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대우조선 채무조정안 최종안 제시

입력 2017.04.16 (16:25) 수정 2017.04.16 (16: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의 채무조정안을 놓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등과 최대 회사채 보유 기관인 국민연금 사이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산업은행이 회사채를 안정적으로 상환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확약서를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들에게 전달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오늘(16일) 연이어 기자간담회를 갖고 모든 회사채 투자자들이 우려하는 상환 가능성과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 이런 내용을 담은 이행 확약서를 어제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들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확약서에는 ▲만기연장 회사채의 상환 기일이 도래하기 한 달 전에 원리금 전액을 국민연금이 지정한 제3자 명의의 별도 계좌에 예치하고 ▲실사 결과 회사채와 기업어음의 청산가치(1천억 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우조선 명의의 별도 계좌에 입금해 담보로 제공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대우조선이 잘못돼 망하더라도 회사채 투자자들은 청산가치만큼은 돌려받을 수 있게 보장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산은과 수출입은행이 잔여채권의 최종 상환기일인 2023년까지 신규자금의 지원 기한을 유지하고, 신규로 지원하는 2조9천억 원 중 미사용 금액을 회사채 우선 상환에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내년(2018년)부터 매년 대우조선의 정상화 가능성 등을 실사해 상환 능력이 확인되면 상환 유예기관을 단축하는 등 잔여채권의 조기 상환을 추진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쌍방이 이해하는 단계에 갔다고 생각한다. 남아 있는 문제는 큰 문제가 아닌 한두 가지"라며 "좋은 결론이 이른 시일 안에 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회장은 그러나 국민연금이 요구하는 "지급보증은 관련 법상 허용되지 않는 자금공급 형태로서 원천적으로 실행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또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공평한 손실분담이라는 구조조정 원칙에도 상충된다"며 거절 의사를 재차 분명히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도 "자율적 구조조정이 바람직하다는 판단 하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그리고 국민연금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며 "양쪽의 노력이 성사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이와 별도로 국민연금이 채무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단기 법정관리인 'P플랜' 돌입을 위한 준비도 사실상 마무리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오늘 관계부처 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경쟁력강화 분과회의와, 기업구조조정분과회의를 연달아 열어 P플랜 준비작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임 위원장은 "사채권자 집회가 사채권자 집회가 부결된다면 시장 불안을 신속히 해소하기 위해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P플랜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정용석 산업은행 부행장도 "P플랜에 들어가더라도 회사의 정상적 건조활동에 영향이 없게끔 모든 준비를 98% 정도 마쳤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은 산업은행의 제안을 검토한 뒤 오늘 중으로 투자위원회를 열어 채무조정안에 대한 입장을 최종 정리할 계획이다. 강면욱 기금운용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투자위원회에는 운용전략실장, 주식운용실장, 채권운용실장, 대체투자실장, 해외증권실장, 해외대체실장, 리스크관리센터장, 운용지원실장과 본부장이 지명하는 팀장 2∼3명이 참석한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손실을 조금이라도 최소화할 방법을 찾기 위해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노력했다"며 "가입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투자위가 대우조선 채무조정안에 대한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대우조선 회사채 전체 발행잔액 1조3천500억원의 30%에 육박하는 3천887억원어치를, 특히 오는 21일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 4천400억원 가운데는 1900억 원(45.45%)를 보유하고 있다.

국민연금이 찬성 결정을 내린다면 내일과 모레 열리는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조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국민연금이 반대 또는 기권 결정을 하게 되면 대우조선은 일종의 'P플랜'으로 직행할 공산이 크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업은행 대우조선 채무조정안 최종안 제시
    • 입력 2017-04-16 16:25:24
    • 수정2017-04-16 16:38:18
    경제
대우조선해양의 채무조정안을 놓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등과 최대 회사채 보유 기관인 국민연금 사이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산업은행이 회사채를 안정적으로 상환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확약서를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들에게 전달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오늘(16일) 연이어 기자간담회를 갖고 모든 회사채 투자자들이 우려하는 상환 가능성과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 이런 내용을 담은 이행 확약서를 어제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들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확약서에는 ▲만기연장 회사채의 상환 기일이 도래하기 한 달 전에 원리금 전액을 국민연금이 지정한 제3자 명의의 별도 계좌에 예치하고 ▲실사 결과 회사채와 기업어음의 청산가치(1천억 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우조선 명의의 별도 계좌에 입금해 담보로 제공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대우조선이 잘못돼 망하더라도 회사채 투자자들은 청산가치만큼은 돌려받을 수 있게 보장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산은과 수출입은행이 잔여채권의 최종 상환기일인 2023년까지 신규자금의 지원 기한을 유지하고, 신규로 지원하는 2조9천억 원 중 미사용 금액을 회사채 우선 상환에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내년(2018년)부터 매년 대우조선의 정상화 가능성 등을 실사해 상환 능력이 확인되면 상환 유예기관을 단축하는 등 잔여채권의 조기 상환을 추진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쌍방이 이해하는 단계에 갔다고 생각한다. 남아 있는 문제는 큰 문제가 아닌 한두 가지"라며 "좋은 결론이 이른 시일 안에 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회장은 그러나 국민연금이 요구하는 "지급보증은 관련 법상 허용되지 않는 자금공급 형태로서 원천적으로 실행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또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공평한 손실분담이라는 구조조정 원칙에도 상충된다"며 거절 의사를 재차 분명히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도 "자율적 구조조정이 바람직하다는 판단 하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그리고 국민연금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며 "양쪽의 노력이 성사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이와 별도로 국민연금이 채무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단기 법정관리인 'P플랜' 돌입을 위한 준비도 사실상 마무리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오늘 관계부처 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경쟁력강화 분과회의와, 기업구조조정분과회의를 연달아 열어 P플랜 준비작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임 위원장은 "사채권자 집회가 사채권자 집회가 부결된다면 시장 불안을 신속히 해소하기 위해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P플랜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정용석 산업은행 부행장도 "P플랜에 들어가더라도 회사의 정상적 건조활동에 영향이 없게끔 모든 준비를 98% 정도 마쳤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은 산업은행의 제안을 검토한 뒤 오늘 중으로 투자위원회를 열어 채무조정안에 대한 입장을 최종 정리할 계획이다. 강면욱 기금운용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투자위원회에는 운용전략실장, 주식운용실장, 채권운용실장, 대체투자실장, 해외증권실장, 해외대체실장, 리스크관리센터장, 운용지원실장과 본부장이 지명하는 팀장 2∼3명이 참석한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손실을 조금이라도 최소화할 방법을 찾기 위해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노력했다"며 "가입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투자위가 대우조선 채무조정안에 대한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대우조선 회사채 전체 발행잔액 1조3천500억원의 30%에 육박하는 3천887억원어치를, 특히 오는 21일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 4천400억원 가운데는 1900억 원(45.45%)를 보유하고 있다.

국민연금이 찬성 결정을 내린다면 내일과 모레 열리는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조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국민연금이 반대 또는 기권 결정을 하게 되면 대우조선은 일종의 'P플랜'으로 직행할 공산이 크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