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사전검토제 도입으로 인허가 앞당긴다

입력 2017.04.16 (13:36) 수정 2017.04.16 (15: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의료기기 출시 과정에 사전검토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제1차 보건산업 제도개선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의료기기 산업과 연관된 8가지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의료기기는 식약처 인허가를 받은 후 최종 출시가 되려면 신의료기술평가 및 건강보험 등재 절차를 밟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존 장비 가격 수준 등 사전 정보가 부족한 업체들의 사정을 고려해 신의료기술평가·보험등재 방향을 컨설팅해주는 사전검토제를 도입하겠다는 게 복지부의 방침이다.

복지부는 최대 280일에 달하는 신의료기술평가 기간을 140일 이내로 단축한 품목을 확대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검색기능을 개선해 업체 관계자들이 손쉽게 관련 항목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로봇·인공지능·3D 프린팅 등 혁신적 의료기술에 대한 보상체계도 마련된다. 미래 유망기술의 경우 신의료기술평가를 받을 때 별도 평가체계를 마련하고, 이 과정에서 임상적·비용적 효과가 검증될 경우 별도의 보상금이 제공된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료기기 사전검토제 도입으로 인허가 앞당긴다
    • 입력 2017-04-16 13:36:08
    • 수정2017-04-16 15:44:54
    사회
정부가 의료기기 출시 과정에 사전검토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제1차 보건산업 제도개선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의료기기 산업과 연관된 8가지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의료기기는 식약처 인허가를 받은 후 최종 출시가 되려면 신의료기술평가 및 건강보험 등재 절차를 밟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존 장비 가격 수준 등 사전 정보가 부족한 업체들의 사정을 고려해 신의료기술평가·보험등재 방향을 컨설팅해주는 사전검토제를 도입하겠다는 게 복지부의 방침이다.

복지부는 최대 280일에 달하는 신의료기술평가 기간을 140일 이내로 단축한 품목을 확대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검색기능을 개선해 업체 관계자들이 손쉽게 관련 항목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로봇·인공지능·3D 프린팅 등 혁신적 의료기술에 대한 보상체계도 마련된다. 미래 유망기술의 경우 신의료기술평가를 받을 때 별도 평가체계를 마련하고, 이 과정에서 임상적·비용적 효과가 검증될 경우 별도의 보상금이 제공된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