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이면 평균 53세…‘인구 절벽’ 가시화

입력 2017.07.12 (08:08) 수정 2017.07.12 (09: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우리 사회의 고령화 문제,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죠,

산아제한 운동이 한창이던 1980년 우리 국민의 평균 나이는 26살이었습니다.

10년 뒤인 90년에는 이게 서른 즈음으로 도달하더니 2017년 지금은 마흔 살을 훌쩍 넘겼습니다.

2060년이 되면 국민 10명 가운데 무려 4명이, 65세 이상 노인이 돼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가 되는 심각한 국면에 돌입합니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볼 수 있는 곳은 특히 농촌인데요,

강원도의 이 마을은 3년째 갓난아기가 태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동네 거리에서 아이들 웃음소리가 사라진지도 오래됐는데요,

주민들은 예순 살에서 많게는 여든 여섯살까지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이 대부분인데요,

마을 이장님도 올해 칠순이 됐습니다.

<인터뷰> 김연기(70살/삼척시 노곡면 상반천리 이장) : "지금 10년째 (이장을) 하고 있어요. 최고 젊은 사람들이 60대. 70대면 중간 정도 되죠."

가장 큰 문제는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그 어느 나라보다 빠르다는 데 있습니다.

현재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3.8%인데요.

내년에는 고령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서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됩니다.

지금 속도로 젊은 인구가 줄어든다면 일을 할수 있는 인구, 즉 생산가능 인구가 2050년에는 국민의 절반만 된다는 분석입니다.

이게 심각한게 노동력이 줄면 소비와 생산이 동시에 감소해 경제는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는데요,

노동인구 투입이 이런 추세로 줄어든다면 20년 뒤, 2036년을 넘어서면 경제성장률이 0%가 된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특히 젊은 층의 노동력 비중이 높은 IT통신업과 의료보건업, 소프트웨어 개발업 등에서 인력난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보다 더 빨리 고령화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는 이웃나라 일본의 사례를 보면서 해결책은 없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2008년 이미 인구 감소세로 돌아선 일본은 지난해에는 사상 최대인 30만 명이나 인구가 줄었습니다.

당장 유통업 등을 중심으로 심각한 인력난이 빚어지고 있는데요.

일본 정부는 '1억 인구 모두 활약하는 사회'라는 목표를 내걸고 다 함께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나섰습니다.

정년이 현재 60세인데 65세로 연장해서 노년층 경제활동을 늘리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구요,

여성 인력의 경우는 일하는 환경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과도한 연장 근무를 줄이고, 재택근무, 4시간 정규직 근무제 등 다양한 근무 방식을 도입해 여성이 보육이나 가사를 일과 병행할 수 있도록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여성들의 경력 단절을 막고 출산율도 높이자는 의도인데요,

고령화 속도가 유지된다면 45년 후엔 우리나라가 일본을 꺾고 세계 최고 고령국가가 된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인구 정책은 때를 놓치면 돌이킬수 없기때문에 지금이라도 인구 절벽을 막는 다양한 해법을 찾아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친절한 뉴스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50년이면 평균 53세…‘인구 절벽’ 가시화
    • 입력 2017-07-12 08:10:16
    • 수정2017-07-12 09:01:23
    아침뉴스타임
<기자 멘트>

우리 사회의 고령화 문제,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죠,

산아제한 운동이 한창이던 1980년 우리 국민의 평균 나이는 26살이었습니다.

10년 뒤인 90년에는 이게 서른 즈음으로 도달하더니 2017년 지금은 마흔 살을 훌쩍 넘겼습니다.

2060년이 되면 국민 10명 가운데 무려 4명이, 65세 이상 노인이 돼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가 되는 심각한 국면에 돌입합니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볼 수 있는 곳은 특히 농촌인데요,

강원도의 이 마을은 3년째 갓난아기가 태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동네 거리에서 아이들 웃음소리가 사라진지도 오래됐는데요,

주민들은 예순 살에서 많게는 여든 여섯살까지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이 대부분인데요,

마을 이장님도 올해 칠순이 됐습니다.

<인터뷰> 김연기(70살/삼척시 노곡면 상반천리 이장) : "지금 10년째 (이장을) 하고 있어요. 최고 젊은 사람들이 60대. 70대면 중간 정도 되죠."

가장 큰 문제는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그 어느 나라보다 빠르다는 데 있습니다.

현재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3.8%인데요.

내년에는 고령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서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됩니다.

지금 속도로 젊은 인구가 줄어든다면 일을 할수 있는 인구, 즉 생산가능 인구가 2050년에는 국민의 절반만 된다는 분석입니다.

이게 심각한게 노동력이 줄면 소비와 생산이 동시에 감소해 경제는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는데요,

노동인구 투입이 이런 추세로 줄어든다면 20년 뒤, 2036년을 넘어서면 경제성장률이 0%가 된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특히 젊은 층의 노동력 비중이 높은 IT통신업과 의료보건업, 소프트웨어 개발업 등에서 인력난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보다 더 빨리 고령화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는 이웃나라 일본의 사례를 보면서 해결책은 없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2008년 이미 인구 감소세로 돌아선 일본은 지난해에는 사상 최대인 30만 명이나 인구가 줄었습니다.

당장 유통업 등을 중심으로 심각한 인력난이 빚어지고 있는데요.

일본 정부는 '1억 인구 모두 활약하는 사회'라는 목표를 내걸고 다 함께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나섰습니다.

정년이 현재 60세인데 65세로 연장해서 노년층 경제활동을 늘리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구요,

여성 인력의 경우는 일하는 환경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과도한 연장 근무를 줄이고, 재택근무, 4시간 정규직 근무제 등 다양한 근무 방식을 도입해 여성이 보육이나 가사를 일과 병행할 수 있도록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여성들의 경력 단절을 막고 출산율도 높이자는 의도인데요,

고령화 속도가 유지된다면 45년 후엔 우리나라가 일본을 꺾고 세계 최고 고령국가가 된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인구 정책은 때를 놓치면 돌이킬수 없기때문에 지금이라도 인구 절벽을 막는 다양한 해법을 찾아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친절한 뉴스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