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값, 2년간 40% 올랐다

입력 2002.08.2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2년 동안 서울의 전세값이 무려 40%나 폭등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재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강과 남산을 끼고 있는 이 아파트의 전세값은 지난 2년 새 평수에 따라 7000만원에서 1억원까지 올랐습니다.
그래서 전세값 인상을 놓고 집주인과 세입자의 분쟁이 끊이지 않습니다.
⊙최인화(서울 신당동): 집주인이 7000 정도 올려주었으면 하더라고요.
그래서 어차피 빚 얻어서 줄 거면 아예 집을 사자 하고서 무리를 좀 해서 집을 샀죠.
⊙기자: 일부 세입자들은 값이 좀 덜한 곳으로 이사를 하고 있습니다.
⊙박병욱(공인중개사): 올린 폭만큼 올려줄 수가 없기 때문에 서울 근교 외곽으로 나가거나 아니면 소형 평수로 줄여서 가는 경향이 많이 있습니다.
⊙기자: 실제로 지난 2년 동안 서울 지역 아파트 전세값은 평균 40% 올랐습니다.
수도권과 신도시 지역 아파트도 35% 이상 뛰었습니다.
외환위기 이후 대형 평수 위주로 아파트가 공급되면서 상대적으로 중소형 아파트가 부족했던 것도 전세값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특히 현행 임대차 보호법상 2년 계약이 끝나 재계약을 할 때는 인상폭에 제한이 없습니다.
때문에 세입자는 집주인의 요구대로 전세값을 올려줄 수밖에 없는 게 현실입니다.
⊙김희선(부동산114 상무): 월 평균 1% 전후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고 연간으로 보면 10% 전후의 높은 상승률이 기 때문에 무주택 서민들 입장에서 상당히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기자: 다행히 지난 4월부터는 전세값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공급 부족이 계속되는 한 전세값 급등은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KBS뉴스 한재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세값, 2년간 40% 올랐다
    • 입력 2002-08-2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지난 2년 동안 서울의 전세값이 무려 40%나 폭등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재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강과 남산을 끼고 있는 이 아파트의 전세값은 지난 2년 새 평수에 따라 7000만원에서 1억원까지 올랐습니다. 그래서 전세값 인상을 놓고 집주인과 세입자의 분쟁이 끊이지 않습니다. ⊙최인화(서울 신당동): 집주인이 7000 정도 올려주었으면 하더라고요. 그래서 어차피 빚 얻어서 줄 거면 아예 집을 사자 하고서 무리를 좀 해서 집을 샀죠. ⊙기자: 일부 세입자들은 값이 좀 덜한 곳으로 이사를 하고 있습니다. ⊙박병욱(공인중개사): 올린 폭만큼 올려줄 수가 없기 때문에 서울 근교 외곽으로 나가거나 아니면 소형 평수로 줄여서 가는 경향이 많이 있습니다. ⊙기자: 실제로 지난 2년 동안 서울 지역 아파트 전세값은 평균 40% 올랐습니다. 수도권과 신도시 지역 아파트도 35% 이상 뛰었습니다. 외환위기 이후 대형 평수 위주로 아파트가 공급되면서 상대적으로 중소형 아파트가 부족했던 것도 전세값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특히 현행 임대차 보호법상 2년 계약이 끝나 재계약을 할 때는 인상폭에 제한이 없습니다. 때문에 세입자는 집주인의 요구대로 전세값을 올려줄 수밖에 없는 게 현실입니다. ⊙김희선(부동산114 상무): 월 평균 1% 전후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고 연간으로 보면 10% 전후의 높은 상승률이 기 때문에 무주택 서민들 입장에서 상당히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기자: 다행히 지난 4월부터는 전세값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공급 부족이 계속되는 한 전세값 급등은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KBS뉴스 한재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