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화재 사망자 최소 30명…“대형참사 현실화 우려”

입력 2017.06.16 (22:12) 수정 2017.06.16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14일 영국 런던 24층짜리 공공 임대아파트 '그렌펠 타워'에서 발생한 화재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다.

런던경찰청 스튜어트 쿤디 국장은 16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17명이던 사망자가 30명으로 늘었다고 발표하고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여기에다 런던소방대 대니 코튼 대장은 전날 오후 "건물의 상당한 절반 정도가 아직 정밀하게 수색되지 않았다"고 밝혀 소방관들이 초동 수색만 벌인 상층부 정밀수색이 완료되면 희생자가 100명 이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경찰과 소방대는 안전을 확보해가면서 진행하는 정밀수색이 며칠 또는 몇주일이 걸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BBC 방송은 자사 취재와 소셜미디어에서 실종자를 찾는 이들을 취합한 결과, 실종자가 최대 76명에 이를 수 있다고 보도했다.

경찰은 전날 사망자수를 17명으로 발표하면서 이중 6명만 신원을 잠정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경찰은 이번 화재에 대한 형사 사건 조사에 착수했다. 안전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날 경우 아파트 관리회사에 '과실치사'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일간 더타임스는 지난해 진행된 리모델링에서 부착된 외장재가 2012년에 미국에선 고층 건물에 사용이 금지된 것과 비슷한 종류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테리사 메이 총리가 진상조사위원회 설치와 더불어 지시한 형사사건 조사는 860만파운드를 쓴 리모델링에 사용된 자재들에 대한 조사도 포함된다고 더타임스는 보도했다.

특히 이중 4층 아파트의 냉장고 폭발에서 시작된 화재가 2~3시간 만에 꼭대기 층까지 번진 이유를 놓고 외장재가 지목되고 있다.

더타임스는 R사가 생산한 알루미늄 합성 외장재가 사용됐으며 세 종류 중 외장재 안에 가연성 플라스틱이 들어간 가장 싼 표준형 제품(PE)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런던 화재 사망자 최소 30명…“대형참사 현실화 우려”
    • 입력 2017-06-16 22:12:42
    • 수정2017-06-16 22:14:52
    국제
지난 14일 영국 런던 24층짜리 공공 임대아파트 '그렌펠 타워'에서 발생한 화재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다.

런던경찰청 스튜어트 쿤디 국장은 16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17명이던 사망자가 30명으로 늘었다고 발표하고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여기에다 런던소방대 대니 코튼 대장은 전날 오후 "건물의 상당한 절반 정도가 아직 정밀하게 수색되지 않았다"고 밝혀 소방관들이 초동 수색만 벌인 상층부 정밀수색이 완료되면 희생자가 100명 이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경찰과 소방대는 안전을 확보해가면서 진행하는 정밀수색이 며칠 또는 몇주일이 걸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BBC 방송은 자사 취재와 소셜미디어에서 실종자를 찾는 이들을 취합한 결과, 실종자가 최대 76명에 이를 수 있다고 보도했다.

경찰은 전날 사망자수를 17명으로 발표하면서 이중 6명만 신원을 잠정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경찰은 이번 화재에 대한 형사 사건 조사에 착수했다. 안전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날 경우 아파트 관리회사에 '과실치사'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일간 더타임스는 지난해 진행된 리모델링에서 부착된 외장재가 2012년에 미국에선 고층 건물에 사용이 금지된 것과 비슷한 종류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테리사 메이 총리가 진상조사위원회 설치와 더불어 지시한 형사사건 조사는 860만파운드를 쓴 리모델링에 사용된 자재들에 대한 조사도 포함된다고 더타임스는 보도했다.

특히 이중 4층 아파트의 냉장고 폭발에서 시작된 화재가 2~3시간 만에 꼭대기 층까지 번진 이유를 놓고 외장재가 지목되고 있다.

더타임스는 R사가 생산한 알루미늄 합성 외장재가 사용됐으며 세 종류 중 외장재 안에 가연성 플라스틱이 들어간 가장 싼 표준형 제품(PE)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