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포 소년 근황공개…‘시리아 정부에 이용’ 논란
입력 2017.06.07 (21:45)
수정 2017.07.06 (14: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해 전 세계를 울렸던 알레포 꼬마, 옴란 기억하십니까?
온몸에 먼지를 뒤집어쓴 채 초점 잃은 표정으로 구조됐던 옴란의 최근 모습이 공개됐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마 울지도 못하던 아이, 핏자국과 먼지를 뒤집어쓴 채 멍 하니 앉아만 있던 옴란의 모습은 시리아 내전의 참상을 전 세계에 알리기에 충분했습니다.
그로부터 열 달 후, 옴란의 최근 모습이 공개됐습니다.
<녹취> "저는 옴란 다크니시입니다. 네 살이에요"
해맑은 얼굴로 친구와 장난을 치고, 아버지 품에 안겨 미소짓는 등 끔찍했던 그 날의 기억에서 많이 벗어난 모습이었습니다.
<녹취> 모하메드 다크니시(옴란 아버지) : "집에서 옴란과 앉아 휴대전화를 보며 놀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갑자기 폭격이 시작됐어요."
옴란과 가족들은 여전히 알레포에 살고 있습니다.
옴란의 아버지는 아들의 얼굴이 알려진 후 납치 위협이 잇따라 아들의 이름과 머리스타일을 바꿨다고 털어놨습니다.
옴란의 근황은 일부 매체와 시리아 친정부 언론인의 SNS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때문에 가족들이 시리아 정부의 선전에 이용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 전문가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시리아 정부군 통제 아래 있기 때문에 가족들이 자유롭게 말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지난 2011년 시작돼 6년을 넘긴 시리아 내전, 옴란의 형 알리를 포함해 지금까지 모두 46만 5천 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지난해 전 세계를 울렸던 알레포 꼬마, 옴란 기억하십니까?
온몸에 먼지를 뒤집어쓴 채 초점 잃은 표정으로 구조됐던 옴란의 최근 모습이 공개됐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마 울지도 못하던 아이, 핏자국과 먼지를 뒤집어쓴 채 멍 하니 앉아만 있던 옴란의 모습은 시리아 내전의 참상을 전 세계에 알리기에 충분했습니다.
그로부터 열 달 후, 옴란의 최근 모습이 공개됐습니다.
<녹취> "저는 옴란 다크니시입니다. 네 살이에요"
해맑은 얼굴로 친구와 장난을 치고, 아버지 품에 안겨 미소짓는 등 끔찍했던 그 날의 기억에서 많이 벗어난 모습이었습니다.
<녹취> 모하메드 다크니시(옴란 아버지) : "집에서 옴란과 앉아 휴대전화를 보며 놀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갑자기 폭격이 시작됐어요."
옴란과 가족들은 여전히 알레포에 살고 있습니다.
옴란의 아버지는 아들의 얼굴이 알려진 후 납치 위협이 잇따라 아들의 이름과 머리스타일을 바꿨다고 털어놨습니다.
옴란의 근황은 일부 매체와 시리아 친정부 언론인의 SNS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때문에 가족들이 시리아 정부의 선전에 이용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 전문가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시리아 정부군 통제 아래 있기 때문에 가족들이 자유롭게 말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지난 2011년 시작돼 6년을 넘긴 시리아 내전, 옴란의 형 알리를 포함해 지금까지 모두 46만 5천 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알레포 소년 근황공개…‘시리아 정부에 이용’ 논란
-
- 입력 2017-06-07 21:46:00
- 수정2017-07-06 14:30:48

<앵커 멘트>
지난해 전 세계를 울렸던 알레포 꼬마, 옴란 기억하십니까?
온몸에 먼지를 뒤집어쓴 채 초점 잃은 표정으로 구조됐던 옴란의 최근 모습이 공개됐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마 울지도 못하던 아이, 핏자국과 먼지를 뒤집어쓴 채 멍 하니 앉아만 있던 옴란의 모습은 시리아 내전의 참상을 전 세계에 알리기에 충분했습니다.
그로부터 열 달 후, 옴란의 최근 모습이 공개됐습니다.
<녹취> "저는 옴란 다크니시입니다. 네 살이에요"
해맑은 얼굴로 친구와 장난을 치고, 아버지 품에 안겨 미소짓는 등 끔찍했던 그 날의 기억에서 많이 벗어난 모습이었습니다.
<녹취> 모하메드 다크니시(옴란 아버지) : "집에서 옴란과 앉아 휴대전화를 보며 놀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갑자기 폭격이 시작됐어요."
옴란과 가족들은 여전히 알레포에 살고 있습니다.
옴란의 아버지는 아들의 얼굴이 알려진 후 납치 위협이 잇따라 아들의 이름과 머리스타일을 바꿨다고 털어놨습니다.
옴란의 근황은 일부 매체와 시리아 친정부 언론인의 SNS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때문에 가족들이 시리아 정부의 선전에 이용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 전문가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시리아 정부군 통제 아래 있기 때문에 가족들이 자유롭게 말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지난 2011년 시작돼 6년을 넘긴 시리아 내전, 옴란의 형 알리를 포함해 지금까지 모두 46만 5천 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
허솔지 기자 solji26@kbs.co.kr
허솔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