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터키 연결 흑해 해저 관통 가스관 건설 착수
입력 2017.05.08 (21:12)
수정 2017.05.08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흑해 해저를 통해 러시아와 터키를 연결하는 '터키 스트림' 가스관 1차 노선 건설에 착수했다.
가스관 건설을 책임지는 러시아 국영가스회사 가스프롬은 7일 흑해 연안에서 터키 스트림 해저 가스관 건설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알렉산드르 밀레르 가스프롬 사장은 이날 "오늘 터키 스트림 사업 첫 번째 이행 단계에 착수했다. 2019년까지 터키와 유럽 가스 소비국들이 러시아산 가스 수입을 위한 믿을 수 있는 가스관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유럽으로의 가스 수출에서 최악의 갈등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 경유 가스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터키 스트림 가스관 건설을 추진해왔다.
자국 남부에서 흑해 해저를 통해 터키 서부 지역으로 약 1,100km 길이의 가스관을 부설하고 터키와 그리스 국경 지역에 유럽 국가 공급용 가스 허브를 건설한 뒤, 이후부턴 수입자인 유럽연합(EU) 국가들이 직접 자국으로 이어지는 가스관을 건설하도록 하는 사업 구상이다.
지난 2014년부터 러시아와 터키 간에 논의됐던 터키 스트림 사업은 지난 2015년 11월 터키 전투기의 러시아 전폭기 격추 사건으로 양국 관계가 최악의 수준으로 악화하면서 중단됐었다.
하지만 지난해 8월 러시아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양국 정상회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관계 회복에 합의하면서 되살아났고 같은 해 10월 중순 이와 관련한 정부 간 협정이 서명됐다.
협정에 따라 러시아 가스프롬은 오는 2019년까지 흑해 해저를 따라 각각 연 157억 큐빅미터(㎥) 용량의 파이프라인 2개를 건설할 계획이다. 첫 번째 노선은 터키 내수용이고 두 번째 노선은 유럽 시장 수출용이다.
1차 노선 건설 작업은 지난 3일 흑해 연안 휴양도시에서 푸틴과 에르도안 대통령이 터키 스트림 가스관 사업을 논의한 지 나흘 만에 시작됐다.
가스관 건설을 책임지는 러시아 국영가스회사 가스프롬은 7일 흑해 연안에서 터키 스트림 해저 가스관 건설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알렉산드르 밀레르 가스프롬 사장은 이날 "오늘 터키 스트림 사업 첫 번째 이행 단계에 착수했다. 2019년까지 터키와 유럽 가스 소비국들이 러시아산 가스 수입을 위한 믿을 수 있는 가스관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유럽으로의 가스 수출에서 최악의 갈등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 경유 가스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터키 스트림 가스관 건설을 추진해왔다.
자국 남부에서 흑해 해저를 통해 터키 서부 지역으로 약 1,100km 길이의 가스관을 부설하고 터키와 그리스 국경 지역에 유럽 국가 공급용 가스 허브를 건설한 뒤, 이후부턴 수입자인 유럽연합(EU) 국가들이 직접 자국으로 이어지는 가스관을 건설하도록 하는 사업 구상이다.
지난 2014년부터 러시아와 터키 간에 논의됐던 터키 스트림 사업은 지난 2015년 11월 터키 전투기의 러시아 전폭기 격추 사건으로 양국 관계가 최악의 수준으로 악화하면서 중단됐었다.
하지만 지난해 8월 러시아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양국 정상회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관계 회복에 합의하면서 되살아났고 같은 해 10월 중순 이와 관련한 정부 간 협정이 서명됐다.
협정에 따라 러시아 가스프롬은 오는 2019년까지 흑해 해저를 따라 각각 연 157억 큐빅미터(㎥) 용량의 파이프라인 2개를 건설할 계획이다. 첫 번째 노선은 터키 내수용이고 두 번째 노선은 유럽 시장 수출용이다.
