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속 검출 학교 운동장 41%, 다시 화학물질 소재로 정비
입력 2017.06.07 (18:36)
수정 2017.06.07 (19: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금속이 검출된 우레탄 트랙과 운동장이 설치된 전국 초·중·고교의 약 40%가 또다시 화학물질 소재로 된 운동장 설치를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는 17개 시·도교육청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해성 기준을 초과한 1천722개 학교 중 714곳(41.4%)이 다시 화학물질 운동장 설치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7일 밝혔다.
마사토를 비롯한 흙 운동장으로 바꾸는 학교는 842곳(48.8%)이었고, 나머지 166곳(9.6%)은 의견 수렴 중이거나 시·도교육청의 후속 조치에서 제외된 것으로 파악됐다.
화학물질 운동장 설치를 추진하는 학교는 기존 설비를 걷어낸 뒤 다시 우레탄 트랙이나 카펫 트랙, 인조잔디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물질 운동장 재설치 비율은 세종시가 100%로 가장 높았고, 울산 82%, 대구 72%, 전남·제주 55% 순으로 나타났다.
흙 운동장 전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남(98%)이었고, 광주(96%), 인천(87%), 강원(63%)이 뒤를 이었다.
평등교육 학부모회는 "새로 설치하는 우레탄 운동장이 KS(한국산업규격)나 친환경, 녹색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고 하지만 화학제품인 점은 마찬가지"라며 "지난해 조사에서도 우레탄 트랙 KS가 제정된 2011년 4월 이후 설치된 학교의 44%가 유해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또 트랙이나 인조잔디는 수명이 반영구적인 흙 운동장보다 내구연한(7∼8년)이 훨씬 짧고 설치 비용도 2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학부모회는 "학교 운동장은 학생들의 놀이터로 학생들의 건강과 교육이 먼저 고려돼야 한다"며,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화학물질로 재설치된 49%의 운동장에 대해서도 이른 시일 내에 흙 운동장으로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3∼6월 우레탄 트랙 및 운동장이 설치된 전국 2천763개 초·중·고교를 전수 조사한 결과, 64%인 1천767곳에서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후 각 시·도교육청은 예산 확보 어려움을 들어 동시 전면 교체가 아니라 순차적 교체를 추진 중이다.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는 17개 시·도교육청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해성 기준을 초과한 1천722개 학교 중 714곳(41.4%)이 다시 화학물질 운동장 설치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7일 밝혔다.
마사토를 비롯한 흙 운동장으로 바꾸는 학교는 842곳(48.8%)이었고, 나머지 166곳(9.6%)은 의견 수렴 중이거나 시·도교육청의 후속 조치에서 제외된 것으로 파악됐다.
화학물질 운동장 설치를 추진하는 학교는 기존 설비를 걷어낸 뒤 다시 우레탄 트랙이나 카펫 트랙, 인조잔디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물질 운동장 재설치 비율은 세종시가 100%로 가장 높았고, 울산 82%, 대구 72%, 전남·제주 55% 순으로 나타났다.
흙 운동장 전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남(98%)이었고, 광주(96%), 인천(87%), 강원(63%)이 뒤를 이었다.
평등교육 학부모회는 "새로 설치하는 우레탄 운동장이 KS(한국산업규격)나 친환경, 녹색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고 하지만 화학제품인 점은 마찬가지"라며 "지난해 조사에서도 우레탄 트랙 KS가 제정된 2011년 4월 이후 설치된 학교의 44%가 유해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또 트랙이나 인조잔디는 수명이 반영구적인 흙 운동장보다 내구연한(7∼8년)이 훨씬 짧고 설치 비용도 2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학부모회는 "학교 운동장은 학생들의 놀이터로 학생들의 건강과 교육이 먼저 고려돼야 한다"며,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화학물질로 재설치된 49%의 운동장에 대해서도 이른 시일 내에 흙 운동장으로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3∼6월 우레탄 트랙 및 운동장이 설치된 전국 2천763개 초·중·고교를 전수 조사한 결과, 64%인 1천767곳에서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후 각 시·도교육청은 예산 확보 어려움을 들어 동시 전면 교체가 아니라 순차적 교체를 추진 중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금속 검출 학교 운동장 41%, 다시 화학물질 소재로 정비
-
- 입력 2017-06-07 18:36:17
- 수정2017-06-07 19:24:48

중금속이 검출된 우레탄 트랙과 운동장이 설치된 전국 초·중·고교의 약 40%가 또다시 화학물질 소재로 된 운동장 설치를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는 17개 시·도교육청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해성 기준을 초과한 1천722개 학교 중 714곳(41.4%)이 다시 화학물질 운동장 설치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7일 밝혔다.
