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韓 지속성장지수 OCED 최하위권”

입력 2017.04.16 (11:27) 수정 2017.04.16 (11: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자체적으로 발표하는 한국의 국가지속성장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 회원국 중 최하위권인 24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국가지속성장지수 추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지속성장지수는 0.443으로 OECD 28개국 중 24위였다.OECD 평균은 0.542였다. 한국은 OECD 평균의 81.7% 수준이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혁신성장 지수는 0.398로 20위였다.이중 기술혁신력은 0.465로 0ECD 국가 중 12위를 기록했다. 연구·개발(R&D) 투자 규모와 국제특허 출원 건수, 창업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인적혁신력은 0.427로 19위였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교육지출과 취업자 1천명당 연구 인력은 높은 수준이었지만, 교육시스템의 질은 떨어졌다.

생산성혁신력은 0.302로 OECD 국가 중 최하위였다.총요소생산성과 첨단기술 이용 가능성은 중하위권 수준이었고, 제조업 대비 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 생산성 비중 역시 최하위로 분석됐다.

안정성장 지수는 0.438로 23위였다.이중 내수창출력이 0.426으로 19위였다. 가처분소득 중위 50% 이하 인구비중과 1인당 실질국민소득이 다른 나라들보다 나빴다.

외수 확장력은 0.445로 23위를 기록했다. GDP 대비 수출 비중과 지역 간 무역협정 참여 건수에서 부진했다.

사회통합 수준은 부패지수와 사회적 갈등수준, 정치적 안정성이 하위권을 기록하며 0.595로 25위였다.

또 분배시스템은 0.218로 27위를 기록했다. 조세 국민부담률(조세 사회보장기여금/경상 GDP)과 1인당 조세부담액, GDP 대비 공공사회지출 비중이 부진했다.

현대경제연구원 박용정 연구원은 "지속성장 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경제 전반의 생산성 제고 노력이 절실하다"며 "인적자본 고도화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융합을 통한 서비스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OECD 회원국 중 국가지속성장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는 0.685를 기록한 덴마크였다.핀란드(0.654)가 2위였고, 스웨덴과 룩셈부르크, 노르웨이는 0.648로 공동 3위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대경제연구원 “韓 지속성장지수 OCED 최하위권”
    • 입력 2017-04-16 11:27:44
    • 수정2017-04-16 11:32:40
    경제
현대경제연구원이 자체적으로 발표하는 한국의 국가지속성장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 회원국 중 최하위권인 24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국가지속성장지수 추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지속성장지수는 0.443으로 OECD 28개국 중 24위였다.OECD 평균은 0.542였다. 한국은 OECD 평균의 81.7% 수준이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혁신성장 지수는 0.398로 20위였다.이중 기술혁신력은 0.465로 0ECD 국가 중 12위를 기록했다. 연구·개발(R&D) 투자 규모와 국제특허 출원 건수, 창업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인적혁신력은 0.427로 19위였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교육지출과 취업자 1천명당 연구 인력은 높은 수준이었지만, 교육시스템의 질은 떨어졌다.

생산성혁신력은 0.302로 OECD 국가 중 최하위였다.총요소생산성과 첨단기술 이용 가능성은 중하위권 수준이었고, 제조업 대비 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 생산성 비중 역시 최하위로 분석됐다.

안정성장 지수는 0.438로 23위였다.이중 내수창출력이 0.426으로 19위였다. 가처분소득 중위 50% 이하 인구비중과 1인당 실질국민소득이 다른 나라들보다 나빴다.

외수 확장력은 0.445로 23위를 기록했다. GDP 대비 수출 비중과 지역 간 무역협정 참여 건수에서 부진했다.

사회통합 수준은 부패지수와 사회적 갈등수준, 정치적 안정성이 하위권을 기록하며 0.595로 25위였다.

또 분배시스템은 0.218로 27위를 기록했다. 조세 국민부담률(조세 사회보장기여금/경상 GDP)과 1인당 조세부담액, GDP 대비 공공사회지출 비중이 부진했다.

현대경제연구원 박용정 연구원은 "지속성장 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경제 전반의 생산성 제고 노력이 절실하다"며 "인적자본 고도화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융합을 통한 서비스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OECD 회원국 중 국가지속성장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는 0.685를 기록한 덴마크였다.핀란드(0.654)가 2위였고, 스웨덴과 룩셈부르크, 노르웨이는 0.648로 공동 3위였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