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잇단 투자 철회…中 자본 ‘불확실성’ 실감
입력 2017.03.14 (21:17)
수정 2017.03.14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사드 배치가 발표된 지난해 7월... 우리 정부가 작성한 중국의 경제 보복 예상 시나리오를 KBS가 입수했습니다.
중국은 3단계에 걸쳐, 대응 수위를 높여갈 것이다, 8개월 전 이런 정부 예상은 지금 그대로 적중하고 있습니다.
유통이나 화장품 업계가 비관세 장벽에 가로막히는 1단계는 이미 지났고, 지금은 한국여행이 제한되는 2단계로 접어들었다는 게 정부 판단입니다.
문제는 이게 끝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사드가 본격 배치되는 국면에선, 투자금을 막무가내로 빼가는 최악으로 치달을 가능성, 배제할 수 없는데요, 벌써 그런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국 자본 2,600억여 원을 들여 지은 제주의 한 콘도 단지.
개장을 한 달 앞두고 위기가 닥쳤습니다.
분양 계약을 했던 중국인 40여 명이 계약 해지를 들고 나온 겁니다.
전체 계약의 30%, 일방적인 통보형식이었습니다.
<녹취> 시행사 관계자 : "법률적으로 계약해지 사유가 있는 건 아니에요. 단순히 투자를 철회하려고 하는 의사 표시인 거죠."
경기도의 또 다른 콘도 단지.
금융 위기를 이기지 못해 10년째 흉물처럼 방치돼 있습니다.
중국 자본 5천억 원을 유치해 재기를 노렸지만, 이번엔 사드에 발목이 잡혔습니다.
<녹취> 파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아무래도 시기가 조금 더 늦춰진 것은 맞습니다. 말씀드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멀쩡한 사업이라도, 중국 투자자와 신뢰를 바탕으로 머리를 맞대기란 쉽지 않습니다.
사드 여파로 제대로 체결한 계약도 파기하는 마당에 투자 의사를 확인하는 정도로는 안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거액의 중국 자본을 유치해 급물살을 탄 대형 프로젝트들, 잇단 투자 철회로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녹취> 한국석유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해외 투자하는 걸 자제하는 분위기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사드와의 연계성 이런 것은?) 그것도 크고요."
정부는 이런 상황을 내다봤지만, 중국이 사드 보복에 나선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며 아직은 맞대응할 때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흥규(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교수) : "중국은 전면적 제재라든가 이런 표현을 하지 않습니다.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나중에 결과를 보면 그렇게, 중국이 제재했구나 라고 할 정도로.."
지난해 우리나라에 들어온 중국자본은 2조 3천억 원.
그러나 차이나머니의 불확실성 때문에 이탈 움직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도 쉽지 않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사드 배치가 발표된 지난해 7월... 우리 정부가 작성한 중국의 경제 보복 예상 시나리오를 KBS가 입수했습니다.
중국은 3단계에 걸쳐, 대응 수위를 높여갈 것이다, 8개월 전 이런 정부 예상은 지금 그대로 적중하고 있습니다.
유통이나 화장품 업계가 비관세 장벽에 가로막히는 1단계는 이미 지났고, 지금은 한국여행이 제한되는 2단계로 접어들었다는 게 정부 판단입니다.
문제는 이게 끝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사드가 본격 배치되는 국면에선, 투자금을 막무가내로 빼가는 최악으로 치달을 가능성, 배제할 수 없는데요, 벌써 그런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국 자본 2,600억여 원을 들여 지은 제주의 한 콘도 단지.
개장을 한 달 앞두고 위기가 닥쳤습니다.
분양 계약을 했던 중국인 40여 명이 계약 해지를 들고 나온 겁니다.
전체 계약의 30%, 일방적인 통보형식이었습니다.
<녹취> 시행사 관계자 : "법률적으로 계약해지 사유가 있는 건 아니에요. 단순히 투자를 철회하려고 하는 의사 표시인 거죠."
경기도의 또 다른 콘도 단지.
금융 위기를 이기지 못해 10년째 흉물처럼 방치돼 있습니다.
중국 자본 5천억 원을 유치해 재기를 노렸지만, 이번엔 사드에 발목이 잡혔습니다.
<녹취> 파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아무래도 시기가 조금 더 늦춰진 것은 맞습니다. 말씀드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멀쩡한 사업이라도, 중국 투자자와 신뢰를 바탕으로 머리를 맞대기란 쉽지 않습니다.
사드 여파로 제대로 체결한 계약도 파기하는 마당에 투자 의사를 확인하는 정도로는 안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거액의 중국 자본을 유치해 급물살을 탄 대형 프로젝트들, 잇단 투자 철회로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녹취> 한국석유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해외 투자하는 걸 자제하는 분위기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사드와의 연계성 이런 것은?) 그것도 크고요."
정부는 이런 상황을 내다봤지만, 중국이 사드 보복에 나선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며 아직은 맞대응할 때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흥규(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교수) : "중국은 전면적 제재라든가 이런 표현을 하지 않습니다.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나중에 결과를 보면 그렇게, 중국이 제재했구나 라고 할 정도로.."
지난해 우리나라에 들어온 중국자본은 2조 3천억 원.
