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하수처리수 재이용률 13% 불과
입력 2017.06.16 (11:17)
수정 2017.06.16 (11: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내에서 1차 정화한 하수처리수를 공업용수나 농업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등으로 재활용하는 비율은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기도의회의 2016년도 회계결산 자료 등을 보면 도내에는 149개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처리용량 1일 613만5t)에서 연간 2억2천900만t의 1차 하수처리수를 재처리해 각종 용도로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양은 도내에서 연간 1차 정화한 하수처리수 16억9천400만t의 13.6%에 불과한 것이다
나머지 연간 14억6천500만t, 하루 401만t의 1차 하수처리수는 그대로 하천으로 흘려보내고 있다.
도내 하수처리수 재활용률은 전국 평균 14.7%보다 낮은 것이다.
충북도와 대구시의 재활용률은 39.6%와 30.1%에 달한다.
특히 도내에서 매일 버려지는 하수처리수는 하루 공급되는 도내 총 수돗물 398만t(생산원가 31억원)보다도 많은 것이다.
경기도 수자원본부는 물 절약 등 차원에서 하수처리수의 재활용률 제고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하수처리수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많아 아직 수요가 많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하수처리수를 재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관련 시설을 추가 설치해야 하고 재처리 과정에도 적지 않은 비용이 들어 당장 재활용률을 대폭 끌어올리는 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16일 경기도의회의 2016년도 회계결산 자료 등을 보면 도내에는 149개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처리용량 1일 613만5t)에서 연간 2억2천900만t의 1차 하수처리수를 재처리해 각종 용도로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양은 도내에서 연간 1차 정화한 하수처리수 16억9천400만t의 13.6%에 불과한 것이다
나머지 연간 14억6천500만t, 하루 401만t의 1차 하수처리수는 그대로 하천으로 흘려보내고 있다.
도내 하수처리수 재활용률은 전국 평균 14.7%보다 낮은 것이다.
충북도와 대구시의 재활용률은 39.6%와 30.1%에 달한다.
특히 도내에서 매일 버려지는 하수처리수는 하루 공급되는 도내 총 수돗물 398만t(생산원가 31억원)보다도 많은 것이다.
경기도 수자원본부는 물 절약 등 차원에서 하수처리수의 재활용률 제고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하수처리수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많아 아직 수요가 많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하수처리수를 재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관련 시설을 추가 설치해야 하고 재처리 과정에도 적지 않은 비용이 들어 당장 재활용률을 대폭 끌어올리는 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기 하수처리수 재이용률 13% 불과
-
- 입력 2017-06-16 11:17:03
- 수정2017-06-16 11:26:27

경기도 내에서 1차 정화한 하수처리수를 공업용수나 농업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등으로 재활용하는 비율은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기도의회의 2016년도 회계결산 자료 등을 보면 도내에는 149개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처리용량 1일 613만5t)에서 연간 2억2천900만t의 1차 하수처리수를 재처리해 각종 용도로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양은 도내에서 연간 1차 정화한 하수처리수 16억9천400만t의 13.6%에 불과한 것이다
나머지 연간 14억6천500만t, 하루 401만t의 1차 하수처리수는 그대로 하천으로 흘려보내고 있다.
도내 하수처리수 재활용률은 전국 평균 14.7%보다 낮은 것이다.
충북도와 대구시의 재활용률은 39.6%와 30.1%에 달한다.
특히 도내에서 매일 버려지는 하수처리수는 하루 공급되는 도내 총 수돗물 398만t(생산원가 31억원)보다도 많은 것이다.
경기도 수자원본부는 물 절약 등 차원에서 하수처리수의 재활용률 제고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하수처리수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많아 아직 수요가 많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하수처리수를 재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관련 시설을 추가 설치해야 하고 재처리 과정에도 적지 않은 비용이 들어 당장 재활용률을 대폭 끌어올리는 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16일 경기도의회의 2016년도 회계결산 자료 등을 보면 도내에는 149개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처리용량 1일 613만5t)에서 연간 2억2천900만t의 1차 하수처리수를 재처리해 각종 용도로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양은 도내에서 연간 1차 정화한 하수처리수 16억9천400만t의 13.6%에 불과한 것이다
나머지 연간 14억6천500만t, 하루 401만t의 1차 하수처리수는 그대로 하천으로 흘려보내고 있다.
도내 하수처리수 재활용률은 전국 평균 14.7%보다 낮은 것이다.
충북도와 대구시의 재활용률은 39.6%와 30.1%에 달한다.
특히 도내에서 매일 버려지는 하수처리수는 하루 공급되는 도내 총 수돗물 398만t(생산원가 31억원)보다도 많은 것이다.
경기도 수자원본부는 물 절약 등 차원에서 하수처리수의 재활용률 제고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하수처리수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많아 아직 수요가 많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하수처리수를 재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관련 시설을 추가 설치해야 하고 재처리 과정에도 적지 않은 비용이 들어 당장 재활용률을 대폭 끌어올리는 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
-
임명규 기자 thelord@kbs.co.kr
임명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