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력 대선 후보 캠프에 교수들이 몰려드는 건 지지했던 후보가 대통령이 될 경우 장관이나 청와대 수석, 공공기관장 등 요직에 기용될 기회를 잡을 수 있기 대문입니다.
대통령 당선 후 보통 인수위를 거쳐 꾸리게 되는 청와대 비서실만해도 장관급 비서실장과 차관급 수석비서관, 1급 비서관 등 1급 이상 정무직만 수십개에 달합니다.
또 각부처 장관 차관을 비롯해 장-차관급 자리 100여 개는 물론 헌법기관 고위직 등 대통령에게 직접 임명장을 받는 인원이 7천 명에 이릅니다.
여기에 한국공항공사 등 17개 공기업 사장과 한국과학기술원 등 수백개 공공기관의 기관장 이들 공기업이나 기관의 이사와 감사 등도 사실상 대통령의 인사권 내에 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이미 민영화된 포스코나 KT, KB 급융그룹 등도 여전히 청와대의 영향권 안에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요직에 갈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데다 그만 두고 나서 다시 학교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교수들이 쉽게 유혹에 빠지는 겁니다.
실제로 실용주의를 강조했던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엔 청와대 수석 7명 중 무려 6명을 교수 출신으로 꾸렸는데, 국정 난맥으로 4개월도 안돼 수석들이 일괄 사의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대통령 당선 후 보통 인수위를 거쳐 꾸리게 되는 청와대 비서실만해도 장관급 비서실장과 차관급 수석비서관, 1급 비서관 등 1급 이상 정무직만 수십개에 달합니다.
또 각부처 장관 차관을 비롯해 장-차관급 자리 100여 개는 물론 헌법기관 고위직 등 대통령에게 직접 임명장을 받는 인원이 7천 명에 이릅니다.
여기에 한국공항공사 등 17개 공기업 사장과 한국과학기술원 등 수백개 공공기관의 기관장 이들 공기업이나 기관의 이사와 감사 등도 사실상 대통령의 인사권 내에 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이미 민영화된 포스코나 KT, KB 급융그룹 등도 여전히 청와대의 영향권 안에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요직에 갈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데다 그만 두고 나서 다시 학교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교수들이 쉽게 유혹에 빠지는 겁니다.
실제로 실용주의를 강조했던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엔 청와대 수석 7명 중 무려 6명을 교수 출신으로 꾸렸는데, 국정 난맥으로 4개월도 안돼 수석들이 일괄 사의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폴리페서’ 대선캠프 줄서기 이유는?
-
- 입력 2017-03-30 21:37:26

유력 대선 후보 캠프에 교수들이 몰려드는 건 지지했던 후보가 대통령이 될 경우 장관이나 청와대 수석, 공공기관장 등 요직에 기용될 기회를 잡을 수 있기 대문입니다.
대통령 당선 후 보통 인수위를 거쳐 꾸리게 되는 청와대 비서실만해도 장관급 비서실장과 차관급 수석비서관, 1급 비서관 등 1급 이상 정무직만 수십개에 달합니다.
또 각부처 장관 차관을 비롯해 장-차관급 자리 100여 개는 물론 헌법기관 고위직 등 대통령에게 직접 임명장을 받는 인원이 7천 명에 이릅니다.
여기에 한국공항공사 등 17개 공기업 사장과 한국과학기술원 등 수백개 공공기관의 기관장 이들 공기업이나 기관의 이사와 감사 등도 사실상 대통령의 인사권 내에 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이미 민영화된 포스코나 KT, KB 급융그룹 등도 여전히 청와대의 영향권 안에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요직에 갈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데다 그만 두고 나서 다시 학교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교수들이 쉽게 유혹에 빠지는 겁니다.
실제로 실용주의를 강조했던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엔 청와대 수석 7명 중 무려 6명을 교수 출신으로 꾸렸는데, 국정 난맥으로 4개월도 안돼 수석들이 일괄 사의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대통령 당선 후 보통 인수위를 거쳐 꾸리게 되는 청와대 비서실만해도 장관급 비서실장과 차관급 수석비서관, 1급 비서관 등 1급 이상 정무직만 수십개에 달합니다.
또 각부처 장관 차관을 비롯해 장-차관급 자리 100여 개는 물론 헌법기관 고위직 등 대통령에게 직접 임명장을 받는 인원이 7천 명에 이릅니다.
여기에 한국공항공사 등 17개 공기업 사장과 한국과학기술원 등 수백개 공공기관의 기관장 이들 공기업이나 기관의 이사와 감사 등도 사실상 대통령의 인사권 내에 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이미 민영화된 포스코나 KT, KB 급융그룹 등도 여전히 청와대의 영향권 안에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요직에 갈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데다 그만 두고 나서 다시 학교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교수들이 쉽게 유혹에 빠지는 겁니다.
실제로 실용주의를 강조했던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엔 청와대 수석 7명 중 무려 6명을 교수 출신으로 꾸렸는데, 국정 난맥으로 4개월도 안돼 수석들이 일괄 사의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
-
정아연 기자 niche@kbs.co.kr
정아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