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하림 ‘일감 몰아주기’ 직권조사
입력 2017.07.19 (19:36)
수정 2017.07.19 (19: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기업집단 하림그룹이 총수의 사익을 위해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준 정황을 포착하고 직권조사에 착수했다.
업계 등 복수의 관계자는 오늘(19일)공정위가 최근 하림그룹의 내부거래 자료에서 부당 지원행위가 의심되는 정황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직권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2011년 자산 규모가 3조5천억원이었던 하림그룹은 부동산 매입 등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기준 자산 규모가 10조5천억원을 기록, 올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취임 이후 공정위가 대기업집단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공정위가 지난 3월부터 진행한 45개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 실태점검 결과에 따른 것이다.
공정위는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5년 전 아들 김준영 씨에게 비상장 계열사 올품 지분을 물려주는 과정에서 부당지원 행위가 없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품은 10조 원 이상 자산을 가진 하림그룹의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는 회사다.
김 회장은 아들 김 씨에게 올품을 물려주는 과정에서 100억 원대의 증여세를 부과받았다. 하지만 아들 김씨가 100억원대의 증여세만으로 사실상 10조원대 그룹 전체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편법 증여와 일감 몰아주기가 있었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사료공급, 양돈, 식육유통 등에 이르는 하림그룹의 수직 계열사 구조가 관련 시장의 경쟁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았는지도 공정위의 주요 관심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 관계자는 그러나 "개별 사건에 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라는 입장만 밝혔다.
하림그룹 측은 논란이 되는 편법 증여와 일감 몰아주기에 대해 수직계열화 사업 구조상 내부거래가 많았을 뿐 일감 몰아주기도, 편법 증여도 아니라며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업계 등 복수의 관계자는 오늘(19일)공정위가 최근 하림그룹의 내부거래 자료에서 부당 지원행위가 의심되는 정황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직권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2011년 자산 규모가 3조5천억원이었던 하림그룹은 부동산 매입 등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기준 자산 규모가 10조5천억원을 기록, 올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취임 이후 공정위가 대기업집단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공정위가 지난 3월부터 진행한 45개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 실태점검 결과에 따른 것이다.
공정위는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5년 전 아들 김준영 씨에게 비상장 계열사 올품 지분을 물려주는 과정에서 부당지원 행위가 없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품은 10조 원 이상 자산을 가진 하림그룹의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는 회사다.
김 회장은 아들 김 씨에게 올품을 물려주는 과정에서 100억 원대의 증여세를 부과받았다. 하지만 아들 김씨가 100억원대의 증여세만으로 사실상 10조원대 그룹 전체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편법 증여와 일감 몰아주기가 있었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사료공급, 양돈, 식육유통 등에 이르는 하림그룹의 수직 계열사 구조가 관련 시장의 경쟁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았는지도 공정위의 주요 관심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 관계자는 그러나 "개별 사건에 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라는 입장만 밝혔다.
하림그룹 측은 논란이 되는 편법 증여와 일감 몰아주기에 대해 수직계열화 사업 구조상 내부거래가 많았을 뿐 일감 몰아주기도, 편법 증여도 아니라며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정위, 하림 ‘일감 몰아주기’ 직권조사
-
- 입력 2017-07-19 19:36:15
- 수정2017-07-19 19:48:38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기업집단 하림그룹이 총수의 사익을 위해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준 정황을 포착하고 직권조사에 착수했다.
업계 등 복수의 관계자는 오늘(19일)공정위가 최근 하림그룹의 내부거래 자료에서 부당 지원행위가 의심되는 정황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직권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2011년 자산 규모가 3조5천억원이었던 하림그룹은 부동산 매입 등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기준 자산 규모가 10조5천억원을 기록, 올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취임 이후 공정위가 대기업집단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공정위가 지난 3월부터 진행한 45개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 실태점검 결과에 따른 것이다.
공정위는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5년 전 아들 김준영 씨에게 비상장 계열사 올품 지분을 물려주는 과정에서 부당지원 행위가 없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품은 10조 원 이상 자산을 가진 하림그룹의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는 회사다.
김 회장은 아들 김 씨에게 올품을 물려주는 과정에서 100억 원대의 증여세를 부과받았다. 하지만 아들 김씨가 100억원대의 증여세만으로 사실상 10조원대 그룹 전체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편법 증여와 일감 몰아주기가 있었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사료공급, 양돈, 식육유통 등에 이르는 하림그룹의 수직 계열사 구조가 관련 시장의 경쟁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았는지도 공정위의 주요 관심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 관계자는 그러나 "개별 사건에 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라는 입장만 밝혔다.
하림그룹 측은 논란이 되는 편법 증여와 일감 몰아주기에 대해 수직계열화 사업 구조상 내부거래가 많았을 뿐 일감 몰아주기도, 편법 증여도 아니라며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업계 등 복수의 관계자는 오늘(19일)공정위가 최근 하림그룹의 내부거래 자료에서 부당 지원행위가 의심되는 정황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직권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2011년 자산 규모가 3조5천억원이었던 하림그룹은 부동산 매입 등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기준 자산 규모가 10조5천억원을 기록, 올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취임 이후 공정위가 대기업집단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공정위가 지난 3월부터 진행한 45개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 실태점검 결과에 따른 것이다.
공정위는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5년 전 아들 김준영 씨에게 비상장 계열사 올품 지분을 물려주는 과정에서 부당지원 행위가 없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품은 10조 원 이상 자산을 가진 하림그룹의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는 회사다.
김 회장은 아들 김 씨에게 올품을 물려주는 과정에서 100억 원대의 증여세를 부과받았다. 하지만 아들 김씨가 100억원대의 증여세만으로 사실상 10조원대 그룹 전체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편법 증여와 일감 몰아주기가 있었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사료공급, 양돈, 식육유통 등에 이르는 하림그룹의 수직 계열사 구조가 관련 시장의 경쟁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았는지도 공정위의 주요 관심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 관계자는 그러나 "개별 사건에 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라는 입장만 밝혔다.
하림그룹 측은 논란이 되는 편법 증여와 일감 몰아주기에 대해 수직계열화 사업 구조상 내부거래가 많았을 뿐 일감 몰아주기도, 편법 증여도 아니라며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
-
최영철 기자 kbschoi@gmail.com
최영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