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선체에서 미수습자 추정 유해 2점 최초 발견

입력 2017.05.10 (10:42) 수정 2017.05.10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관기사] [뉴스9] 세월호 선내서 유해 추정 뼈 2점 발견

세월호 선체에서 미수습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해 2점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세월호 현장수습본부는 오늘(10일) 오전 8시 10분쯤 전남 목포신항에서 세월호 선체를 수색하던 중 4층 선미 좌현 쪽(4-11 구역)에서 뼈 2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뼈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전문가가 현장에서 육안 감식한 결과 사람의 뼈로 추정됐다.

현장수습본부는 이 뼈를 강원도 원주에 있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본원으로 보내 정밀조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유전자(DNA) 분석 결과가 나오는 데에는 한 달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미수습자 가족들의 요청으로 뼈의 부위나 크기는 공개되지 않았다.

뼈가 발견된 곳은 여학생 객실 방향이다. 지난 8일 천장을 절단해 이날 수색을 시작했다.

이날도 수색.수습 작업과 함께 4층 선미 쪽 객실 진출입구 3곳과 3층 객실 진출입구 4곳을 추가로 절단했다.

유해 추정 뼈 2점 외에도 이날 동물뼈로 추정되는 뼛조각 50점과 휴대전화 등 유류품 110점이 추가로 수습됐다. 진도 침몰해역에서는 강풍으로 수색이 이뤄지지 못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뼛조각은 809점으로 이 가운데 사람 뼈로 추정되는 것은 지난 5일 침몰해역에서 수습된 1점을 포함해 3점이다. 총 유류품은 1,298점이다.

한편, 미수습자 허다윤 양의 어머니 박은미 씨는 이날 목포신항에서 가족들을 대표해 "세월호 선체와 사고해역에서 미수습자를 수색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세워달라"는 내용의 '문재인 대통령께 부탁드리는 글'을 발표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호 선체에서 미수습자 추정 유해 2점 최초 발견
    • 입력 2017-05-10 10:42:53
    • 수정2017-05-10 22:20:03
    사회
[연관기사] [뉴스9] 세월호 선내서 유해 추정 뼈 2점 발견 세월호 선체에서 미수습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해 2점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세월호 현장수습본부는 오늘(10일) 오전 8시 10분쯤 전남 목포신항에서 세월호 선체를 수색하던 중 4층 선미 좌현 쪽(4-11 구역)에서 뼈 2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뼈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전문가가 현장에서 육안 감식한 결과 사람의 뼈로 추정됐다. 현장수습본부는 이 뼈를 강원도 원주에 있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본원으로 보내 정밀조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유전자(DNA) 분석 결과가 나오는 데에는 한 달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미수습자 가족들의 요청으로 뼈의 부위나 크기는 공개되지 않았다. 뼈가 발견된 곳은 여학생 객실 방향이다. 지난 8일 천장을 절단해 이날 수색을 시작했다. 이날도 수색.수습 작업과 함께 4층 선미 쪽 객실 진출입구 3곳과 3층 객실 진출입구 4곳을 추가로 절단했다. 유해 추정 뼈 2점 외에도 이날 동물뼈로 추정되는 뼛조각 50점과 휴대전화 등 유류품 110점이 추가로 수습됐다. 진도 침몰해역에서는 강풍으로 수색이 이뤄지지 못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뼛조각은 809점으로 이 가운데 사람 뼈로 추정되는 것은 지난 5일 침몰해역에서 수습된 1점을 포함해 3점이다. 총 유류품은 1,298점이다. 한편, 미수습자 허다윤 양의 어머니 박은미 씨는 이날 목포신항에서 가족들을 대표해 "세월호 선체와 사고해역에서 미수습자를 수색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세워달라"는 내용의 '문재인 대통령께 부탁드리는 글'을 발표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