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암호화 메신저 ‘왓츠앱’ 대거 통신차질

입력 2017.07.19 (11:02) 수정 2017.07.19 (11: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당국의 통신 검열이 강화된 중국에서 페이스북이 운영하는 암호화 메신저 '왓츠앱' 서비스가 광범위한 통신 차질을 빚었다는 사용자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고 AP통신과 블룸버그통신이 19일 전했다.

다수의 중국 내 왓츠앱 사용자들은 18일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가상사설망(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해당 앱에 부분적으로 접속되지 않았다고 알렸다.

17일 밤부터 18일 밤까지는 사진과 오디오 클립, 동영상이 전송되지 않는 등 해당 앱이 부분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중국 당국은 '인터넷 주권' 확보를 명분으로 인터넷 검열시스템인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을 통해 구글과 페이스북, 유튜브 등 상당수 외국 사이트 접근을 막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내 외국계 기업이나 해외 언론매체, 차단 사이트 이용을 원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은 VPN 서비스를 이용해 우회해 접속한다.

이번 왓츠앱 통신 차질은 중국에서 정치적으로 예민한 시기에 빚어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중국은 올가을 국가 지도부를 임명하는 제19차 공산대회를 앞두고 최근 들어 인터넷 검열과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지난 13일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중국 인권운동가 류샤오보가 타계하자 포털사이트와 소셜미디어 등 인터넷상에서 그와 관련한 정보를 모두 차단하며 정보통제 수위를 높이고 있다.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많은 이들이 왓츠앱이 중국 당국 인터넷 단속의 마지막 희생물이 된 것 같다고 지적하고 있다고 전했다.

왓츠앱은 중국 본토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외국 메신저 가운데 하나다. 중국 내에서는 현지산 메신저 앱인 '위챗'이 더 널리 쓰이지만, 왓츠앱의 강력한 암호화 기능 때문에 이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이 있다.

앞서 또 다른 암호화 메신저인 텔레그램의 중국 내 접속이 차단된 이후 많은 중국 반체제 인사들이 최근 수개월 사이 왓츠앱으로 이동했다.

왓츠앱은 암호화된 내용을 풀 수 있는 암호키를 서버가 아닌 개인 단말기에만 저장해 송신자와 수신자만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종단 간(end-to-end) 암호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반면 위챗은 암호화되지 않고 사용자의 실명을 사용해 당국의 집단적 감시, 검열이 가능하다.

실제로 위챗에서는 '류샤오보'와 그의 부인 '류샤'의 이름이 포함된 문장과 이미지 전송이 차단됐다.

이번 왓츠앱 통신 차질에 대한 입장 표명 요청에 페이스북과 왓츠앱은 답변하지 않았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이번 사안에 대해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서 암호화 메신저 ‘왓츠앱’ 대거 통신차질
    • 입력 2017-07-19 11:02:44
    • 수정2017-07-19 11:11:59
    국제
최근 당국의 통신 검열이 강화된 중국에서 페이스북이 운영하는 암호화 메신저 '왓츠앱' 서비스가 광범위한 통신 차질을 빚었다는 사용자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고 AP통신과 블룸버그통신이 19일 전했다.

다수의 중국 내 왓츠앱 사용자들은 18일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가상사설망(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해당 앱에 부분적으로 접속되지 않았다고 알렸다.

17일 밤부터 18일 밤까지는 사진과 오디오 클립, 동영상이 전송되지 않는 등 해당 앱이 부분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중국 당국은 '인터넷 주권' 확보를 명분으로 인터넷 검열시스템인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을 통해 구글과 페이스북, 유튜브 등 상당수 외국 사이트 접근을 막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내 외국계 기업이나 해외 언론매체, 차단 사이트 이용을 원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은 VPN 서비스를 이용해 우회해 접속한다.

이번 왓츠앱 통신 차질은 중국에서 정치적으로 예민한 시기에 빚어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중국은 올가을 국가 지도부를 임명하는 제19차 공산대회를 앞두고 최근 들어 인터넷 검열과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지난 13일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중국 인권운동가 류샤오보가 타계하자 포털사이트와 소셜미디어 등 인터넷상에서 그와 관련한 정보를 모두 차단하며 정보통제 수위를 높이고 있다.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많은 이들이 왓츠앱이 중국 당국 인터넷 단속의 마지막 희생물이 된 것 같다고 지적하고 있다고 전했다.

왓츠앱은 중국 본토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외국 메신저 가운데 하나다. 중국 내에서는 현지산 메신저 앱인 '위챗'이 더 널리 쓰이지만, 왓츠앱의 강력한 암호화 기능 때문에 이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이 있다.

앞서 또 다른 암호화 메신저인 텔레그램의 중국 내 접속이 차단된 이후 많은 중국 반체제 인사들이 최근 수개월 사이 왓츠앱으로 이동했다.

왓츠앱은 암호화된 내용을 풀 수 있는 암호키를 서버가 아닌 개인 단말기에만 저장해 송신자와 수신자만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종단 간(end-to-end) 암호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반면 위챗은 암호화되지 않고 사용자의 실명을 사용해 당국의 집단적 감시, 검열이 가능하다.

실제로 위챗에서는 '류샤오보'와 그의 부인 '류샤'의 이름이 포함된 문장과 이미지 전송이 차단됐다.

이번 왓츠앱 통신 차질에 대한 입장 표명 요청에 페이스북과 왓츠앱은 답변하지 않았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이번 사안에 대해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