그러나 차이나머니의 불확실성 때문에 이탈 움직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도 쉽지 않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잇단 투자 철회…中 자본 ‘불확실성’ 실감
-
- 입력 2017-03-14 21:20:04
- 수정2017-03-14 22:08:01

<앵커 멘트>
사드 배치가 발표된 지난해 7월... 우리 정부가 작성한 중국의 경제 보복 예상 시나리오를 KBS가 입수했습니다.
중국은 3단계에 걸쳐, 대응 수위를 높여갈 것이다, 8개월 전 이런 정부 예상은 지금 그대로 적중하고 있습니다.
유통이나 화장품 업계가 비관세 장벽에 가로막히는 1단계는 이미 지났고, 지금은 한국여행이 제한되는 2단계로 접어들었다는 게 정부 판단입니다.
문제는 이게 끝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사드가 본격 배치되는 국면에선, 투자금을 막무가내로 빼가는 최악으로 치달을 가능성, 배제할 수 없는데요, 벌써 그런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국 자본 2,600억여 원을 들여 지은 제주의 한 콘도 단지.
개장을 한 달 앞두고 위기가 닥쳤습니다.
분양 계약을 했던 중국인 40여 명이 계약 해지를 들고 나온 겁니다.
전체 계약의 30%, 일방적인 통보형식이었습니다.
<녹취> 시행사 관계자 : "법률적으로 계약해지 사유가 있는 건 아니에요. 단순히 투자를 철회하려고 하는 의사 표시인 거죠."
경기도의 또 다른 콘도 단지.
금융 위기를 이기지 못해 10년째 흉물처럼 방치돼 있습니다.
중국 자본 5천억 원을 유치해 재기를 노렸지만, 이번엔 사드에 발목이 잡혔습니다.
<녹취> 파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아무래도 시기가 조금 더 늦춰진 것은 맞습니다. 말씀드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멀쩡한 사업이라도, 중국 투자자와 신뢰를 바탕으로 머리를 맞대기란 쉽지 않습니다.
사드 여파로 제대로 체결한 계약도 파기하는 마당에 투자 의사를 확인하는 정도로는 안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거액의 중국 자본을 유치해 급물살을 탄 대형 프로젝트들, 잇단 투자 철회로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녹취> 한국석유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해외 투자하는 걸 자제하는 분위기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사드와의 연계성 이런 것은?) 그것도 크고요."
정부는 이런 상황을 내다봤지만, 중국이 사드 보복에 나선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며 아직은 맞대응할 때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흥규(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교수) : "중국은 전면적 제재라든가 이런 표현을 하지 않습니다.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나중에 결과를 보면 그렇게, 중국이 제재했구나 라고 할 정도로.."
지난해 우리나라에 들어온 중국자본은 2조 3천억 원.
그러나 차이나머니의 불확실성 때문에 이탈 움직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도 쉽지 않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사드 배치가 발표된 지난해 7월... 우리 정부가 작성한 중국의 경제 보복 예상 시나리오를 KBS가 입수했습니다.
중국은 3단계에 걸쳐, 대응 수위를 높여갈 것이다, 8개월 전 이런 정부 예상은 지금 그대로 적중하고 있습니다.
유통이나 화장품 업계가 비관세 장벽에 가로막히는 1단계는 이미 지났고, 지금은 한국여행이 제한되는 2단계로 접어들었다는 게 정부 판단입니다.
문제는 이게 끝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사드가 본격 배치되는 국면에선, 투자금을 막무가내로 빼가는 최악으로 치달을 가능성, 배제할 수 없는데요, 벌써 그런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국 자본 2,600억여 원을 들여 지은 제주의 한 콘도 단지.
개장을 한 달 앞두고 위기가 닥쳤습니다.
분양 계약을 했던 중국인 40여 명이 계약 해지를 들고 나온 겁니다.
전체 계약의 30%, 일방적인 통보형식이었습니다.
<녹취> 시행사 관계자 : "법률적으로 계약해지 사유가 있는 건 아니에요. 단순히 투자를 철회하려고 하는 의사 표시인 거죠."
경기도의 또 다른 콘도 단지.
금융 위기를 이기지 못해 10년째 흉물처럼 방치돼 있습니다.
중국 자본 5천억 원을 유치해 재기를 노렸지만, 이번엔 사드에 발목이 잡혔습니다.
<녹취> 파주시 관계자(음성변조) : "아무래도 시기가 조금 더 늦춰진 것은 맞습니다. 말씀드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멀쩡한 사업이라도, 중국 투자자와 신뢰를 바탕으로 머리를 맞대기란 쉽지 않습니다.
사드 여파로 제대로 체결한 계약도 파기하는 마당에 투자 의사를 확인하는 정도로는 안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거액의 중국 자본을 유치해 급물살을 탄 대형 프로젝트들, 잇단 투자 철회로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녹취> 한국석유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해외 투자하는 걸 자제하는 분위기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사드와의 연계성 이런 것은?) 그것도 크고요."
정부는 이런 상황을 내다봤지만, 중국이 사드 보복에 나선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며 아직은 맞대응할 때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흥규(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교수) : "중국은 전면적 제재라든가 이런 표현을 하지 않습니다.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나중에 결과를 보면 그렇게, 중국이 제재했구나 라고 할 정도로.."
지난해 우리나라에 들어온 중국자본은 2조 3천억 원.
그러나 차이나머니의 불확실성 때문에 이탈 움직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도 쉽지 않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
우한울 기자 whw@kbs.co.kr
우한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