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금지법 이후 한우 경매가격 95만 원 하락
입력 2017.04.16 (15:05)
수정 2017.04.16 (15: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탁금지법 시행 후 200일이 지나면서 한우 가격이 내려 농가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으로 한우 1마리당 가격이 법 시행 전보다 평균 95만원 하락했다.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지난해 9월 28일 한우의 전국 평균 경매가격은 1㎏당 1만8천743원이었으나 지난 14일에는 1만6천101원으로 14.1% 떨어졌다.이를 통해 소 경매 후 농가가 수령하는 금액을 추정하면 지난해 9월 28일에는 1마리당 671만 원이었지만 지난 14일에는 576만 원으로 95만원 하락했다.
월별 평균가격도 2월을 제외하면 계속 내리는 추세다.농협경제지주는 "법 시행 이후 월별 평균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한 적이 없어 매년 물가인상 등으로 운영비가 상승하는 한우 농가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우 소비가 줄어들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수입 쇠고기 소비가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는 한우 자급률이 40% 이하로 떨어져 37.7%를 기록했다.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으로 한우 1마리당 가격이 법 시행 전보다 평균 95만원 하락했다.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지난해 9월 28일 한우의 전국 평균 경매가격은 1㎏당 1만8천743원이었으나 지난 14일에는 1만6천101원으로 14.1% 떨어졌다.이를 통해 소 경매 후 농가가 수령하는 금액을 추정하면 지난해 9월 28일에는 1마리당 671만 원이었지만 지난 14일에는 576만 원으로 95만원 하락했다.
월별 평균가격도 2월을 제외하면 계속 내리는 추세다.농협경제지주는 "법 시행 이후 월별 평균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한 적이 없어 매년 물가인상 등으로 운영비가 상승하는 한우 농가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우 소비가 줄어들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수입 쇠고기 소비가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는 한우 자급률이 40% 이하로 떨어져 37.7%를 기록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탁금지법 이후 한우 경매가격 95만 원 하락
-
- 입력 2017-04-16 15:05:14
- 수정2017-04-16 15:12:46

청탁금지법 시행 후 200일이 지나면서 한우 가격이 내려 농가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으로 한우 1마리당 가격이 법 시행 전보다 평균 95만원 하락했다.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지난해 9월 28일 한우의 전국 평균 경매가격은 1㎏당 1만8천743원이었으나 지난 14일에는 1만6천101원으로 14.1% 떨어졌다.이를 통해 소 경매 후 농가가 수령하는 금액을 추정하면 지난해 9월 28일에는 1마리당 671만 원이었지만 지난 14일에는 576만 원으로 95만원 하락했다.
월별 평균가격도 2월을 제외하면 계속 내리는 추세다.농협경제지주는 "법 시행 이후 월별 평균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한 적이 없어 매년 물가인상 등으로 운영비가 상승하는 한우 농가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우 소비가 줄어들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수입 쇠고기 소비가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는 한우 자급률이 40% 이하로 떨어져 37.7%를 기록했다.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으로 한우 1마리당 가격이 법 시행 전보다 평균 95만원 하락했다.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지난해 9월 28일 한우의 전국 평균 경매가격은 1㎏당 1만8천743원이었으나 지난 14일에는 1만6천101원으로 14.1% 떨어졌다.이를 통해 소 경매 후 농가가 수령하는 금액을 추정하면 지난해 9월 28일에는 1마리당 671만 원이었지만 지난 14일에는 576만 원으로 95만원 하락했다.
월별 평균가격도 2월을 제외하면 계속 내리는 추세다.농협경제지주는 "법 시행 이후 월별 평균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한 적이 없어 매년 물가인상 등으로 운영비가 상승하는 한우 농가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우 소비가 줄어들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수입 쇠고기 소비가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는 한우 자급률이 40% 이하로 떨어져 37.7%를 기록했다.
-
-
송현정 기자 hjsong@kbs.co.kr
송현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