리오로 흘러간다"면서 "드라마틱한 무역전쟁이라기보다는 기업을 규제로 옥죄는 방식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비롯한 각국과의 통상 관계에서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마찰을 예고한 상태다.
서구 언론들은 중국의 경제 '보복'을 다루며 한국이 곤란한 상황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달 15일 이후로 단체 여행이 전면 취소되고 대형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 등에서는 한국 관광상품이 사라졌다고 상세하게 전했다.
또 한국 업체 가운데서는 현대자동차나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기업이 중국 매출에 기대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노무라증권의 마이클 나 전략가는 FT에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며 "한국 기업에 타격을 줄 방안이 너무나도 많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과잉 대응을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트로이대 서울캠퍼스의 국제정치학 교수 대니얼 핑크스턴은 독일 공영 도이치벨레(DW)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사소하면서도 타당한 우려를 하고 있지만, 문제가 과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일은 미국과 그 동맹국, 특히 한국과 일본 양국에 주둔하는 미군 등이 일대 지역 안보를 설계하는 문제"라면서 사드가 중국과 전쟁을 벌이기 위한 전조라는 중국 내 일부 보도는 "터무니없다"고 강조했다.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