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기름 유출’…진도 어민 해상 시위
입력 2017.03.30 (19:09)
수정 2017.03.30 (1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세월호 인양 과정에서 기름이 유출돼 피해를 입은 진도 어민들이 정부 보상을 요구하며 해상 시위를 벌였습니다.
기름 유출로 인한 진도 어장의 피해 규모는 55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보도에 최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월호 인양 해역인 진도 동거차도 앞바다에 현수막을 내건 어선들이 모여듭니다.
양식장에 기름이 유입돼 피해가 막심하다며 어민들이 보상을 요구하는 해상 시위에 나선 겁니다.
<인터뷰> 최석중(진도 동거차도 주민) : "저것(미역)을 건지면 사 먹을 사람이 있어야 할 것 아니에요. 언론에 다 나왔잖아요. 동거차도 양식 미역에 기름이 붙었다고 하면 누가 사먹겠어요."
마을 어장에 기름이 흘러든 건 세월호 인양이 시작된 다음날인 지난 23일부터입니다.
이후 나흘 동안 상당한 양의 기름이 해상에 유출돼 어장 곳곳에 들러 붙었습니다.
지난해 양식을 시작해 다 자란 미역입니다.
한창 수확해야 할 시기이지만 기름이 유출되면서 작업이 모두 중단됐습니다.
어민들은 세월호 인양 전에 수확해놓은 미역도 팔기 어렵다고 하소연합니다.
<인터뷰> 정진배(진도 동거차도 어민) : "기름이 안 묻었어도 안 되요. 안 사가버려요. 판매를 할 수가 없어요."
진도군이 집계한 기름 유출 피해 규모는 22개 어촌계에 천 6백여 헥타르, 잠정 피해액은 55억 원입니다.
3년 전 세월호 침몰 당시 피해 보상도 마무리되지 않은 채 또 다시 기름이 유출되면서 진도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세월호 인양 과정에서 기름이 유출돼 피해를 입은 진도 어민들이 정부 보상을 요구하며 해상 시위를 벌였습니다.
기름 유출로 인한 진도 어장의 피해 규모는 55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보도에 최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월호 인양 해역인 진도 동거차도 앞바다에 현수막을 내건 어선들이 모여듭니다.
양식장에 기름이 유입돼 피해가 막심하다며 어민들이 보상을 요구하는 해상 시위에 나선 겁니다.
<인터뷰> 최석중(진도 동거차도 주민) : "저것(미역)을 건지면 사 먹을 사람이 있어야 할 것 아니에요. 언론에 다 나왔잖아요. 동거차도 양식 미역에 기름이 붙었다고 하면 누가 사먹겠어요."
마을 어장에 기름이 흘러든 건 세월호 인양이 시작된 다음날인 지난 23일부터입니다.
이후 나흘 동안 상당한 양의 기름이 해상에 유출돼 어장 곳곳에 들러 붙었습니다.
지난해 양식을 시작해 다 자란 미역입니다.
한창 수확해야 할 시기이지만 기름이 유출되면서 작업이 모두 중단됐습니다.
어민들은 세월호 인양 전에 수확해놓은 미역도 팔기 어렵다고 하소연합니다.
<인터뷰> 정진배(진도 동거차도 어민) : "기름이 안 묻었어도 안 되요. 안 사가버려요. 판매를 할 수가 없어요."
진도군이 집계한 기름 유출 피해 규모는 22개 어촌계에 천 6백여 헥타르, 잠정 피해액은 55억 원입니다.
3년 전 세월호 침몰 당시 피해 보상도 마무리되지 않은 채 또 다시 기름이 유출되면서 진도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호 기름 유출’…진도 어민 해상 시위
-
- 입력 2017-03-30 19:10:55
- 수정2017-03-30 19:52:46

<앵커 멘트>
세월호 인양 과정에서 기름이 유출돼 피해를 입은 진도 어민들이 정부 보상을 요구하며 해상 시위를 벌였습니다.
기름 유출로 인한 진도 어장의 피해 규모는 55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보도에 최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월호 인양 해역인 진도 동거차도 앞바다에 현수막을 내건 어선들이 모여듭니다.
양식장에 기름이 유입돼 피해가 막심하다며 어민들이 보상을 요구하는 해상 시위에 나선 겁니다.
<인터뷰> 최석중(진도 동거차도 주민) : "저것(미역)을 건지면 사 먹을 사람이 있어야 할 것 아니에요. 언론에 다 나왔잖아요. 동거차도 양식 미역에 기름이 붙었다고 하면 누가 사먹겠어요."
마을 어장에 기름이 흘러든 건 세월호 인양이 시작된 다음날인 지난 23일부터입니다.
이후 나흘 동안 상당한 양의 기름이 해상에 유출돼 어장 곳곳에 들러 붙었습니다.
지난해 양식을 시작해 다 자란 미역입니다.
한창 수확해야 할 시기이지만 기름이 유출되면서 작업이 모두 중단됐습니다.
어민들은 세월호 인양 전에 수확해놓은 미역도 팔기 어렵다고 하소연합니다.
<인터뷰> 정진배(진도 동거차도 어민) : "기름이 안 묻었어도 안 되요. 안 사가버려요. 판매를 할 수가 없어요."
진도군이 집계한 기름 유출 피해 규모는 22개 어촌계에 천 6백여 헥타르, 잠정 피해액은 55억 원입니다.
3년 전 세월호 침몰 당시 피해 보상도 마무리되지 않은 채 또 다시 기름이 유출되면서 진도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세월호 인양 과정에서 기름이 유출돼 피해를 입은 진도 어민들이 정부 보상을 요구하며 해상 시위를 벌였습니다.
기름 유출로 인한 진도 어장의 피해 규모는 55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보도에 최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월호 인양 해역인 진도 동거차도 앞바다에 현수막을 내건 어선들이 모여듭니다.
양식장에 기름이 유입돼 피해가 막심하다며 어민들이 보상을 요구하는 해상 시위에 나선 겁니다.
<인터뷰> 최석중(진도 동거차도 주민) : "저것(미역)을 건지면 사 먹을 사람이 있어야 할 것 아니에요. 언론에 다 나왔잖아요. 동거차도 양식 미역에 기름이 붙었다고 하면 누가 사먹겠어요."
마을 어장에 기름이 흘러든 건 세월호 인양이 시작된 다음날인 지난 23일부터입니다.
이후 나흘 동안 상당한 양의 기름이 해상에 유출돼 어장 곳곳에 들러 붙었습니다.
지난해 양식을 시작해 다 자란 미역입니다.
한창 수확해야 할 시기이지만 기름이 유출되면서 작업이 모두 중단됐습니다.
어민들은 세월호 인양 전에 수확해놓은 미역도 팔기 어렵다고 하소연합니다.
<인터뷰> 정진배(진도 동거차도 어민) : "기름이 안 묻었어도 안 되요. 안 사가버려요. 판매를 할 수가 없어요."
진도군이 집계한 기름 유출 피해 규모는 22개 어촌계에 천 6백여 헥타르, 잠정 피해액은 55억 원입니다.
3년 전 세월호 침몰 당시 피해 보상도 마무리되지 않은 채 또 다시 기름이 유출되면서 진도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
-
최혜진 기자 join@kbs.co.kr
최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4·16 세월호 참사 4년…‘국가배상책임’ 인정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