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송광사에서 국보·보물 15점 등 특별전

입력 2017.04.15 (14:07) 수정 2017.04.15 (14: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 등 16명의 국사(國師)를 배출한 유서 깊은 절인 순천 송광사에서 22일 성보박물관을 확장 개관하고 특별전 '새롭게 문을 열다'를 개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는 국보 3점, 보물 12점, 등록문화재 2점, 전남유형문화재 4점을 포함해 모두 120점이 나온다.

전시 유물 중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일반에 거의 공개되지 않았던 '목조삼존불감'(국보 제42호)과 '화엄경변상도'(국보 제314호)다.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목조삼존불감'은 나무로 만든 불감(佛龕)이다. 불감은 작은 불상을 모신 집을 뜻한다. 이 불감은 높이가 13㎝, 문을 열었을 때 너비가 17㎝에 불과하다. 불상의 얼굴 표현과 세부 장식이 이국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화엄경변상도는 1770년 승려 화가 12명이 무등산에서 조성해 송광사로 옮긴 불화다. 부처가 화엄경을 설파할 때 7곳에서 9번의 모임을 했다는 '칠처구회'(七處九會)를 그림으로 표현했다.

이외에도 고려 고종 3년(1216) 송광사에 머물던 국사인 혜심이 왕에게서 받은 문서인 '혜심고신제서'(국보 제43호)를 비롯해 스님들이 의식을 행할 때 흔들어 소리를 냈던 '금동요령'(보물 제176호), 국사 16명의 초상화인 '십육조사진영'(보물 제1043호) 등을 볼 수 있다.

또 지난해 9월에 보물로 지정된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제1909호)과 '인천안목 목판'(제1911호)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6월 4일까지 이어진다. 다만 '목조삼존불감'과 '화엄경변상도'는 5월 3일까지만 전시된다. 이어 6월 23일부터는 도난 40여 년 만에 지난해 12월 미국에서 환수한 '오불도'를 주제로 한 전시를 연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순천 송광사에서 국보·보물 15점 등 특별전
    • 입력 2017-04-15 14:07:34
    • 수정2017-04-15 14:58:18
    문화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 등 16명의 국사(國師)를 배출한 유서 깊은 절인 순천 송광사에서 22일 성보박물관을 확장 개관하고 특별전 '새롭게 문을 열다'를 개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는 국보 3점, 보물 12점, 등록문화재 2점, 전남유형문화재 4점을 포함해 모두 120점이 나온다.

전시 유물 중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일반에 거의 공개되지 않았던 '목조삼존불감'(국보 제42호)과 '화엄경변상도'(국보 제314호)다.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목조삼존불감'은 나무로 만든 불감(佛龕)이다. 불감은 작은 불상을 모신 집을 뜻한다. 이 불감은 높이가 13㎝, 문을 열었을 때 너비가 17㎝에 불과하다. 불상의 얼굴 표현과 세부 장식이 이국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화엄경변상도는 1770년 승려 화가 12명이 무등산에서 조성해 송광사로 옮긴 불화다. 부처가 화엄경을 설파할 때 7곳에서 9번의 모임을 했다는 '칠처구회'(七處九會)를 그림으로 표현했다.

이외에도 고려 고종 3년(1216) 송광사에 머물던 국사인 혜심이 왕에게서 받은 문서인 '혜심고신제서'(국보 제43호)를 비롯해 스님들이 의식을 행할 때 흔들어 소리를 냈던 '금동요령'(보물 제176호), 국사 16명의 초상화인 '십육조사진영'(보물 제1043호) 등을 볼 수 있다.

또 지난해 9월에 보물로 지정된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제1909호)과 '인천안목 목판'(제1911호)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6월 4일까지 이어진다. 다만 '목조삼존불감'과 '화엄경변상도'는 5월 3일까지만 전시된다. 이어 6월 23일부터는 도난 40여 년 만에 지난해 12월 미국에서 환수한 '오불도'를 주제로 한 전시를 연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