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식중독 원인 ‘노로바이러스’, 6월에도 기승
입력 2017.06.16 (16:05)
수정 2017.06.16 (16: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오늘(16일) 학교나 직장의 집단 급식소, 수학여행 등 단체활동에서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집단 발생사례가 지속해서 보고되고 있다며, 개인위생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노로바이러스는 주로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주로 발생하지만, 올해는 6월 현재까지도 예년보다 많은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21주차(5월 21∼27일)와 22주차(5월 28일∼6월 3일)에는 표본감시 기관에서 각각 57명, 32명의 환자가 신고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100% 이상 증가한 수치다. 2016년 21∼22주차에는 각각 28명, 16명의 환자가 신고됐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환자와 접촉했을 때 옮길 수 있는 감염병이다.
12∼48시간 잠복기를 지나면 설사나 구토 증상을 일으킨다.
보건당국은 흐르는 물에 비누를 이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서, 채소와 과일은 깨끗이 씻어서 먹으며 물은 끓여 마시는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조리할 때도 칼과 도마는 잘 소독하고 생선과 고기, 채소는 각각 다른 도마를 사용하며, 설사 증상이 있을 때는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로바이러스는 주로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주로 발생하지만, 올해는 6월 현재까지도 예년보다 많은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21주차(5월 21∼27일)와 22주차(5월 28일∼6월 3일)에는 표본감시 기관에서 각각 57명, 32명의 환자가 신고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100% 이상 증가한 수치다. 2016년 21∼22주차에는 각각 28명, 16명의 환자가 신고됐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환자와 접촉했을 때 옮길 수 있는 감염병이다.
12∼48시간 잠복기를 지나면 설사나 구토 증상을 일으킨다.
보건당국은 흐르는 물에 비누를 이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서, 채소와 과일은 깨끗이 씻어서 먹으며 물은 끓여 마시는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조리할 때도 칼과 도마는 잘 소독하고 생선과 고기, 채소는 각각 다른 도마를 사용하며, 설사 증상이 있을 때는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겨울철 식중독 원인 ‘노로바이러스’, 6월에도 기승
-
- 입력 2017-06-16 16:05:01
- 수정2017-06-16 16:13:33

질병관리본부는 오늘(16일) 학교나 직장의 집단 급식소, 수학여행 등 단체활동에서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집단 발생사례가 지속해서 보고되고 있다며, 개인위생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노로바이러스는 주로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주로 발생하지만, 올해는 6월 현재까지도 예년보다 많은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21주차(5월 21∼27일)와 22주차(5월 28일∼6월 3일)에는 표본감시 기관에서 각각 57명, 32명의 환자가 신고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100% 이상 증가한 수치다. 2016년 21∼22주차에는 각각 28명, 16명의 환자가 신고됐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환자와 접촉했을 때 옮길 수 있는 감염병이다.
12∼48시간 잠복기를 지나면 설사나 구토 증상을 일으킨다.
보건당국은 흐르는 물에 비누를 이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서, 채소와 과일은 깨끗이 씻어서 먹으며 물은 끓여 마시는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조리할 때도 칼과 도마는 잘 소독하고 생선과 고기, 채소는 각각 다른 도마를 사용하며, 설사 증상이 있을 때는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로바이러스는 주로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주로 발생하지만, 올해는 6월 현재까지도 예년보다 많은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21주차(5월 21∼27일)와 22주차(5월 28일∼6월 3일)에는 표본감시 기관에서 각각 57명, 32명의 환자가 신고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100% 이상 증가한 수치다. 2016년 21∼22주차에는 각각 28명, 16명의 환자가 신고됐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환자와 접촉했을 때 옮길 수 있는 감염병이다.
12∼48시간 잠복기를 지나면 설사나 구토 증상을 일으킨다.
보건당국은 흐르는 물에 비누를 이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서, 채소와 과일은 깨끗이 씻어서 먹으며 물은 끓여 마시는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조리할 때도 칼과 도마는 잘 소독하고 생선과 고기, 채소는 각각 다른 도마를 사용하며, 설사 증상이 있을 때는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
-
모은희 기자 monnie@kbs.co.kr
모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