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 CIA 국장 “北 핵 EMP 공격 대비해야”
입력 2017.03.30 (06:09)
수정 2017.03.30 (07: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추가 도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 내에서도 북한 위협론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전직 CIA 국장은 북한의 핵 EMP, 즉 전자기펄스 공격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제임스 울시 전 CIA 국장은 미 하원 세미나에서 북한 핵 위협을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위성을 이용한 북한의 핵 EMP, 전자기펄스 탄 공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현실화될 경우 미국인 10명 중 9명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녹취> 제임스 울시(前 CIA 국장) : "핵 전자기펄스 탄이 전자 기기가 있는 곳 위에서 터지면 모든 전자 기기를 무력화시킬 수 있습니다. 북한은 굳이 목표를 명중시킬 필요도 없는 겁니다."
북한의 잇단 도발로 한반도 사드 배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녹취> 디트라니(前 미 6자회담 차석대표) : "소형화와 미사일 운반 시스템 장착을 말하는 상황에서는 미사일 방어망을 구축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습니다."
세미나에서는 북한 정권 교체 주장까지 제기됐습니다.
<녹취> 로라바커(미 하원의원) : "북한 정권을 축출하기 위한 액션 플랜이 필요합니다. 정통 정부의 힘은 국민의 동의에서 나오는데 이런 면에서 북한은 정통 정부가 아닙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 70~100 명 정도가 모여 있는 장면이 인공위성 사진에 포착됐습니다.
38노스는 과거 북한의 3차 핵실험 전과 유사한 현상이라며 이를 핵실험 감행 메시지라고 분석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북한의 추가 도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 내에서도 북한 위협론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전직 CIA 국장은 북한의 핵 EMP, 즉 전자기펄스 공격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제임스 울시 전 CIA 국장은 미 하원 세미나에서 북한 핵 위협을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위성을 이용한 북한의 핵 EMP, 전자기펄스 탄 공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현실화될 경우 미국인 10명 중 9명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녹취> 제임스 울시(前 CIA 국장) : "핵 전자기펄스 탄이 전자 기기가 있는 곳 위에서 터지면 모든 전자 기기를 무력화시킬 수 있습니다. 북한은 굳이 목표를 명중시킬 필요도 없는 겁니다."
북한의 잇단 도발로 한반도 사드 배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녹취> 디트라니(前 미 6자회담 차석대표) : "소형화와 미사일 운반 시스템 장착을 말하는 상황에서는 미사일 방어망을 구축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습니다."
세미나에서는 북한 정권 교체 주장까지 제기됐습니다.
<녹취> 로라바커(미 하원의원) : "북한 정권을 축출하기 위한 액션 플랜이 필요합니다. 정통 정부의 힘은 국민의 동의에서 나오는데 이런 면에서 북한은 정통 정부가 아닙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 70~100 명 정도가 모여 있는 장면이 인공위성 사진에 포착됐습니다.
38노스는 과거 북한의 3차 핵실험 전과 유사한 현상이라며 이를 핵실험 감행 메시지라고 분석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前 CIA 국장 “北 핵 EMP 공격 대비해야”
-
- 입력 2017-03-30 06:11:56
- 수정2017-03-30 07:13:12

<앵커 멘트>
북한의 추가 도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 내에서도 북한 위협론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전직 CIA 국장은 북한의 핵 EMP, 즉 전자기펄스 공격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제임스 울시 전 CIA 국장은 미 하원 세미나에서 북한 핵 위협을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위성을 이용한 북한의 핵 EMP, 전자기펄스 탄 공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현실화될 경우 미국인 10명 중 9명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녹취> 제임스 울시(前 CIA 국장) : "핵 전자기펄스 탄이 전자 기기가 있는 곳 위에서 터지면 모든 전자 기기를 무력화시킬 수 있습니다. 북한은 굳이 목표를 명중시킬 필요도 없는 겁니다."
북한의 잇단 도발로 한반도 사드 배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녹취> 디트라니(前 미 6자회담 차석대표) : "소형화와 미사일 운반 시스템 장착을 말하는 상황에서는 미사일 방어망을 구축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습니다."
세미나에서는 북한 정권 교체 주장까지 제기됐습니다.
<녹취> 로라바커(미 하원의원) : "북한 정권을 축출하기 위한 액션 플랜이 필요합니다. 정통 정부의 힘은 국민의 동의에서 나오는데 이런 면에서 북한은 정통 정부가 아닙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 70~100 명 정도가 모여 있는 장면이 인공위성 사진에 포착됐습니다.
38노스는 과거 북한의 3차 핵실험 전과 유사한 현상이라며 이를 핵실험 감행 메시지라고 분석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북한의 추가 도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 내에서도 북한 위협론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전직 CIA 국장은 북한의 핵 EMP, 즉 전자기펄스 공격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제임스 울시 전 CIA 국장은 미 하원 세미나에서 북한 핵 위협을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위성을 이용한 북한의 핵 EMP, 전자기펄스 탄 공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현실화될 경우 미국인 10명 중 9명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녹취> 제임스 울시(前 CIA 국장) : "핵 전자기펄스 탄이 전자 기기가 있는 곳 위에서 터지면 모든 전자 기기를 무력화시킬 수 있습니다. 북한은 굳이 목표를 명중시킬 필요도 없는 겁니다."
북한의 잇단 도발로 한반도 사드 배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녹취> 디트라니(前 미 6자회담 차석대표) : "소형화와 미사일 운반 시스템 장착을 말하는 상황에서는 미사일 방어망을 구축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습니다."
세미나에서는 북한 정권 교체 주장까지 제기됐습니다.
<녹취> 로라바커(미 하원의원) : "북한 정권을 축출하기 위한 액션 플랜이 필요합니다. 정통 정부의 힘은 국민의 동의에서 나오는데 이런 면에서 북한은 정통 정부가 아닙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 70~100 명 정도가 모여 있는 장면이 인공위성 사진에 포착됐습니다.
38노스는 과거 북한의 3차 핵실험 전과 유사한 현상이라며 이를 핵실험 감행 메시지라고 분석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
이재원 기자 ljw@kbs.co.kr
이재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