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우리 주력산업 품질·기술력, 5년 후 따라잡는다

입력 2017.05.08 (08:42) 수정 2017.05.08 (08: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전 등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품질·기술 경쟁력이 5년 후면 중국에 거의 따라잡힌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8일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우리 주력산업의 대응전략' 보고서에서 업종별 전문가 평가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주력산업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가전, 통신기기, 자동차 등 주요 업종의 품질과 기술 면에서 중국에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5년 뒤면 그 격차가 대폭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가전은 우리나라를 100점으로 뒀을 때 현재 중국의 품질 경쟁력은 90점이지만, 5년 후에는 우리와 같은 100으로 올라설 것으로 예측됐다. 기술 경쟁력은 90점에서 97.5점으로 상승했다.

통신기기는 중국의 품질 경쟁력이 90에서 95점, 기술 경쟁력은 92점에서 95점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됐고, 자동차는 현재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각각 80점과 85로 우리나라보다 15∼20점 낮지만, 5년 후에는 90과 95로 오르며 격차가 10점씩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신산업 대응 경쟁력에서는 5년 후면 철강(95→98점), 석유화학(95→100점), 가전(90→97.5점) 등 다수 업종에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에 차이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측됐다.

한편, 가격경쟁력은 이미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우리나라가 중국에 뒤처져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중국이 빠르게 우리나라를 추격할 수 있는 이유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중국의 '제13차 5개년 계획'과 '중국 제조 2025 전략' 등에 따라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산업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신산업과 신제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각종 규제 완화와 제도 정비 등 우리 정부의 조치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우리 주력산업 품질·기술력, 5년 후 따라잡는다
    • 입력 2017-05-08 08:42:34
    • 수정2017-05-08 08:46:19
    경제
가전 등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품질·기술 경쟁력이 5년 후면 중국에 거의 따라잡힌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8일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우리 주력산업의 대응전략' 보고서에서 업종별 전문가 평가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주력산업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가전, 통신기기, 자동차 등 주요 업종의 품질과 기술 면에서 중국에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5년 뒤면 그 격차가 대폭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가전은 우리나라를 100점으로 뒀을 때 현재 중국의 품질 경쟁력은 90점이지만, 5년 후에는 우리와 같은 100으로 올라설 것으로 예측됐다. 기술 경쟁력은 90점에서 97.5점으로 상승했다.

통신기기는 중국의 품질 경쟁력이 90에서 95점, 기술 경쟁력은 92점에서 95점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됐고, 자동차는 현재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각각 80점과 85로 우리나라보다 15∼20점 낮지만, 5년 후에는 90과 95로 오르며 격차가 10점씩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신산업 대응 경쟁력에서는 5년 후면 철강(95→98점), 석유화학(95→100점), 가전(90→97.5점) 등 다수 업종에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에 차이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측됐다.

한편, 가격경쟁력은 이미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우리나라가 중국에 뒤처져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중국이 빠르게 우리나라를 추격할 수 있는 이유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중국의 '제13차 5개년 계획'과 '중국 제조 2025 전략' 등에 따라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산업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신산업과 신제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각종 규제 완화와 제도 정비 등 우리 정부의 조치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