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원 동아태 위원장 “군사수단 동원해서라도 北 저지”
입력 2017.07.19 (04:04)
수정 2017.07.19 (04: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 소위 코리 가드너(콜로라도) 위원장이 18일(현지시간) 미국은 군사적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멈추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북한 관련 토론회에서 "미국의 대북정책은 간단 명료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미국은 모든 경제적, 외교적 그리고 필요하다면 가능한 군사적 수단까지 배치해서 북한을 억지하고 동맹국을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 문제에 대한 "모든 옵션(선택)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덧붙였다.
가드너 위원장은 또 북한의 계속되는 미사일 도발을 방기하는 중국을 비판하며 더 큰 역할을 촉구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트럼프 정부는 중국이 움직이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중국의 반응은 부족하다"며 "중국은 북한 비핵화를 위해 우려만 나타낼 게 아니라 투명하고 집중적인 압박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의 한반도 배치와 관련해서도 "중국은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을 부끄러워해야 한다"며 "사드는 중국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며 중국도 이를 잘 알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북한에 군사회담과 이산가족 상봉회담을 제의한 것에 대해서는 "회담 전에 우리는 북한이 이미 합의한 비핵화 약속을 먼저 이행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북한 관련 토론회에서 "미국의 대북정책은 간단 명료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미국은 모든 경제적, 외교적 그리고 필요하다면 가능한 군사적 수단까지 배치해서 북한을 억지하고 동맹국을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 문제에 대한 "모든 옵션(선택)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덧붙였다.
가드너 위원장은 또 북한의 계속되는 미사일 도발을 방기하는 중국을 비판하며 더 큰 역할을 촉구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트럼프 정부는 중국이 움직이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중국의 반응은 부족하다"며 "중국은 북한 비핵화를 위해 우려만 나타낼 게 아니라 투명하고 집중적인 압박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의 한반도 배치와 관련해서도 "중국은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을 부끄러워해야 한다"며 "사드는 중국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며 중국도 이를 잘 알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북한에 군사회담과 이산가족 상봉회담을 제의한 것에 대해서는 "회담 전에 우리는 북한이 이미 합의한 비핵화 약속을 먼저 이행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상원 동아태 위원장 “군사수단 동원해서라도 北 저지”
-
- 입력 2017-07-19 04:04:50
- 수정2017-07-19 04:23:35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 소위 코리 가드너(콜로라도) 위원장이 18일(현지시간) 미국은 군사적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멈추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북한 관련 토론회에서 "미국의 대북정책은 간단 명료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미국은 모든 경제적, 외교적 그리고 필요하다면 가능한 군사적 수단까지 배치해서 북한을 억지하고 동맹국을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 문제에 대한 "모든 옵션(선택)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덧붙였다.
가드너 위원장은 또 북한의 계속되는 미사일 도발을 방기하는 중국을 비판하며 더 큰 역할을 촉구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트럼프 정부는 중국이 움직이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중국의 반응은 부족하다"며 "중국은 북한 비핵화를 위해 우려만 나타낼 게 아니라 투명하고 집중적인 압박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의 한반도 배치와 관련해서도 "중국은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을 부끄러워해야 한다"며 "사드는 중국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며 중국도 이를 잘 알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북한에 군사회담과 이산가족 상봉회담을 제의한 것에 대해서는 "회담 전에 우리는 북한이 이미 합의한 비핵화 약속을 먼저 이행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북한 관련 토론회에서 "미국의 대북정책은 간단 명료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미국은 모든 경제적, 외교적 그리고 필요하다면 가능한 군사적 수단까지 배치해서 북한을 억지하고 동맹국을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 문제에 대한 "모든 옵션(선택)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덧붙였다.
가드너 위원장은 또 북한의 계속되는 미사일 도발을 방기하는 중국을 비판하며 더 큰 역할을 촉구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트럼프 정부는 중국이 움직이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중국의 반응은 부족하다"며 "중국은 북한 비핵화를 위해 우려만 나타낼 게 아니라 투명하고 집중적인 압박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의 한반도 배치와 관련해서도 "중국은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을 부끄러워해야 한다"며 "사드는 중국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며 중국도 이를 잘 알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북한에 군사회담과 이산가족 상봉회담을 제의한 것에 대해서는 "회담 전에 우리는 북한이 이미 합의한 비핵화 약속을 먼저 이행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
조태흠 기자 jotem@kbs.co.kr
조태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한 핵·미사일 위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