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1089일 만에 뭍으로…육상 이송 마무리
입력 2017.04.09 (21:01)
수정 2017.04.10 (06: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도착한지 아흐레만에, 특수운송장비에 실려 육지 위로 완전히 올라왔습니다.
진도 앞바다에 침몰한지 1089일 만인데요, 먼저 세월호 육상 이송 과정을, 최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후 1시, 목포 앞바다의 바닷물 수위가 가장 높아졌습니다.
이 때에 맞춰 세월호를 들어 올리고 있던 선박 운송장비가 아주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장비 600대가 한 몸처럼 만 7천 톤의 세월호를 떠받치고 옮겨야 하는 쉽지 않은 작업입니다.
3시간이 지나 가장 앞에 선 운송장비는 부두 안 100미터까지 이동했습니다.
만조가 지나 바닷물 수위가 점점 낮아지자 반잠수선이 바빠졌습니다.
부두와 높이가 달라지면 이동이 중단될 수도 있는 상황,
수평이 깨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배 높이를 조절했습니다.
세월호 주변에서는 행여 중심이 무너지지 않을까 작업자들이 이동 상황을 끊임없이 확인, 또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오후 5시 30분, 길이 145.6미터의 세월호가 완전히 부두 위로 올라왔습니다.
<인터뷰> 이상갑(한국해양대학교 교수) : "반잠수선과 부두의 높이를 수평을 잘 맞춰서 한 게 가장 중요하고, 모듈 트랜스포터(운송 장비)가 균형 있게 높낮이를 잘 조정해서 한 것이 주효했다고 생각합니다."
선체조사위원회 등의 요청에 따라 세월호는 항구에서 객실 쪽을 볼 수 있도록 방향을 틀어 자리를 잡게 됩니다.
참사 3년을 일주일 남겨놓고, 세월호의 길었던 항해는 끝이 났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도착한지 아흐레만에, 특수운송장비에 실려 육지 위로 완전히 올라왔습니다.
진도 앞바다에 침몰한지 1089일 만인데요, 먼저 세월호 육상 이송 과정을, 최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후 1시, 목포 앞바다의 바닷물 수위가 가장 높아졌습니다.
이 때에 맞춰 세월호를 들어 올리고 있던 선박 운송장비가 아주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장비 600대가 한 몸처럼 만 7천 톤의 세월호를 떠받치고 옮겨야 하는 쉽지 않은 작업입니다.
3시간이 지나 가장 앞에 선 운송장비는 부두 안 100미터까지 이동했습니다.
만조가 지나 바닷물 수위가 점점 낮아지자 반잠수선이 바빠졌습니다.
부두와 높이가 달라지면 이동이 중단될 수도 있는 상황,
수평이 깨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배 높이를 조절했습니다.
세월호 주변에서는 행여 중심이 무너지지 않을까 작업자들이 이동 상황을 끊임없이 확인, 또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오후 5시 30분, 길이 145.6미터의 세월호가 완전히 부두 위로 올라왔습니다.
<인터뷰> 이상갑(한국해양대학교 교수) : "반잠수선과 부두의 높이를 수평을 잘 맞춰서 한 게 가장 중요하고, 모듈 트랜스포터(운송 장비)가 균형 있게 높낮이를 잘 조정해서 한 것이 주효했다고 생각합니다."
선체조사위원회 등의 요청에 따라 세월호는 항구에서 객실 쪽을 볼 수 있도록 방향을 틀어 자리를 잡게 됩니다.
참사 3년을 일주일 남겨놓고, 세월호의 길었던 항해는 끝이 났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호 1089일 만에 뭍으로…육상 이송 마무리
-
- 입력 2017-04-09 21:02:27
- 수정2017-04-10 06:15:10

<앵커 멘트>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도착한지 아흐레만에, 특수운송장비에 실려 육지 위로 완전히 올라왔습니다.
진도 앞바다에 침몰한지 1089일 만인데요, 먼저 세월호 육상 이송 과정을, 최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후 1시, 목포 앞바다의 바닷물 수위가 가장 높아졌습니다.
이 때에 맞춰 세월호를 들어 올리고 있던 선박 운송장비가 아주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장비 600대가 한 몸처럼 만 7천 톤의 세월호를 떠받치고 옮겨야 하는 쉽지 않은 작업입니다.
3시간이 지나 가장 앞에 선 운송장비는 부두 안 100미터까지 이동했습니다.
만조가 지나 바닷물 수위가 점점 낮아지자 반잠수선이 바빠졌습니다.
부두와 높이가 달라지면 이동이 중단될 수도 있는 상황,
수평이 깨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배 높이를 조절했습니다.
세월호 주변에서는 행여 중심이 무너지지 않을까 작업자들이 이동 상황을 끊임없이 확인, 또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오후 5시 30분, 길이 145.6미터의 세월호가 완전히 부두 위로 올라왔습니다.
<인터뷰> 이상갑(한국해양대학교 교수) : "반잠수선과 부두의 높이를 수평을 잘 맞춰서 한 게 가장 중요하고, 모듈 트랜스포터(운송 장비)가 균형 있게 높낮이를 잘 조정해서 한 것이 주효했다고 생각합니다."
선체조사위원회 등의 요청에 따라 세월호는 항구에서 객실 쪽을 볼 수 있도록 방향을 틀어 자리를 잡게 됩니다.
참사 3년을 일주일 남겨놓고, 세월호의 길었던 항해는 끝이 났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도착한지 아흐레만에, 특수운송장비에 실려 육지 위로 완전히 올라왔습니다.
진도 앞바다에 침몰한지 1089일 만인데요, 먼저 세월호 육상 이송 과정을, 최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후 1시, 목포 앞바다의 바닷물 수위가 가장 높아졌습니다.
이 때에 맞춰 세월호를 들어 올리고 있던 선박 운송장비가 아주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장비 600대가 한 몸처럼 만 7천 톤의 세월호를 떠받치고 옮겨야 하는 쉽지 않은 작업입니다.
3시간이 지나 가장 앞에 선 운송장비는 부두 안 100미터까지 이동했습니다.
만조가 지나 바닷물 수위가 점점 낮아지자 반잠수선이 바빠졌습니다.
부두와 높이가 달라지면 이동이 중단될 수도 있는 상황,
수평이 깨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배 높이를 조절했습니다.
세월호 주변에서는 행여 중심이 무너지지 않을까 작업자들이 이동 상황을 끊임없이 확인, 또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오후 5시 30분, 길이 145.6미터의 세월호가 완전히 부두 위로 올라왔습니다.
<인터뷰> 이상갑(한국해양대학교 교수) : "반잠수선과 부두의 높이를 수평을 잘 맞춰서 한 게 가장 중요하고, 모듈 트랜스포터(운송 장비)가 균형 있게 높낮이를 잘 조정해서 한 것이 주효했다고 생각합니다."
선체조사위원회 등의 요청에 따라 세월호는 항구에서 객실 쪽을 볼 수 있도록 방향을 틀어 자리를 잡게 됩니다.
참사 3년을 일주일 남겨놓고, 세월호의 길었던 항해는 끝이 났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
-
최혜진 기자 join@kbs.co.kr
최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4·16 세월호 참사 4년…‘국가배상책임’ 인정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