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당정일체론 설전…안철수 4연승

입력 2017.03.30 (23:29) 수정 2017.03.31 (0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들은 마지막 합동 토론회에서 대통령과 여당의 관계설정 방안을 놓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습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대구·경북·강원 지역 순회 경선에서도 압승을 거두면서 4연승을 이어갔습니다.

천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선 후보 선출 전 마지막 합동 토론회,

문재인 전 대표는 당정일체론을 제시하며 안희정 충남지사와 설전을 벌였습니다.

<녹취> 안희정(충남지사) : "당은 그러면 문재인 대통령님이 실질적으로 총재 역할을 하시는 건가요?"

<녹취> 문재인(전 민주당 대표) : "앞으로 정책뿐만 아니라 인사라든지 모든 면에서 당과 협의하겠습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문 전 대표 캠프 인사들 가운데 기득권 인사들이 많다고 비판했습니다.

<녹취> 이재명(성남시장) : "재벌의 사외이사 출신이 15명이나 됩니다. 주변에 너무 많은 기득권자들이 모여있어요."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대구·경북·강원 지역 순회 경선에서도 72.4%의 득표율로 압승해 4연승을 이어갔습니다.

2위는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3위는 박주선 국회 부의장이었습니다. 안철수 전 대표는 자신이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의 대항마임을 거듭 강조했고, 대선 전 연대에 대해 기존의 부정적 입장에서 벗어나

국민이 선택할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 놓았습니다.

<녹취> 안철수(전 국민의당 대표) : "국민에 의한 연대, 오직 그 길만이 진정한 승리의 길입니다."

손학규 전 대표는 개혁세력의 연합을 주장했고 박주선 국회부의장은 영호남 화합을 강조했습니다.

정의당 대선 후보인 심상정 대표는 선거 과정에서 단일화나 사퇴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천효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주 당정일체론 설전…안철수 4연승
    • 입력 2017-03-30 23:35:00
    • 수정2017-03-31 00:02:28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들은 마지막 합동 토론회에서 대통령과 여당의 관계설정 방안을 놓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습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대구·경북·강원 지역 순회 경선에서도 압승을 거두면서 4연승을 이어갔습니다.

천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선 후보 선출 전 마지막 합동 토론회,

문재인 전 대표는 당정일체론을 제시하며 안희정 충남지사와 설전을 벌였습니다.

<녹취> 안희정(충남지사) : "당은 그러면 문재인 대통령님이 실질적으로 총재 역할을 하시는 건가요?"

<녹취> 문재인(전 민주당 대표) : "앞으로 정책뿐만 아니라 인사라든지 모든 면에서 당과 협의하겠습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문 전 대표 캠프 인사들 가운데 기득권 인사들이 많다고 비판했습니다.

<녹취> 이재명(성남시장) : "재벌의 사외이사 출신이 15명이나 됩니다. 주변에 너무 많은 기득권자들이 모여있어요."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대구·경북·강원 지역 순회 경선에서도 72.4%의 득표율로 압승해 4연승을 이어갔습니다.

2위는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3위는 박주선 국회 부의장이었습니다. 안철수 전 대표는 자신이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의 대항마임을 거듭 강조했고, 대선 전 연대에 대해 기존의 부정적 입장에서 벗어나

국민이 선택할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 놓았습니다.

<녹취> 안철수(전 국민의당 대표) : "국민에 의한 연대, 오직 그 길만이 진정한 승리의 길입니다."

손학규 전 대표는 개혁세력의 연합을 주장했고 박주선 국회부의장은 영호남 화합을 강조했습니다.

정의당 대선 후보인 심상정 대표는 선거 과정에서 단일화나 사퇴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천효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