1차 노선 건설 작업은 지난 3일 흑해 연안 휴양도시에서 푸틴과 에르도안 대통령이 터키 스트림 가스관 사업을 논의한 지 나흘 만에 시작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시아-터키 연결 흑해 해저 관통 가스관 건설 착수
-
- 입력 2017-05-08 21:12:38
- 수정2017-05-08 21:58:01

러시아가 흑해 해저를 통해 러시아와 터키를 연결하는 '터키 스트림' 가스관 1차 노선 건설에 착수했다.
가스관 건설을 책임지는 러시아 국영가스회사 가스프롬은 7일 흑해 연안에서 터키 스트림 해저 가스관 건설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알렉산드르 밀레르 가스프롬 사장은 이날 "오늘 터키 스트림 사업 첫 번째 이행 단계에 착수했다. 2019년까지 터키와 유럽 가스 소비국들이 러시아산 가스 수입을 위한 믿을 수 있는 가스관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유럽으로의 가스 수출에서 최악의 갈등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 경유 가스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터키 스트림 가스관 건설을 추진해왔다.
자국 남부에서 흑해 해저를 통해 터키 서부 지역으로 약 1,100km 길이의 가스관을 부설하고 터키와 그리스 국경 지역에 유럽 국가 공급용 가스 허브를 건설한 뒤, 이후부턴 수입자인 유럽연합(EU) 국가들이 직접 자국으로 이어지는 가스관을 건설하도록 하는 사업 구상이다.
지난 2014년부터 러시아와 터키 간에 논의됐던 터키 스트림 사업은 지난 2015년 11월 터키 전투기의 러시아 전폭기 격추 사건으로 양국 관계가 최악의 수준으로 악화하면서 중단됐었다.
하지만 지난해 8월 러시아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양국 정상회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관계 회복에 합의하면서 되살아났고 같은 해 10월 중순 이와 관련한 정부 간 협정이 서명됐다.
협정에 따라 러시아 가스프롬은 오는 2019년까지 흑해 해저를 따라 각각 연 157억 큐빅미터(㎥) 용량의 파이프라인 2개를 건설할 계획이다. 첫 번째 노선은 터키 내수용이고 두 번째 노선은 유럽 시장 수출용이다.
1차 노선 건설 작업은 지난 3일 흑해 연안 휴양도시에서 푸틴과 에르도안 대통령이 터키 스트림 가스관 사업을 논의한 지 나흘 만에 시작됐다.
가스관 건설을 책임지는 러시아 국영가스회사 가스프롬은 7일 흑해 연안에서 터키 스트림 해저 가스관 건설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알렉산드르 밀레르 가스프롬 사장은 이날 "오늘 터키 스트림 사업 첫 번째 이행 단계에 착수했다. 2019년까지 터키와 유럽 가스 소비국들이 러시아산 가스 수입을 위한 믿을 수 있는 가스관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유럽으로의 가스 수출에서 최악의 갈등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 경유 가스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터키 스트림 가스관 건설을 추진해왔다.
자국 남부에서 흑해 해저를 통해 터키 서부 지역으로 약 1,100km 길이의 가스관을 부설하고 터키와 그리스 국경 지역에 유럽 국가 공급용 가스 허브를 건설한 뒤, 이후부턴 수입자인 유럽연합(EU) 국가들이 직접 자국으로 이어지는 가스관을 건설하도록 하는 사업 구상이다.
지난 2014년부터 러시아와 터키 간에 논의됐던 터키 스트림 사업은 지난 2015년 11월 터키 전투기의 러시아 전폭기 격추 사건으로 양국 관계가 최악의 수준으로 악화하면서 중단됐었다.
하지만 지난해 8월 러시아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양국 정상회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관계 회복에 합의하면서 되살아났고 같은 해 10월 중순 이와 관련한 정부 간 협정이 서명됐다.
협정에 따라 러시아 가스프롬은 오는 2019년까지 흑해 해저를 따라 각각 연 157억 큐빅미터(㎥) 용량의 파이프라인 2개를 건설할 계획이다. 첫 번째 노선은 터키 내수용이고 두 번째 노선은 유럽 시장 수출용이다.
1차 노선 건설 작업은 지난 3일 흑해 연안 휴양도시에서 푸틴과 에르도안 대통령이 터키 스트림 가스관 사업을 논의한 지 나흘 만에 시작됐다.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