마사토를 비롯한 흙 운동장으로 바꾸는 학교는 842곳(48.8%)이었고, 나머지 166곳(9.6%)은 의견 수렴 중이거나 시·도교육청의 후속 조치에서 제외된 것으로 파악됐다.
화학물질 운동장 설치를 추진하는 학교는 기존 설비를 걷어낸 뒤 다시 우레탄 트랙이나 카펫 트랙, 인조잔디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물질 운동장 재설치 비율은 세종시가 100%로 가장 높았고, 울산 82%, 대구 72%, 전남·제주 55% 순으로 나타났다.
흙 운동장 전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남(98%)이었고, 광주(96%), 인천(87%), 강원(63%)이 뒤를 이었다.
평등교육 학부모회는 "새로 설치하는 우레탄 운동장이 KS(한국산업규격)나 친환경, 녹색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고 하지만 화학제품인 점은 마찬가지"라며 "지난해 조사에서도 우레탄 트랙 KS가 제정된 2011년 4월 이후 설치된 학교의 44%가 유해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또 트랙이나 인조잔디는 수명이 반영구적인 흙 운동장보다 내구연한(7∼8년)이 훨씬 짧고 설치 비용도 2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학부모회는 "학교 운동장은 학생들의 놀이터로 학생들의 건강과 교육이 먼저 고려돼야 한다"며,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화학물질로 재설치된 49%의 운동장에 대해서도 이른 시일 내에 흙 운동장으로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3∼6월 우레탄 트랙 및 운동장이 설치된 전국 2천763개 초·중·고교를 전수 조사한 결과, 64%인 1천767곳에서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후 각 시·도교육청은 예산 확보 어려움을 들어 동시 전면 교체가 아니라 순차적 교체를 추진 중이다.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는 17개 시·도교육청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해성 기준을 초과한 1천722개 학교 중 714곳(41.4%)이 다시 화학물질 운동장 설치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7일 밝혔다.
마사토를 비롯한 흙 운동장으로 바꾸는 학교는 842곳(48.8%)이었고, 나머지 166곳(9.6%)은 의견 수렴 중이거나 시·도교육청의 후속 조치에서 제외된 것으로 파악됐다.
화학물질 운동장 설치를 추진하는 학교는 기존 설비를 걷어낸 뒤 다시 우레탄 트랙이나 카펫 트랙, 인조잔디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물질 운동장 재설치 비율은 세종시가 100%로 가장 높았고, 울산 82%, 대구 72%, 전남·제주 55% 순으로 나타났다.
흙 운동장 전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남(98%)이었고, 광주(96%), 인천(87%), 강원(63%)이 뒤를 이었다.
평등교육 학부모회는 "새로 설치하는 우레탄 운동장이 KS(한국산업규격)나 친환경, 녹색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고 하지만 화학제품인 점은 마찬가지"라며 "지난해 조사에서도 우레탄 트랙 KS가 제정된 2011년 4월 이후 설치된 학교의 44%가 유해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또 트랙이나 인조잔디는 수명이 반영구적인 흙 운동장보다 내구연한(7∼8년)이 훨씬 짧고 설치 비용도 2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학부모회는 "학교 운동장은 학생들의 놀이터로 학생들의 건강과 교육이 먼저 고려돼야 한다"며,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화학물질로 재설치된 49%의 운동장에 대해서도 이른 시일 내에 흙 운동장으로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3∼6월 우레탄 트랙 및 운동장이 설치된 전국 2천763개 초·중·고교를 전수 조사한 결과, 64%인 1천767곳에서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후 각 시·도교육청은 예산 확보 어려움을 들어 동시 전면 교체가 아니라 순차적 교체를 추진 중이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